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연구 논문을 쓸 때 원래 출처 자료 등이 필요하거나 자신의 주장을 권위자의 말을 빌려 강화하거나, 자신이 만들지 않은 용어를 설명하려고 하거나 해서 인용문을 추가하면 글이 더 좋아진다. 성공적인 논문을 작성하고 표절을 피하려면 인용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제대로 하는 것은 중요하다.

방법 1
방법 1 의 4:

여러 종류의 인용 활용하기

PDF 다운로드
  1. 다른 사람의 문장에서 몇 단어만 따 와서 인용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이 말을 누가 했는지, 이 말이 무엇을 가리키는지 애매해진다. 이 부분은 반드시 인용한 문장에서 밝혀주어야 한다.
    • 완전한 문장 사이에 단어를 끼워 넣자. 예: 렘브란트의 실력이 늘면서, "로맨틱하고 환상적인" 풍경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Wallace 96)
    • 출처를 밝혀서 일부만 가져 온 인용이라는 것을 보여 주자. 예: 렘브란트의 풍경화는 "로맨틱하고 환상적이었다." (Wallace 96)
  2. 4줄 이하의 인용을 하는 것을 전체 문장 인용이라고 한다. 이 문장들은 빠진 것이 없는 갖춘 문장이긴 하지만, 논문에서 따로 쓰일 수는 없는 문장을 의미한다. 추가적인 문장이나, 인용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문장으로 사용하면 된다.
    • 전체 문장을 인용되는 문장에 추가하는 예: 시간이 흐르면서 렘브란트의 작품의 주제는 변화해 왔다. 하지만 Wallace가 지적한 것처럼, "에치에 대한 렘브란트의 엄청난 재능 덕택에, 그는 상세한 부분을 세심하게 묘사하면서 자연스러움을 잃지 않았다."
    • 인용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을 사용하는 예: Wallace는 "에치에 대한 렘브란트의 엄청난 재능 덕택에, 그는 상세한 부분을 세심하게 묘사하면서 자연스러움을 잃지 않았다."라고 말했다.(142)
  3. 여러 문장으로 된 4줄 이상의 인용을 할 때에는 길이가 길어 자리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논문 하나에 1-2개 정도만 사용되어야 한다. 인용문과 자신의 글을 구분해 주기 위해서, 인용문 앞 뒤에는 빈 줄을 삽입해야 하며, 인용문의 좌우에는 여백이 많이 들어가야 한다.
    • 콜론을 이용해서 인용하는 예(영문): According to Wallace: [여기서 한 줄 띈 다음에 인용문을 추가해 준다]
    • 이렇게 덩어리로 인용할 경우 따옴표를 쓰지 않는다. 이 글을 쓴 사람이 누구인지 벌써 위에 적었기 때문이다. 인용이 끝날 때에는 괄호를 이용해서 출처를 밝혀 주기만 하면 된다.
    • 문단 한가운데에서 덩어리 인용이 있다면, 새로운 문단을 시작할 필요가 없다. 그냥 내용을 쭉 이어가면 된다. [1]
  4. 간접 인용을 하거나 출처에서 문장을 따 와서 자신의 말로 문장을 바꿀 때에는 50% 이상 바꾸어 주어야지 표절을 피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인용을 너무 많이 했거나, 인용의 기준을 맞출 수 없을 때 사용할 수 있다.
    • 각 부분을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바꾸어도 되고, 동의어를 찾아서 바꾸어도 된다.
    • 지금 인용하고 있는 내용을 이해하고 있을 때에만 말을 바꾸어야 한다. 인용문의 의미를 잘 모르겠다면, 자신의 말로 바꾸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 말을 바꿀 때, 인용문을 보지 말자. 의미를 자신의 머리 속에 담아 둔 후에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내자. [2]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4:

인용문 형식 갖추기

PDF 다운로드
  1. 글 중간에 인용문을 넣는다면, 문장 끝에 쉼표와 마침표를 찍어야 할 것이다. 따옴표 없이 인용을 한다면(예를 들어, 글이 하나의 작품에 대한 해설인 경우), 영어에서는 따옴표 대신에 쉼표와 마침표를 따옴표 대신 쓰기도 한다. 한국어에서는 그렇게 하는 경우가 드물다. 괄호로 인용할 때에는 쉼표나 마침표가 따옴표 밖에 위치한다.
  2. 인용 문구에 느낌표나 물음표가 있으면, 따옴표 안에 넣어 두자. 인용문에 대해 질문을 던지거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다면, 따옴표 바깥에 찍는다. 인용된 질문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면, 따옴표 바깥에 하나만 쓰면 된다.
    • 따옴표 안에 들어간 물음표의 예: 앨리스는 "그러면 어디로 가야 해요?"라고 물었다.
    • 인용문에 질문을 던지는 예: With so much contention, will literary scholars ever agree on “the dream-like quality of Alice’s adventure” (39)?
      번역: 논란은 많이 있지만, 문학을 전공한 학자들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꿈같은 특성"에 대해 반대할까?
    • 인용된 질문에 던지는 질문의 예: At this point in the story, readers communally ask “but where will I go?” (24).
      번역: 이 부분에서 독자들은 대개 "나는 어디로 가야 하지?"라는 질문을 던진다.
  3. 인용문의 일부만 사용할 경우, 또는 인용문의 중간을 잘라낼 경우, 말줄임표를 삽입해야 한다. 이것을 통해서 인용문에서 빠진 부분이 있음을 보여 준다. '…'을 사용해서 앞 또는 뒤에 사라진 부분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자.
    • 말줄임표는 인용문이 긴데, 중간에 별로 필요 없는 부분이 있다고 느낄 때 추가해서 삭제하는 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 어떤 사람이 이야기한 것처럼, "...독서를 했는데... 삶이 바뀌고, 좀 더 지혜로워졌다."
      안 좋은 예: 어떤 사람이 이야기한 것처럼, "지난 몇 주간 독서를 했는데, 무척 즐거웠을 뿐 아니라, 삶이 바뀌고, 좀 더 지혜로워졌다."
    • 말줄임표는 인용문 앞이나 뒤에 한 번만 쓰여야 한다. 양쪽에 다 쓰는 것이 아니다. 문장 가운데서 일부만 잘라내 쓴다면, 그냥 끼워 넣은 짧은 인용문일 뿐이다.
  4. 말줄임표의 반대는 대괄호인데, 필요에 따라서 인용문에 원래 있지 않았던 중요한/필요한 정보를 추가해 줄 때 사용한다. 몇 단어를 추가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데, 사람의 이름, 장소의 이름이 주로 많이 들어간다. 문맥을 제대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다.
    • 예: 많은 학자들이 말한 것처럼 "렘브란트가 그린 그녀[헨리케, 그의 정부]는 무척 정확하고, 감정으로 가득 차 있었다. (Wallace 49)
  5. 영어로 글을 쓸 때, 콜론이나 세미 콜론이 인용문이나 선택한 부분 뒤에 온다면, 문장 부호를 따옴표 뒤에 찍어 주어야 한다. [3]
  6. 직접 인용을 사용한다면, 문자 그대로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단어와 문법적 오류까지도 그대로 옮겨야 한다. 그 부분이 틀렸다는 점을 알고 있어도 말이다. 문제가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면, [sic](대괄호 안에 들어가며, 글자는 기울여야 한다)을 오류 바로 뒤에 붙이면 된다. 인용문에 오류가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이 만든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알려 줄 수 있다.
    • 예: As Dormer has noted, “his work is much more valuable now then [sic] it was at the time of its creation.”
      번역: 도머가 말한 것처럼, "그의 작품은 만들어졌을 때보다 지금 훨씬 더 가치가 높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4:

다른 스타일로 인용하기

PDF 다운로드
  1. MLA 형식으로 인용을 하면, 글 안에 저자의 이름과 출처의 페이지 번호를 같이 적어 주어야 한다. 괄호를 이용해서 표핸해 줄 수도 있고, 일부는 글 안에 나머지는 괄호에 나누어서 적어도 된다.
    • 예: "렘브란트의 인기가 사그라든 것은 그가 성경과 관련된 그림만 그리면서 시작되었다."(Wallace 112)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 예: 어떤 사람들에 의하면, "렘브란트의 인기가 사그라든 것은 그가 성경과 관련된 그림만 그리면서 시작되었다."(Wallace 112)라고 하지만,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다.
    • 예: Wallace는 "렘브란트의 인기가 사그라든 것은 그가 성경과 관련된 그림만 그리면서 시작되었다."(112)라고 말했다. [4]
  2. MLA 형식과 조금 다르다. 글 내부에 저자의 이름과 그 글이 출판된 연도를 적게 되어 있다. 괄호 안에 한 번에 들어가도 되고, 이름은 글 안에, 연도는 괄호 안에 나누어서 넣어도 된다. [5]
    • 예: 빌리의 성격이 말해주듯, "빌리는 카톨릭 교도가 아니었다. 자랄 때 집 벽에 십자가가 걸려 있기는 했지만 말이다."(Vonnegut 1969)
    • 예: Vonnegut이 "빌리는 카톨릭 교도가 아니었다. 자랄 때 집 벽에 십자가가 걸려 있기는 했지만 말이다."(1969)라고 말할 때에는 사실에 기반해 자신의 의견을 깔끔하게 정리했다.
    • 예: "빌리는 카톨릭 교도가 아니었다. 자랄 때 집 벽에 십자가가 걸려 있기는 했지만 말이다."(Vonnegut 1969)를 통해서, 우리는 그의 철학적 관점을 알 수 있다.
  3. 시카고 스타일의 경우에는 각주에 인용문을 추가해 준다. 논문에 인용하기 위해서, 인용할 때마다 각주의 번호를 문장 부호 끝에 바로 붙여 주어야 한다(인용문 내부가 아니다). 그리고 이 번호는 페이지 끝에 있는 번호와 일치해야 한다. [6]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4:

성공적인 인용을 위한 조언

PDF 다운로드
  1. 인용문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논문을 잘못 쓴 것처럼 느껴지는데, 다른 사람의 의견에만 지나치게 의존했기 때문이다. 자신이 글을 쓸 줄 알며, 또한, 많은 연구를 통해서 자신의 논지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노력했다는 점을 보여 주자.
  2. 직접 인용한다면, 자신의 통찰력이 특정 문구나 정보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이어야 한다. 인용문으로 또 그 뒤로 이어지는 배낀 내용의 요약이나 말바꾸기로 글을 채워서는 안 된다. 인용문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인용한 글이 하려는 말을 다시 한 번 바꿔서 말하지 말도록 하자. [7]
  3. 학술적인 글을 쓸 때 자주, 어떤 특정한 문구나 단어가 경험적인 출처에만 의존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부분을 더 잘 설명하거나, 말을 바꿀 수 없다면, 따옴표를 사용하자. 가능하다면, 말을 바꾸거나, 간접 인용을 해서, 글을 쓸 때 귀찮아 한 것 같은 느낌을 주지 않도록 하자.
  4. 주장하는 또는 연구에 기반한 논문을 작성할 때 인용은 특히 유용하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에 대한 증거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적절한 이유로 자신과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의 글을 인용하면 글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다. 그들의 말을 인용하고 그냥 다른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해 좀 더 자세해 설명해 주자. [8]
  5. 인용에 대할 표시가 없으면 헷갈리고 뭔가 말이 안 되는 것 같기도 하다. 인용이 문맥에 맞는지 확인하자. 인용을 할 때에는 독자도 그것이 인용된 문구라는 것을 정확히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해 놓자.
  6. "참고 문헌" 페이지는 논문 맨 끝에 위치한 것으로 출처의 목록을 적어 놓은 것이다.
    광고

  • 인용할 문구를 메모할 때 출처를 항상 표시해 놓자. 또한 마음에 드는 것은 별표 쳐 놓아서 나중에 찾아 보기 쉽게 해 놓자.
  • 다른 연구자들의 인용문을 계속 읽어 보자. 가끔은 인용된 글들에서 인용한 글들의 좋은 점을 알 수 있는 경우도 있다.
  • 자신과 반대되는 의견도 인용한 후에 반박을 하자. 그들의 말을 그대로 인용한 후, 반박하면 쉽다. 그렇지 않으면, 상대편에서 의미를 바꾼 것이라고 이야기할 것이다. 그들의 말을 그대로 가지고 온 후에 공격하자.
  • 복사해 넣을 때 주의하자. 자신이 나중에 글을 읽을 때, 인용문을 보고 인용문이라고 인식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자. 인용할 때에는 따옴표를 꼭 써 놓자. 따옴표는 나중에 빼도 된다.
광고

경고

  • "~는 이렇게 이야기했다/말했다/썼다." 등의 표현을 너무 많이 쓰지 말자. 다른 사람들이 과거에 이야기했던 것들을 모두 담고 싶은 마음은 알겠지만,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이다. 말을 바꾸고, 내용을 다시 정리하고, 자신의 말로 남이 했던 이야기를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이 자신이 연구한 것을 이해하고 있으며, 이렇게 하는 것이 더 재미있다. 새로운 생각이나 새로운 연구가 읽고 싶은 것이지, 인용문에 파묻히고 싶은 것이 아니다.
  • 한 출처에만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자. 연구할 때 책 하나만 읽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그 주제에 관한 책이 별로 없거나, 저자가 자신과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 때 그렇다. 한 권의 책에서 얼마나 인용할지 한도를 정하자. 특히 연구 내용이 많이 겹친다면 더 그렇게 해야 한다. 그 책의 저자의 생각을 보완하거나, 반대하는 문구도 찾아 보자. 그리고 스스로의 분석도 추가하자.
  • 그냥 받아 쓰지 말자. 서글프게도 실수로 표절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그리고 그 결과는 무척 참담하다. 표절하라고 했던 것은 아닌데, 다른 사람의 말을 그냥 받아 쓰고, 인용을 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표절은 표절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수업 노트에만 의존하고, 스스로의 연구 결과를 포함시키지 않는 것은 게으른 것이며, 메모하면서 출처를 적지 않는 것은 정리를 제대로 해 놓지 않은 것이다.) 출처가 어디인지 항상 기록해 놓는 습관을 갖자. 그런 문장들을 많이 적어 놓고, 나중에 말을 바꿔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많이 바꿔 주지 않으면, 나중에 말을 고치다가 원래 문장으로 돌아가 버릴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원래 문장을 앞에 놓고 쓰는 것이 좋다. 더 좋은 문장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그냥 인용을 하자.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14,020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