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젓가락은 간편하고 다용도로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몇 천 년 동안 동아시아에서 식사 시 쓰인 도구다. 음식을 먹을 때 포크나 칼을 쓰는 게 익숙하다면 처음에 젓가락을 사용하는 게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올바르게 잡는 방법을 알고 나면, 젓가락을 쓰는 게 훨씬 쉬워진다. 주로 쓰는 손의 검지 안쪽과 엄지 밑부분에 젓가락 하나를 잡는 것부터 시작한다. 검지, 중지, 엄지 사이에 나머지 젓가락을 놓고 연필처럼 잡으면 된다. 그러면 밑에 있는 젓가락은 고정한채로 위의 젓가락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방법 1
방법 1 의 3:

젓가락 올바르게 잡기

PDF 다운로드
  1. 편한 손으로 젓가락을 잡되, 손등이 자신의 얼굴을 향하게 한다. 잘 안 쓰는 손을 젓가락 끝의 밑에 두고 부드럽게 같이 잡는다. 그러면 젓가락 두 개가 정렬돼서 완벽히 평행을 이룰 것이다. [1]
    • 일반적으로 테이블 위에 젓가락이 수평으로 앞에 놓여있을 것이다.
    • 2-3개의 손가락과 엄지로 젓가락을 잡는게 대개 가장 편하다.
    • 젓가락을 잡을 때 젓가락이 서로 부딪쳐서 크게 소리 나지 않게 조심한다. 조용한 음식점이나 격식 있는 자리에서 무례하게 여겨질 수 있다.
  2. 젓가락을 잡는 위치를 조절할 때, 잘 안 쓰는 손으로 젓가락을 안정감 있게 만들어준다. 엄지 밑부분과 검지의 들어간 부분으로 젓가락 두 개를 같이 잡고 준비한다. [2]
    • 손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 모르겠다면, 엄지 끝에 젓가락 위를 놓고, 손을 돌려서 엄지 밑쪽에 가장 가까운 젓가락 끝을 잡는다.
    • 손으로 젓가락을 너무 높게, 낮게 잡으면 적절히 움직이기가 어렵다. [3]

    팁: 항상 젓가락의 넓은 위쪽 부분이 바깥을 향하고, 좁게 가늘어진 부분이 안쪽을 향하도록 잡아야 한다.

  3. Watermark wikiHow to 젓가락 잡는 법
    밑에 있는 젓가락의 윗부분이 엄지와 검지 사이의 들어간 부분에 오고, 약지의 안쪽 가장자리에 젓가락 끝이 오게 잡는다. 젓가락을 이렇게 잡고 나서, 움직이거나 조절하지 않는 게 좋다. [4]
    • 젓가락을 원래 사용하는 사람들은 밑에 있는 젓가락을 좀 더 높게, 검지 밑부분에 오게 잡기도 한다.
    • 젓가락을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밑에 있는 젓가락은 움직이지 않고 위에 있는 젓가락만이 움직일 것이다. [5]
  4. Watermark wikiHow to 젓가락 잡는 법
    이제 위의 젓가락을 잡아서 검지와 중지의 첫손가락 마디에 오게 한다. 젓가락 안쪽을 엄지 안쪽으로 받친다. [6]
    • 젓가락 양쪽 끝이 정렬된 채로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 이렇게 잡을 때 연필을 잡을 때와 비슷한 느낌이어야 한다. [7]
  5. Watermark wikiHow to 젓가락 잡는 법
    엄지 윗부분을 위의 젓가락이 움직일 때 받쳐줄 수 있는 위의 젓가락의 받침점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지켜야 하는 것은 밑에 있는 젓가락을 부드럽게 잡는 것뿐이다. 엄지를 움직이면 젓가락이 쉽게 어긋난다. [8]
    • 엄지를 손가락 마디 쪽으로 굽게 하지 않고 일자로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 엄지를 움직이지 않는 게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젓가락을 열고 닫는데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젓가락 통제하기

PDF 다운로드
  1. Watermark wikiHow to 젓가락 잡는 법
    젓가락을 열려면 검지와 중지를 같이 들어 올린다. 젓가락을 닫으려면 밑으로 누르기만 하면 된다. 마치 두 손가락이 길어져서 젓가락이 된 것 같아야 한다. [9]
    • 이 방법으로 음식을 집는 게 어렵다면, 잡는 걸 약간 조절해서, 엄지 반대쪽에 있는 밑의 젓가락을 중지 안쪽으로 받친다. [10]
    • 젓가락 아래 끝만 움직여야 한다. 위쪽은 제자리에 있거나, 서로가 닿지 않게 약간 가까워져야 한다.

    팁: 젓가락을 잘 잡아서 열고 닫으려면, 손으로 인용 부호를 만든다고 상상하며 잡는다.

  2. 필요하다면, 잠깐 멈추고 잘 쓰지 않는 손으로 젓가락 모양을 다시 잡는다. 밑에 있는 젓가락이 약지와 엄지 밑부분에 오고 위의 젓가락은 연필을 잡는 것처럼 만들어야 한다. 젓가락을 더 높거나 낮게 잡으면 사용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 젓가락을 안정적으로 잡되, 꽉 누르지는 않는다. 그러면 손이 피곤해져서 손 모양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 초보자의 경우 나무, 대나무 젓가락이 좋다. 약간의 마찰이 생기기 때문이다. [11]
  3. 젓가락을 열고 닫아서 한입에 먹을 수 있는 크기의 음식을 집는다. 입으로 음식을 가져올 때 위의 젓가락에 약간 힘을 주어야 한다. 그래서 음식이 젓가락 사이에 고정돼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12]
    • 어느 것과 마찬가지로 젓가락질을 능숙하게 하려면 연습이 필요하다. 다른 모양, 크기, 질감의 음식을 한 접시에서 다른 접시로 천천히 옮겨본다. 그러면 기본기를 다질 수 있다.
    • 기억하자. 밑에 있는 젓가락은 밑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위의 젓가락이 나머지 일을 다 하는 것이다. [13]
  4. Watermark wikiHow to 젓가락 잡는 법
    양 젓가락 끝을 음식의 가장 넓은 부분에 댄다. 그리고 힘을 주어 두 조각으로 나눈다. 이렇게 "자르는" 식의 방법은 부드러운 음식에만 할 수 있다는 걸 명심한다. [14]
    • 아시아 전통음식은 보통 젓가락으로 먹기에 알맞은 크기로 고기, 야채, 곡물이 나온다. 하지만, 일본식 튀김요리나 생선 같은 특정 음식은 편하게 먹으려면 작게 잘라야 할 수도 있다.
    • 편하게 식사하는 자리에서는 크기가 큰 음식을 찢거나 자르지 않아도 그냥 베어 먹어도 보통 괜찮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적절한 젓가락 에티켓 배우기

PDF 다운로드
  1. 잘못된 게 없어 보이더라도, 일본이나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절대 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일본식 장례에서 유가족이 공깃밥에 젓가락을 수직으로 꽂아서 떠나보낸 사랑했던 사람의 영혼에게 바치는 게 전통이기 때문이다. [15]
    • 이와 유사하게, 중국 문화에서 젓가락을 교차해서 “X” 모양으로 놓는 것은 죽음을 의미한다.
    • 호스트나 주변 사람에게 죽음을 생각나게 하는 행동은 나쁜 운을 가져온다고 여겨지므로, 식사 분위기를 망치는 일이 될 것이다.
  2. Watermark wikiHow to 젓가락 잡는 법
    젓가락을 쓰는 게 얼마나 어렵든지 간에, 젓가락 하나 끝으로 음식을 찌르고 싶은 욕구는 참아야 한다. 젓가락이 쌍으로 나온 이유가 있다. 음식을 집는 데만 사용되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16]
    • 어떤 국가에서 양손으로 젓가락을 따로 잡는 건 무례한 행동 이다.

    팁: 기본적인 규칙은 젓가락을 집거나, 모양을 잡는 게 아니라면, 잘 쓰는 손으로만 젓가락을 만져야 한다.

  3. 젓가락을 먹고 있는 접시에 교차해서 놓는 건 더 이상 먹고 싶지 않다는 의미다. 많은 레스토랑에 젓가락 받침대가 있기 때문에 젓가락을 쓰지 않을 때는 받침대에 놓으면 된다. 젓가락 받침대가 없다면 젓가락이 들어있던 곳에 넣거나, 음식의 왼쪽 가장자리에 깔끔하게 정렬해서 둔다. [17]
    • 격식 차린 식사를 할 경우, 젓가락을 내려두면 배가 고프지 않거나 식사가 끝났음을 의미할 수 있다. 포멀한 레스토랑 또는 미팅이 아니라면 젓가락을 내려놓아도 괜찮다.
    • 젓가락을 내려놓으면 안된다는 뜻은 아니다. 그래도 왠만하면 손에서 놓지 않는 것이 좋다.

    주의: 친구나 가족과 식사를 할 때는 식사가 끝나면 젓가락을 내려놓아도 좋다. 너무 자주 내려놓으면 배고프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4. 손을 많이 써서 얘기하거나, 몸짓을 써야 표현한다면, 젓가락은 그 전에 꼭 내려놓아야 한다. 중요한 얘기를 하는 도중 누군가 포크로 당신을 찌른다면 어떻겠는가! [18]
    • 말할 필요도 없지만, 테이블을 드럼처럼 치는 것도, 젓가락을 치며 장단을 맞추는 것도, 바다코끼리를 흉내 내는 것도, 칼싸움을 하는 것도 절대 안 된다. 젓가락은 도구지 장난감이 아니다. [19]
  5. 서빙용 젓가락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해서 개인 접시로 음식을 옮겨야 한다. 그리고 개인 젓가락으로 자신의 음식을 먹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 입에 들어갔던 젓가락으로 다른 사람의 음식을 건드리지 않을 수 있다. [20]
    • 또 다른 실수는 서빙된 접시에서 원하는 걸 찾으려고 이리저리 뒤지는 행동이다. 이는 이기적인 행동이다. [21]
    • 공동으로 쓰는 접시에 개인 젓가락을 넣으면 오염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비위생적이고, 같이 식사하는 자리에서 규칙을 모르고 있다면 실례되는 일이 될 것이다.
  6. Watermark wikiHow to 젓가락 잡는 법
    접시, 보울, 다른 식기 등을 옮겨야 한다면, 젓가락으로 테이블 위에 접시를 끌지 말고 쓰지 않는 손을 사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원래 목적에 맞지 않게 젓가락을 써서 호스트를 모욕하는 셈이 될 수 있다. [22]
    • 특히 크고 무거운 접시를 옮기거나 움직여야 한다면, 안전하게 젓가락을 내려놓고 양손으로 옮긴다.
    • 중국이나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젓가락으로 접시를 치는 것은 거지들이 하는 행동이다. 즉, 무의식중에 기품 없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7. 덜어먹는 용도의 젓가락을 사용해 개인 접시에 음식을 담는다. 그 후 개인 젓가락으로 음식을 먹는다. 이렇게하면 자신에 입에 넣었던 개인 젓가락이 함께 먹는 음식에 닿지 않는다. [23]
    • 좋은 부위 또는 좋아하는 재료를 골라 먹기 위해 젓가락으로 휘젓지 말자. 이기적인 행동이다. [24]
    • 공용 접시에 놓인 음식을 개인 젓가락으로 집으면 교차 오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비위생적일 뿐 아니라 함께 식사하는 사람들에게 비매너로 비춰질 수 있다.
    • 대개의 경우 음식 덜기용 젓가락이 따로 제공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에는 개인 젓가락을 사용해도 좋다.
    광고


  • 손에 가장 잘 맞는 젓가락의 크기를 정하기 위해서는, 뻗은 엄지와 검지 사이의 길이를 센티미터로 측정하고 여기에 1.5를 곱한다. 이 결과로 가장 잘 맞는 크기의 젓가락을 알 수 있다. 이걸로 연습하면 더 쉬울 것이다. [25]
  • 아무것도 집을 수 없다면, 자존심은 버리고 윗부분에 작은 플라스틱으로 연결된 연습용 젓가락을 써보는 것도 좋다. 이걸로 몇 번 밥을 먹으면 위의 젓가락이 더 쉽게 움직여질 것이다. [26]
  • 일본에서는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잡는 게 전통이다. 왼손잡이라 하더라도 말이다.
광고

경고

  • 젓가락을 쓰는 장소에 가기로 계획되어 있다면, 젓가락 사용과 관련된 에티켓이나 금지된 행동을 배워서 호스트나 다른 사람들을 기분 나쁘지 않게 준비하는 것도 좋다.
  •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부드럽고 둥근 젓가락은 잘 구르고, 미끄러지고, 어긋나기 쉬우므로 조심해야 한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75,22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