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가슴에 담이 들면 불편하고 답답한 기분이 든다. 하지만 단순히 기분을 넘어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기관지염이나 폐렴 등의 심각한 질병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따라서 담이 들었으면 상태가 악화되기 전에 치료하는 것이 좋다. 이 글에서는 가슴에 담이 들었을 때 해야 하는 기본적인 것들과 민간요법, 그리고 언제 병원에 가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방법 1
방법 1 의 3:

상태를 개선해주는 행동

PDF 다운로드
  1. 증기와 열은 폐와 목구멍에 쌓인 가래 제거에 도움을 준다.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거나 막 끓인 물을 그릇에 부어 준비를 하도록 하자. 뜨거운 물 위에 얼굴을 대고 있으면 증기를 들이마실 수 있을 것이다. 깊게 들이마시자. 증상이 완화될때까지 매일 하루에 한 두 번 15-20분간 증기를 들이마시자. [1]
    • 뜨거운 물에서 나오는 증기를 들이마실 때 얼굴을 그릇에 대고 머리 위에 타월을 올려 증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15분간 얼굴을 대고 깊게 숨을 들이마시자.
    • 약간의 박하유나 유칼립투스유를 넣는 것도 가래를 분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가습기는 비강을 열어 숨을 더 잘 쉴 수 있게 해준다. 침대 위에서 수분이 분사될 수 있도록 가습기를 배치한다. 머리로부터 6–10 feet (1.8–3.0 m)안에 둔다. [2]
    • 집안이 건조할 때 가습기의 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것이다.
    • 매일 밤마다 가습기를 사용할 경우 3-4일 간격 혹은 물이 다 떨어지때마다 리필한다.
  3. 가글은 호흡기를 막고 있는 가래를 제거하는 데는 최적이다. 따뜻한 물 1 2 cup (120 mL)과 소금 1~2 테이블 스푼(12.5–25 g)을 섞는다. 소금이 용해될 때까지 저어주고 만들어진 용액을 마신다. 가능하면 목구멍까지 1~2분 정도 제대로 가글한 후 물을 뱉는다. [3]
    • 담이 제거될 때 까지 하루에 3~4회 반복한다.
  4. 머리를 가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누운 뒤 핫팩을 흉골 위에 올린다. 열이 피부 속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10~15분 정도 기다린다. 폐에 쌓인 가래를 최대한 제거하기 위해 하루에 2-3회 반복한다.
    • 핫팩이나 뜨거운 옷감을 목이나 가슴에 대면 담을 완화시키고 호흡기의 바깥쪽을 따뜻하게 열어줄 수 있다. 또한 가래를 풀어주어 기침을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돕는다.
    • 근처 약국 또는 드럭스토어에서 핫팩을 구입할 수 있다.
    • 뜨거운 옷감으로 찜질하려면 타월을 물에 적신 후 전자레인지에 60-90초간 돌린다.
  5. 담이 가장 많이 느껴지는 폐 주변에 마사지기를 올린다(예: 기관지염이 있을 경우는 가슴 위쪽에 두기). 혼자 등을 마사지하기 어려우면 주변인에 도움을 받자. [4]
    • 친구 또는 가까운 사이의 사람에게 등을 탁탁 쳐달라고 요청한다.
    • 담이 위치한 곳에 따라 몸을 기대는 자세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로, 등 아래 부분에서 담이 느껴진다면 다운워드 도그 자세 또는 아기 자세를 한 후 주변인에게 허리 아래 부분을 쳐달라고 부탁한다.
  6. 머리를 높은 곳에 유지하면 가래가 밤새 호흡기에 쌓이지 않고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또한 가래를 방지하여 수면의 질이 좋아진다. 머리와 목 아래에 여러 개의 베개를 두어 몸통보다 머리를 약간 높게 두자. [5]
    • 매트리스 헤드 부분을 올려 2 in × 4 in (5.1 cm × 10.2 cm) 또는 4 in × 4 in (10 cm × 10 cm) 사이즈의 나무 조각을 끼어넣어도 좋다.
  7. 의자에 앉아서 폐가 공기로 가득차도록 깊은 숨을 들이쉰다. 3번 연속 기침을 한다. 기침을 할 때마다 “하”소리가 낸다. 기침이 편해질 때까지 4-5회 반복한다. [6]
    • 기침은 폐의 과도한 가래를 배출해낸다. 억제하지 못하는 기침 또는 목구멍의 뒷부분으로하는 얕은 기침은 좋지 않지만 깊고 조절된 기침은 가래를 제거하고 담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담에 좋은 음식과 음료

PDF 다운로드
  1. 뜨거운 액체는 가슴에 담이 들게 하는 가래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차에 고통을 줄여주고 담에 효과가 있는 허브나 향신료를 넣으면 배로 효과가 있게 된다. 박하나 생강, 카모마일, 로즈마리 차를 끓여 하루에 4-5번 마신다. 추가로 꿀을 넣어주면 맛도 달아지고 가래를 제거하는 데도 효과가 좋다. [7]
    • 홍차, 녹차, 커피와 같은 카페인 음료는 피한다. 카페인은 가래 생성을 촉진하기에 담을 악화시킬 수 있다. [8]
  2. 가슴의 가래와 담을 제거하고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음식들이 있다. 이러한 음식은 비강을 자극하여 가래를 배출시키고 가래를 얇고 묽게 만들어 두꺼운 가래가 함께 배출 되게끔 돕는다. 매운 음식, 감귤류 과일, 마늘, 양파, 생강은 담으로 인한 답답함과 고통을 줄여준다. 이러한 음식을 하루 3-4번 섭취해보자. [9]
    • 맵지 않지만 담 완화에 도움을 주는 음식으로는 감초, 구아바, 인삼, 석류가 있다.
    • 매운 음식은 소염 효과가 있어 담 완화에 도움을 주지만 장기간이 소요된다.
  3. 따뜻한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은 담 완화에 매우 효과적이다. 몸에 수분이 부족하면 가슴과 목구멍의 가래가 응고해 더 끈적거리게 되며 나중에 제거하기가 더욱 힘들다. 따라서 가능하면 따뜻한 물을 일과 도중에 종종 마셔 가래를 얇게 해 제거하도록 하자. [10]
    • 사람마다 마셔야하는 물의 양은 다르다. 하루에 마시는 물의 양을 정하는 것보다 갈증을 느낄때마다 충분히 물을 섭취하자. [11]
  4. 사람의 신체는 아플 때 감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손상을 입는 전해질은 복구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음료가 도움이 되는 것이다. 물 섭취량 만큼 스포츠음료를 마신다. 하루에 마시는 액체 중 적어도 1/3을 전해질이 풍부한 음료로 대체한다. [12]
    • 물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 방법을 택하면 좋다. 스포츠음료를 마시면 수분을 충전할 수 있다.
    • 카페인이 없고 당이 적은 스포츠음료를 고른다.
  5. 유제품(예: 우유, 버터, 요거트, 아이스크림), 소금, 설탕, 튀킨 음식은 가래를 생성한다. 담이 없어질 때 까지 이러한 음식 섭취를 피한다. 3-4일만이라도 이러한 음식을 제한하면 담이 완화되고 호흡이 개선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13]
    • 파스타, 바나나, 양배추, 감자 또한 피한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약으로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거담제는 가래를 녹이고 더 쉽게 기침을 통해 몸에서 꺼낼 수 있게 도와주는 약이다. 로비투신(Robitussin), 뮤시넥스(Mucinex)와 같이 덱스트로메토르판, 구아이페네신 성분이 함유된 약은 약국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설명서대로 복용한다. [14]
    • 구아이페네신은 하루에 1200mg까지 복용해도 된다. 항상 물과 함께 복용한다.
    • 거담제는 6살 이하의 아이들에게 안전하지 않으니, 먼저 의사와 상담해 대체약품을 찾도록 하자.
  2. 의사에게 흡입기나 분무기를 받을 수 있는지 물어본다. 가슴에 담이 심하게 들었을 때 자신의 호흡 페이스를 조절하기 위해 이 도구들이 필수적으로 작용하는데 보통 알부테롤(albuterol)과 같은 약과 함께 쓰인다. 설명서대로 흡입기를 사용한다. [15]
    • 담이 심할 경우에는 흡입기 사용은 필수적이지만 가래 문제를 도저히 해결할 수 없다면 이에 대해 의사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3. 위의 방법들로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병원에 가서 증상의 정도와 기간을 토대로 상담한다. 담에 효과가 좋은 항생제나 비강 스프레이, 비타민 치료제 등의 처방전이 필요한 약을 받을 수 있는지 물어보도록 하자. [16]
    • 열, 숨가쁨, 발진 등 더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병원에 간다.
  4. 억제제는 기침을 막아주는 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기침을 막아주는 대신 가슴에 쌓인 가래를 더 두껍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담이 들었을 때는 상황이 악화되지 않게 억제제 또는 억제제 성분이 들어간 거담제를 먹지 않도록 한다. 기침은 가슴에 담이 들었을 때 발생하는 정상적이고 건강한 반응이므로 이를 멈추거나 최소화할 필요가 없다. [17]
    • 담이 심하면 기침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굳이 억제하려 하지 말자.
  5. 슈다페드(Sudafed)와 같은 코막힘 완화제 복용을 피하자. 이러한 약은 건조한 가래를 생성하여 기침으로 배출해내기 어렵게 만든다. 항히스타민제가 함유된 감기약이 많기 때문에 항상 라벨을 잘 읽어보고 구매하자. [18]
    • 가래를 풀어주는 기침을 "젖은기침"이라 한다.
    • 감기에 걸렸다면 노랗거나 연두색의 분비물이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다른 색이 비춘다면 병원에 가자.
    광고

  • 금연하라. 그리고 간접흡연을 피하라. 담배에 있는 화학성분은 비강을 자극하여 필요 이상으로 기침하게 한다. 금연하기 힘들다면, 담이 해소될 때까지만이라도 노력해보자. [19]
  • 가슴에 담이 들었을 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폐렴으로 발전할 수 있다. 바로 병원에 가보라! [20]
  • 가래를 뱉어내기 어렵다면 다른 사람에게 등 상단 부분의 양쪽을 두드려달라고 하자. 이 행동이 가래를 뱉어낼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21]
광고

경고

  • 나이퀼같은 강한 경구 투여약을 먹은 뒤에 운전하지 말아라. 이런 약들은 잠을 더 쉽게 자는 것을 도와주기 위한 수면 성분이 들어 있다.
  • 만약 어린 아이나 유아가 담이 들었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약을 복용해야 한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62,816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