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신뢰란 성공적인 인간 관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1]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신뢰한다는 것은 자신의 부족한 점을 그 사람이 잘 채워줄 것이라는 것을 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면 신뢰를 쌓을 수 있다. 신뢰를 쌓는 데에는 믿을만한 태도와 행동을 보이는 것이 필요하다. [2]

방법 1
방법 1 의 4:

믿을만한 사람이 되기

PDF 다운로드
  1. 신뢰를 쌓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자신이 한 말을 지키는 것이다. [3] 그것이 작고 사소한 것이라도 자신이 한 말을 지키지 않는 사람은 신뢰를 쌓을 수 없다.
    • 가끔씩 어기는 것이 큰 일처럼 보이지 않아도, 이런 어기는 일들은 쌓이기 마련이다. 결국에는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
  2.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믿을만하다고 생각을 하게 만들어야 한다. [4] 따라서 약속을 했으면 지켜야 한다.
    • 약속을 지킬 수 없는 상황이 왔다면, 왜 약속을 지킬 수 없는지 설명을 하자.
    • 특히 약속이 중요한 것이라면 설명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그 약속을 어겨서 생기는 손해에 대한 보상을 약속해야 한다. 그리고 그 약속은 무슨 일이 있어도 지켜야 한다.
    • 원래 했던 약속을 무시하지 말자. 약속이 작고 별로 중요하지 않아 보여도, 약속을 같이 한 사람은 분명 그 약속을 중요하게 여길 수도 있다. 약속을 지키지 않아서 무척 서운해 할 수 있다.
  3. 신뢰할만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이 한 말에 대해 긴 시간 꾸준히 지켜야 한다. 신뢰할만한 사람은 언제든지 신뢰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 자신이 한 말을 한두 번 지킨다고 해서 신뢰가 쌓이지는 않는다. [5]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4:

정직해지기

PDF 다운로드
  1. 최대한 사실대로 이야기하자 . 모든 사실을 전부 다 이야기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경우가 있기야 하지만, [6] 정직이 거의 모든 경우 최선의 선택이다.
    • 정직하게 이야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때는 거짓말을 통해 내가 이득을 얻을 때이다. [7] 손해를 감수하며 사실을 이야기했을 때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 된다. 그리고 사실을 듣는 사람이 자신보다 더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8]
    • 예를 들어, 친구가 책을 빌려 주었는데, 거기에 커피를 쏟았다고 하자. 책을 잃어 버렸다고 이야기를 하거나 새로 한 권 사서 주면서 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이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솔직히 말해야 한다. 책이 손상된 것은 큰 일이 아닐 수 있다. 하지만 나중에 거짓말이 들통났을 때 생길 신뢰의 금은 복구하기 어렵다.
  2. 가끔은 거짓말을 꼭 해야 할 것 같은 때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려고 한 것은 아닌데 거짓말이 된 경우도 있다. 누군가에게 거짓말을 했다면 최대한 빨리 고백하자. 그리고 거짓말을 하게 된 이유와 반성하는 마음을 꼭 말해 주자. [9]
    • 거짓말이 들통났다면 부정하지 말자. 부정하는 것은 또 하나의 거짓말이다. 그러면 신뢰는 더 무너진다.
  3.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 또는 듣기 싫은 말을 듣고 싶지 않아서 거짓말을 할 것 같다면, 무엇을 이야기해야 하는지 우선 집중하자. 그리고 듣는 사람에 대한 좋은 점을 한 후에 그것을 대화할 때 강조하자.
    • 나쁜 소식보다는 나쁜 소식의 좋은 점을 강조하자.
    • 들으려고 하자. "내가 보기에는" "내 생각에는" 같은 문구를 사용해서 사실에 대한 자기 생각이라는 것을 강조하자. [10] 이렇게 하면 다른 생각에도 관심이 있다는 점을 보일 수 있고, 신뢰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친구에게 실수했다는 점을 이야기해 주고 싶은데 중립적인 관점에서 이야기해 주고 싶다고 하자. 그러면 친구의 장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친구로서 소중히 여긴다고 이야기해 준 후에, 그 상황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해 주자.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들어 보자. 상황이 좋지 않은데 좋다고 거짓말을 하지 말자.
    • 이렇게 이야기해 보자. "민영아, 우리 보고서에서 큰 실수를 한 것 같아. 아무래도 일하다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런 일이 벌어진 것 같아. 최대한 빨리 고객에게 이야기를 하고 새로운 보고서를 제공해야 할 것 같아."
  4. 사실만 나열하는 사람에게는 차가운 반응만이 뒤따를 뿐이다. 그리고 신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자신이 겪은 사실만 나열하는 것이 쉽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관심과 이해가 없다면, 다른 사람의 부끄러운 점만 들추고 다닌다고 생각할 것이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4:

열린 마음 갖기

PDF 다운로드
  1. 모호하게 넘어갈 수도 있지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많은 경우 더 좋은 선택이다. 자신이 정보를 숨기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 좋다. [11]
    • 새롭게 알게 된 사람에게서 "오늘 어땠어?"라는 질문을 듣는다면, 대답은 "괜찮았어" 정도가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대답은 신뢰를 쌓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보를 하나도 공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다른 대답을 생각해 보자. "병원에 다녀왔어요. 정기 검진 같은 거였는데, 심장 쪽에 뭔가 문제가 있다고 하시네요. 확실한 대답은 안 해 주셨는데, 다음 주에 와서 자세하게 검사를 해 보자고 하셨어요. 걱정해야 되는 건지 모르겠네요." 자신의 상황에 대해 솔직히 이야기했기에 신뢰가 쌓이게 될 것이다.
    • 이런 상황에서 의사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으면 나중에 그 사람은 화가 많이 나게 될 것이다. 정보의 누락은 신뢰에 많은 악영향을 준다. 왜냐하면 그 검사 때문에 얼굴에 근심이 가득한 것이 보이는데, 이유를 모르기 때문이다. 도와 줄 방법이 없는지 함께 생각하고 싶을 것이다.
  2. 중요한 부분을 빠뜨리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그것을 빠뜨리면 일관성을 잃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뭔가 빠졌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리고 신뢰를 잃게 될 것이다.
    • 신뢰를 쌓고 싶다면, 사람들에게 알아야할 것과 알고 싶어하는 것들을 다 이야기해 주자.
  3. 자신의 기분을 상하게 하고 비밀을 드러내면서까지 신뢰를 쌓을 필요는 없다. 기억해야 할 것은 모든 사람은 자기 자신의 정보를 지켜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12] 신뢰할만한 관계를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공개할 것과 공개하지 말 것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 예를 들어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다. "아직 내 감정을 공유할 준비가 되지 않아서 이야기해 줄 수가 없어. 하지만 걱정할만한 일은 아니야." 이렇게 이야기하면 듣는 사람이 이해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듣는 사람이 안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이 모호하게 넘어가거나 거짓말하는 것보다 낫다.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4:

성실한 모습 보이기

PDF 다운로드
  1. 다른 사람에게 밝혀지기 원하지 않는 비밀을 알고 있다면 절대 누설하지 말자. 신뢰를 해치는 일이다. [13]
    • 스트레스를 받거나 피곤하거나 생각하기 힘이 들 때 비밀을 누설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자. 그래야 자신의 비밀이 누설됐다는 것을 다른 사람을 통해 듣지 않게 된다. 그리고 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2. 여기서 충성심이란 그를 지키고 항상 그의 편에 있으려는 마음가짐이다. 이런 행동은 그가 볼 때 그리고 보지 않을 때 다 그러해야 한다.
    • 충성스런 모습을 보였을 때 신뢰가 쌓인다. 다른 사람의 관심이나 그와의 관계를 더 중요하게 여겼을 때 신뢰는 쌓이게 된다. [14]
    • 예를 들어, 함께 일하는 사람과 야근을 해서 도와 주는 것도 신뢰를 쌓는 방법이다.
  3. 자신의 감정을 조절해서 다른 사람의 존경과 존중을 받을 수 있다. 감정이 불안정한 사람을 신뢰하는 사람은 없다.
    • 포츈지 500대 기업 임원들에 대해 연구한 결과 자신의 감정을 절제하고 적절히 표현한 사람이 신뢰를 더 얻었다고 한다. [15]
    • 예를 들어, 누군가가 작은 실수를 했다고 불같이 화를 내지 말자. 신뢰가 무너진다.
    • 감정에 사로잡힌 경우, 자신의 몸이 보내는 신호를 눈치채야 한다. 주먹 쥔 손을 펴고, 턱을 풀고, 근육의 긴장을 풀자.
    • 숨 쉬는 것에 집중하면 감정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자신이 숨을 어떻게 쉬고 있는지 살펴 보자. 숨 쉬는 것을 생각하고 바꾸려 할 필요는 없다. 그냥 자신이 어떻게 숨을 쉬고 있다는 것만 알면 된다.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면 다시 숨 쉬는 것에 집중하도록 하자. [16]
    •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알게 되면, 주위 사람들이 자신이 어떻게 행동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더 많은 신뢰를 받을 수 있게 된다.
  4. 어떤 행동들은 신뢰를 무너뜨리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17]
    • 수치심 주기 또는 깎아 내리기
    • 다른 사람으로부터 떨어지기
    • 협박 혹은 다치게 하기
    • 난폭한 행동은 완벽히 피하자. 이런 행동을 한 적이 있다면, 바로 사과하자. 더 잘하겠다고 약속하고, 그 약속을 지키자.
  5. 난폭하거나 공격적인 태도보다는 직접적으로 표현하자. 다른 사람의 필요나 의견을 존중하면서 자신의 필요를 직접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다. [18]
    • 뭔가를 하고 싶지 않을 때 "아니요"라고 말하고,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는 것도 포함된다. [19]
    •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을 표출하고, 다른 사람을 괴롭히지 않는 것도 의미한다.
    • 예를 들어, 이웃집에서 음악을 너무 크게 튼다고 하자. 공격적인 방법이야 그 집에 찾아가서 "당장 음악 꺼요. 경찰 부르기 전에!"처럼 소리치는 것일 것이다. 직접적인 표현 방법은 그 집에 노크한 후 조용히 "제가 이제 자려하는데요. 혹시 음악 좀 작게 틀어 주실 수 있으세요?"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욕하거나 협박하지 않고 그에게 문제를 말해 줄 수 있다.
  6. 신뢰를 깨는 행동을 했다면, 그러지 않겠다고 약속을 하고, 그렇게 행동을 하자. 기억해야 할 것은 이 행동을 꾸준히 해야지 신뢰를 다시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 약속을 하는 것만으로는 신뢰를 단기간만 회복시킬 뿐이다. [20]
    • 사과하는 행동 자체는 장기적인 신뢰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21]
    광고

  • 자신을 속이는 것 역시 거짓말이다. 스스로는 말한 것을 지켰다고 정직하게 이야기했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주변 사람들은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대로 현실을 바라 보면서 남들도 똑같이 봐 주기를 바랄 수는 없다. 다른 사람이 자신이 한 행동이나 말이 신뢰하기 어렵다고 느낀다면, 신뢰는 끊어질 것이다.
  • 거짓말을 하지 말자. 한 번 거짓말을 하면 거짓말을 기억하고 또 거짓말을 해야 한다. 계속 거짓말을 하면 사람들이 눈치를 채게 될 것이다.
광고

경고

  • 얍삽한 행동은 신뢰를 깨뜨린다. 얍삽한 행동을 어떤 이유에서든지 하고 있다면, 자신에게 도대체 무엇을 얻으려고 그러고 있는지 한 번 확인해 보도록 하자. 그리고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좋은 일인지도 생각해 보자. 자신도 그 행동을 좋아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사람에게 다가가는 방법이 그것밖에 없다고 느꼈다면, 사회 생활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의미이다.
  • 경우에 따라서는, 신뢰를 깨는 사람들은 정신적 질환이나, 통제 불가능한 분노, 또는 다른 문제들로 고통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런 상황에는 전문가를 찾아가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광고

출처

  1. Simpson, J. A. (2007).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rus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5), 264-268.
  2.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 Camerer, C. (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3. http://www.huffingtonpost.com/margaret-paul-phd/keeping-promises_b_2519691.html
  4. Simpson, J. A. (2007).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rus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5), 264-268.
  5. Simpson, J. A. (2007).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rus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5), 264-268.
  6. Plante, T. G. (2004). Do the Right Thing. Living Ethically.
  7. Simpson, J. A. (2007).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rus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5), 264-268.
  8. Simpson, J. A. (2007).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rus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5), 264-268.
  9. http://www.relationshipgold.com/communication/apologizelyin.htm
  1. Knapp, M. L. "Lying and deception in human interaction." (2008).
  2. http://www.wphealthcarenews.com/8-ways-to-build-trust-in-uncertain-times/
  3. Petronio, S. (2013). Brief status report on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13(1), 6-14.
  4. http://goweloveit.info/lifestyle/8-things-to-stop-doing-right-now-if-you-want-people-to-like-you/
  5. Simpson, J. A. (2007).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rus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5), 264-268.
  6. Goleman, D. (1998).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7. Arch, J. & Craske, M., (2006). Mechanisms of mindfulness: Emotion regulation following a focused breathing induct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 1849–1858.
  8. Shepard, M. F., & Campbell, J. A. (1992). The abusive behavior inventory A measure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abus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7(3), 291-305.
  9.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stress-management/in-depth/assertive/art-20044644
  10.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stress-management/in-depth/assertive/art-20044644 .
  11. Schweitzer, M. E., Hershey, J. C., & Bradlow, E. T. (2006). Promises and lies: Restoring violated trust.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01(1), 1-19.
  12. Schweitzer, M. E., Hershey, J. C., & Bradlow, E. T. (2006). Promises and lies: Restoring violated trust.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01(1), 1-19.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36,132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