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피부 밑에 “이물질”이 박혔을 때 파편이 박혔다고들 한다. 대개 작은 나무 조각으로 인해 발생하지만 금속, 유리, 플라스틱 형태의 파편이 피부에 박힐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파편 조각들을 직접 빼낼 수도 있지만 피부에 깊이 박혔거나 특히 빼내기 힘든 부위에 박히면 병원에 가서 제거해야 한다. [1] 손가락이나 발톱 밑에 박힌 파편들은 특히나 고통스럽고 빼내기가 어렵지만 집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 있으니 살펴보도록 하자.

방법 1
방법 1 의 2:

족집게로 파편 제거하기

PDF 다운로드
  1. 파편이 손톱 밑에 깊이 박혔거나 이미 감염을 일으켰다면 병원에 가서 빼내야 한다. 파편이 박힌 지 며칠이 지나도 계속 아프고 그 부위가 빨갛게 부어 오르면 감염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 파편으로 인해 심각할 정도의 출혈이 생기면 응급실에 가서 파편을 제거해야 한다.
    • 파편이 손톱 밑에 박혀 직접 빼낼 수가 없다면 병원 방문을 예약한다. 의사가 파편을 제거하고 항생제를 처방해 줄 수 있다.
    • 대부분의 경우, 의사는 파편을 제거할 때 느낄 수 있는 고통을 줄이기 위해 국소마취제로 파편 주위를 마취한다.
    • 의사가 파편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손톱의 일부나 손톱 전체를 뽑을 수도 있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2. 집에서 직접 파편을 제거하려면 우선 족집게가 필요하다. 파편이 너무 작아 손으로 빼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파편이 손톱 밑에 박혀 있어서 피부 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다면 이럴 때는 바늘을 이용해 제거할 수도 있다. [3]
    • 파편을 빼낼 때 사용할 도구를 소독한다. 소독용 알코올이나 끓는 물로 족집게와 바늘을 소독할 수 있다.
    • 소독한 도구를 만지기 전에 손을 씻는다.
    • 파편을 빼기 전에 먼저 파편이 박힌 부위와 손톱을 씻어 감염을 막는다. 비누와 물로 씻기 어려우면 소독용 알코올로 닦는다.
    • 손톱이 길 경우, 파편을 제거하기 전에 파편이 박힌 부분의 손톱을 깎는다. 이렇게 하면 파편 부위가 더 잘 보이게 된다.
  3. 파편이 박힌 곳 전체를 볼 수 있도록 충분히 밝은 곳을 찾는다. 손톱 위로 노출된 파편 끝을 족집게로 집는다. 족집게로 파편 끝을 단단히 잡았으면 파편이 박혔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잡아 뺀다. [4]
    • 파편은 나무나 유리 등의 경우 여러 개의 조각일 수도 있고 살갗에서 빼내다가 부러지거나 깨질 수가 있다. 파편 전체를 직접 빼낼 수 없으면 병원에 가서 남아 있는 파편들도 제거해야 한다.
  4. 손톱 밑에 박힌 파편의 경우에는 너무 깊게 박혀 있어서 피부 위로 돌출된 부분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파편은 혼자서 제거하기가 꽤 어렵겠지만 바늘을 이용해 파편의 일부를 빼낸 뒤 족집게로 집어 낼 수 있다. [5]
    • 이러한 과정에는 바느질에 쓰는 작은 바늘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기 전에 소독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 손톱 밑, 파편 끝으로 바늘을 밀어 넣은 뒤 파편의 끝부분을 들어올린다.
    • 파편 끝을 충분히 들어올렸으면 족집게로 잡은 뒤 파편이 박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5. 파편을 일부 또는 전부 다 제거했으면 비누로 깨끗하게 씻은 뒤 감염을 막기 위해 폴리스포린 같은 항생제 연고를 바른다. [6]
    • 파편이 박혔던 부위가 피가 나거나 혹시라도 감염될 수 있는 부위라면 밴드를 붙여도 된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다른 방법으로 파편 빼내기

PDF 다운로드
  1. 파편이 깊게 박혔거나 족집게로 집기에 너무 작을 경우 따뜻한 베이킹소다 물로 진정시킬 수 있다. [7]
    • 베이킹소다 1테이블스푼을 탄 따뜻한 물에 손가락을 담근다. 이 방법으로 효과를 보려면 하루에 2번까지 해야 한다.
    • 이 방법을 사용하면 족집게로 빼낼 수 있을 만큼 파편이 피부 표면과 가까워지거나 저절로 떨어져 나오게 되는데 그러기까지는 며칠이 걸릴 수도 있다.
  2. 파편을 제거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테이프 사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상당히 간단하다. 피부 쪽으로 노출된 파편 부분에 테이프를 붙인 뒤 재빨리 테이프를 떼낸다. [8]
    • 테이프의 종류는 중요하지 않지만 투명한 테이프를 사용하면 파편이 더 잘 보인다.
    • 손톱을 자르면 테이프를 파편 조각에 더 바짝 붙일 수 있다.
  3. 굉장히 가느다란 파편일 경우 족집게로 집기가 어렵다. 이런 파편이 손톱 밑에 박혔을 경우에는 헤어왁스를 사용한다. 끈적거리는 헤어왁스 성분이 돌출된 파편 주변에 붙어 쉽게 굳는다. [9]
    • 손톱을 자르면 파편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열을 가한 헤어용 왁스를 파편 부위에 바른다. 파편이 노출된 부분에 모두 바를 수 있도록 한다.
    • 왁스가 마르기 전에 왁스 끝에 천조각을 붙인다.
    • 천조각 끝을 단단히 잡은 뒤 재빨리 떼어낸다.
  4. 이크타몰(ichthammol) 연고로 알려진 검은 고약을 이용해 손톱 밑의 파편을 제거할 수 있다. 이 연고는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연고가 파편이 박힌 부위의 피부를 말랑하게 만들기 때문에 파편이 저절로 빠지는데 도움이 된다. [10]
    • 파편이 박힌 부위의 손톱을 일부 또는 전부 깎아내서 파편에 바짝 바를 수 있게 한다.
    • 이 연고는 통증이나 불쾌감을 완화시켜 주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 파편이 박힌 부위에 연고를 소량 바른다.
    • 밴드로 그 부위를 덮거나 감싼 뒤 24시간 동안 놔둔다. 검은 고약은 옷이나 침구류 같은 천에 얼룩을 남기므로, 고약이 새어 나오지 않게 주의하면서 고약을 바른 부위를 밴드로 확실히 두른다.
    • 24시간 후에 밴드를 떼낸 후 파편이 빠졌는지 살펴본다.
    • 고약의 목적은 파편이 저절로 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24시간 후에도 파편이 떨어지지 않을 경우, 파편을 집어 낼 수만 있다면 족집게를 사용해 파편을 제거할 수 있다.
  5. 고약 대신 베이킹소다 반죽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킹소다 반죽은 다른 방법이 모두 효과가 없을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베이킹소다 반죽 때문에 파편이 박힌 부위의 피부가 더 부어 올라 파편을 빼내기가 더 어려워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11]
    • 파편이 박힌 부위의 손톱을 일부 또는 전부 잘라서 파편 부위를 더 노출시킨다.
    • 베이킹소다 1/4과 물을 섞어 된 반죽을 만든다.
    • 파편 부위에 반죽을 바른 뒤 그 부위에 밴드를 붙이거나 두른다.
    • 24시간 후에 밴드를 제거한 뒤 파편을 확인한다.
    • 반죽만으로도 파편이 저절로 떨어져 나갈 만큼 충분할 수 있지만, 만일 24시간으로 충분하지 않으면 한 번 더 반죽을 바른 뒤 또 24시간 놔둔다.
    • 파편이 충분히 피부 표면 밖으로 충분히 빠져나오면 그 때 족집게를 이용해 빼낼 수 있다.
    광고

  • 손톱과 발톱 밑에 생기는 ‘손톱밑선상출혈(Splinter hemorrhage-Splinter는 파편을 뜻한다)'이라는 질병이 있다. 이 질병은 실제 파편 조각에 의해 생기는 것이 아니고 아무 관련도 없다. 그런데도 영어로 Splinter hemorrhage 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손톱, 발톱을 통해 보이는 핏자국이 파편 조각의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이다. [12]
  • 일반적으로 나무나 가시 같이 유기물질로 된 파편들은 피부에서 빼내지 않으면 감염을 일으키기 쉽다. 그러나 유리나 금속 같은 비유기물질은 피부에 박혀 있어도 감염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34,33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