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노트북과 함께 외부 모니터를 사용하면 깔끔함을 유지하고, 큰 화면을 사용하고, 디지털 작업 공간의 크기를 크게 늘릴 수 있다. 노트북과 모니터의 하드웨어에 따라 연결 방법이 여러 가지이다. 이 글을 통해 노트북과 외부 모니터 두 대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방법 1
방법 1 의 5:

DisplayPort로 모니터 직렬 연결하기

PDF 다운로드
  1. 이 방법을 사용하려면 모니터에 DisplayPort v1.2 이상 In 포트와 Out 포트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노트북에 DisplayPort Out 포트나 DisplayPort를 지원하는 USB-C 포트가 있어야 한다. [1]
    • 2010년 이후에 구입한 모니터이고 각각 DisplayPort In/Out 포트가 있는 경우 직렬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 노트북에 USB-C 포트가 있는 경우 DisplayPort 지원 여부를 확인 한 후 USB-C to DisplayPort 케이블을 준비한다.
  2. 모니터에 전원 케이블 을 연결한다.
  3. 모니터 연결 시 DisplayPort 케이블을 한 모니터의 DisplayPort Out에, 다른 모니터의 DisplayPort In에 꽂는다.
  4. 노트북의 포트에 따라 DisplayPort 케이블 또는 USB-C to DisplayPort 케이블을 사용한다. DisplayPort Out에 이미 케이블이 연결된 모니터의 DisplayPort In에 노트북을 연결해야 한다.
  5. 현재 모니터에 노트북 화면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전원이 들어왔다는 표시로 화면이 켜져야 한다.
  6.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작업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 한다. 이제 노트북과 외부 모니터 두 대가 성공적으로 연결되었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5:

썬더볼트 또는 USB-C로 모니터 직렬 연결하기

PDF 다운로드
  1. 썬더볼트 또는 USB-C 케이블로 연결하려면 모니터 한 대에 썬더볼트 포트가 2개 있고, 노트북과 나머지 모니터는 포트가 1개 있어야 한다.
    • 썬더볼트와 USB-C 포트는 같은 커넥터를 사용하므로 노트북에 비디오 출력 가능 한 USB-C 포트가 있는 경우에도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모니터를 사용하기 전에 함께 제공된 케이블 로 전원에 연결해야 한다.
  3. 썬더볼트 포트는 모두 비디오 입/출력이 가능하므로 모니터에 포트가 여러 개 있는 경우 아무 포트나 사용해도 된다. [2]
    • 모니터에 USB-C 포트가 있는 경우 비디오 입/출력을 지원하는 포트인지 확인한다. 이를 확인하려면 모니터 사양과 포트가 "Alt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살펴본다.
  4. 모니터에 포트가 하나만 있는 경우 노트북을 다른 모니터에 연결한다.
  5. 현재 모니터에 노트북 화면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전원이 들어왔다는 표시로 화면이 켜져야 한다.
  6.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작업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 한다. 이제 노트북과 모니터 두 대가 썬더볼트 케이블로 성공적으로 연결되었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5:

도킹 스테이션 사용하기

PDF 다운로드
  1. 노트북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에 다른 커넥터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노트북에 USB-C 포트가 있는 경우 USB-C으로 도킹 스테이션과 연결한다. 그리고 출력 포트가 모니터와 호환되는지, 적절한 어댑터가 있는지 확인한다.
    • 일부 노트북은 도킹 스테이션 위에 올려놓고 제자리에 고정하면 도킹 스테이션과 연결되므로 연결 케이블이 없다.
  2. 모니터의 전원 코드 가 잘 연결되어 있는지, 도킹 스테이션에 전원이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대로 설정이 되지 않을 수 있다.
  3. 연결 방법은 노트북과 도킹 스테이션에 따라 다르므로 연결 방법을 잘 모르면 함께 제공된 설명서를 참조한다.
    • 가장 일반적인 연결 방법 두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 상단의 특정 위치에 노트북을 놓거나 내장 케이블로 도킹 스테이션과 연결하는 것이다.
  4. 적당한 케이블을 준비해 한쪽 끝은 모니터의 "In" 포트에, 다른 쪽 끝은 "Out" 포트에 꽂는다.
  5. 노트북을 충전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도 있으므로 케이블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충전기를 도킹 스테이션에 직접 연결한다.
  6. 도킹 스테이션의 전원을 켜지 않으면 모니터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도킹 스테이션의 전원을 켠다.
  7.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작업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정 한다. 이제 새 설정을 사용할 수 있다.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5:

여러 개의 포트를 이용해서 노트북 연결하기

PDF 다운로드
  1. 노트북에 포트가 여러 개 있고 직렬 연결 방식을 원하지 않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각 모니터와 포트를 연결하면 된다.
    • 노트북 포트와 모니터 포트가 호환이 되는지 확인한다. 호환이 되지 않는 경우 USB-C to HDMI 같은 어댑터나 HDMI-DisplayPort 케이블 같이 커넥터가 다른 케이블을 구입해야 한다.
  2. 모니터는 사용 전에 전원에 연결 되어 있어야 한다.
  3. 컴퓨터를 외부 디스플레이에 연결하려면 보통 HDMI 또는 DisplayPort 케이블이 필요하다.
    • 컴퓨터 또는 모니터의 연식에 따라 VGA 케이블이 필요할 수도 있다.
  4. 케이블이 포트에 잘 꽂혀 있는지 확인한다.
  5. 현재 모니터에 노트북 화면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전원이 들어왔다는 표시로 화면이 켜져야 한다.
  6.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절 하면 사용할 모니터의 수, 노트북 미러링 또는 별도 화면으로 사용 여부 등을 변경할 수 있다. 기본 설정이 변경되었으면 이제 다중 모니터 설정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광고
방법 5
방법 5 의 5:

HDMI 또는 DisplayPort 분배기 사용하기

PDF 다운로드
  1. HDMI 포트가 있는 노트북은 HDMI 분배기 가 필요하다. DisplayPort 포트가 있는 노트북은 DisplayPort 분배기 가 필요하다.
    • 모두 연결하기 전에 케이블이 충분히 있는지 확인한다. HDMI 또는 DisplayPort 케이블 2개가 필요하다.
  2. 전원 케이블 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계속한다.
  3. 이제 분배기의 HDMI 또는 DisplayPort 포트에 아무것도 꽂지 않은 채 분배기의 커넥터를 노트북의 HDMI 또는 DisplayPort 포트에 꽂는다.
  4. HDMI 또는 DisplayPort 케이블을 분배기의 "Out" 포트에 연결한 다음 호환 가능한 쪽을 모니터의 "In" 포트에 연결한다.
  5. 현재 모니터에 노트북 화면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전원이 들어왔다는 표시로 화면이 켜져야 한다.
  6. 사용자에게 잘 맞게 디스플레이를 설정한다 . 이제 디지털 작업 공간이 마련되었다.
    • 맥과 PC 모두 각 모니터의 번호를 볼 수 있는 옵션이 있다. 이렇게 하면 화면 내 작은 그림에서 숫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 모니터에서도 숫자가 보인다. 그 다음에 마우스로 모니터를 드래그해서 정확히 화면에 표시된 방향으로 배치한다. 예를 들어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5cm 위에 있으면 화면 상에서 5cm 위에 배치해 모니터가 원활히 작동하게 한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4,77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