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얼음사탕은 부엌에서 실험해볼 수 있는 간단하고 맛있는 실험이다. 얼음사탕은 실이나 나무 막대에 만들 수 있으며 맛과 향까지도 첨가해볼 수 있다. 상상 속의 얼음사탕을 이 글을 읽고 만들어보도록 하자.

재료

  • 물 2컵 (480ml)
  • 그래뉼 백설탕 4컵 (950g)
  • 식용 색소 (선택사항)
  • 착향료 (선택사항)
방법 1
방법 1 의 3:

설탕 용액 만들기

PDF 다운로드
  1. 혼자 가스레인지 또는 전기레인지를 쓰기 힘들다면 어른 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끓는 물은 화상을 입을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1]
    • 가급적이면 증류수를 사용하도록 한다. 설탕은 수돗물의 불순물에도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에 수돗물을 사용하면 물이 증발하면서 실이나 막대에 사탕이 생기는 것이 아닌 병 바닥에 결정들이 생기게 될 수 있다. [2]
    • 가스레인지나 전기레인지를 사용할 수 없다면 전자레인지를 써도 무방하다. 설탕과 물을 전자레인지용 용기에 넣고 섞은 뒤 전자레인지에 넣고 강으로 2분 동안 돌리도록 하자. 이후 용기를 꺼내 설탕물을 다시 잘 저어준 뒤에 2분 동안 다시 돌린다. 마지막으로 설탕물을 다시 저으면 설탕이 물에 완전히 용해될 것이다. [3]
    • 전자레인지용 용기와 냄비를 잡을 때는 보호구나 장갑을 껴서 화상을 입지 않게 하자.
  2. Watermark wikiHow to 얼음사탕 만드는 법
    설탕을 넣은 뒤에 숟가락으로 잘 저어 녹이도록 하자. 물이 설탕으로 포화되기 시작하면 설탕이 녹지 않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설탕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2분 정도가 걸릴 수 있다. [4]
    • 물이 투명한 느낌이 날 때까지 용액을 저어주도록 하자. 용액이 흐릿하거나 설탕이 더 이상 녹지 않기 시작했다면 불을 더 세게 해 물을 팔팔 끓게 하자. [5]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에 비해 포화점이 높아 나머지 설탕이 용해되게 한다. [6]
  3. 설탕이 냄비 바닥에 남지 않게 해야 한다. 녹지 않은 설탕이 병 바닥에 남게 되면 사탕을 만들 때 설탕 결정이 실이나 막대가 아닌 바닥의 설탕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한다. [7]
    • 끓는 물에도 용해되지 않는 설탕이 있다면 용액을 체에 한 차례 걸러 액체만 병에 담도록 한다.
    • 지금 만들어진 용액은 과포화된 용액이다. 즉, 일반적인 실온인 상태보다 더 많은 양의 설탕이 물에 녹아있다는 뜻이다. 용액이 식은 뒤에는 물의 포화점이 낮아져 설탕이 더 이상 녹은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액체 상태로 남지 못하게 된 설탕들은 병에 넣은 막대나 실에 결정 형태로 달라붙게 된다. [8]
  4. Watermark wikiHow to 얼음사탕 만드는 법
    좋아하는 색과 맛을 잘 맞춰보도록 하자. 파란색을 블루베리, 빨간색을 딸기, 보라색을 포도와 같이 말이다. 색을 봤을 때 맛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리고 식용 색소와 착향료를 넣은 뒤에는 잘 섞어 색과 맛이 고르게 퍼질 수 있게 하자. [9]
    • 착향료는 몇 방울만 떨어뜨려도 된다. 그리고 용액의 색을 약간 더 어둡게 하는 것이 결과가 더 좋게 나온다. [10]
    • 쿨에이드와 같은 음료 믹스를 넣어 향과 맛을 더해볼 수도 있다.
    • 레몬, 라임, 오렌지 등 과일향 사탕을 만들기 위해 과일 주스를 넣어보자.
    • 페퍼민트, 딸기, 바닐라, 바나나 등의 다양한 추출액을 넣어볼 수도 있다.
  5. Watermark wikiHow to 얼음사탕 만드는 법
    병은 길이가 긴 원통형의 유리병을 구하도록 한다. 플라스틱은 뜨거운 용액을 넣었을 때 녹을 수 있다. 병의 입구 부분까지 용액을 채우도록 하자.
    • 용액을 넣기 전에 유리병을 깨끗하게 씻어 먼지가 없게 하자. 먼지 알갱이 하나에도 설탕 결정이 형성될 수 있다. 실과 막대에만 결정이 달라붙어야 원하는 얼음사탕을 만들 수 있다. [11]
    • 용액을 부어넣은 뒤에는 먼지가 병 입구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왁스지나 양피지(베이킹 시트)로 입구를 덮어주도록 한다. [12]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실에 얼음사탕 만들기

PDF 다운로드
  1. Watermark wikiHow to 얼음사탕 만드는 법
    종이 클립을 매다는 이유는 실에 무게추를 달아 실이 쭉 일자로 병 바닥까지 내려가게 하기 위함이다. 실이 유리병 옆면에 닿게 되면 결정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실의 길이는 병 높이의 2/3 정도가 되게 하면 좋다. 완전히 바닥에 닿게 해선 안 된다. 높이가 병의 2/3 정도만 되어야 결정이 형성될 공간이 생긴다. [13] 실이 바닥 또는 옆면과 접촉하고 있거나 너무 가까우면 결정이 작아지거나 아예 실에 달라붙지 못할 수 있다.
    • 실의 소재도 중요하다. 가능하면 면이나 노끈 등의 천연 소재로 된 실을 쓰도록 하자. 나일론이나 낚싯줄은 표면이 너무 부드러워 설탕 결정이 틈에 파고들어 달라붙어 성장하기가 어렵다. [14]
    • 실에 무게를 주기 위해 작은 나사나 볼트를 매달아도 좋다. 아니면 다른 얼음사탕을 매달아도 좋다. 얼음사탕을 매달아놓으면 결정이 더 빨리 자라게 된다. [15]
    • 연필이 병 안으로 떨어지지 않게 충분히 길어야 한다. 대신 나무 막대나 버터나이프, 꼬치 막대 등을 사용해도 좋다. 버터나이프와 아이스크림 막대의 경우 한 면이 납작하기 때문에 더 안정적으로 병 입구에 걸칠 수 있다. 연필은 구를 수 있어 자칫하면 결정이 망가질 수도 있다.
  2. Watermark wikiHow to 얼음사탕 만드는 법
    실이 마르면서 점차 단단하게 굳을 것이다. 게다가 물이 증발하면서 실에 작은 결정들이 생기게 된다. 이 작은 결정들이 씨앗 결정이 되며 더 큰 결정이 자라기 위한 재료로 쓰인다. [16]
    •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실을 완전히 말려야 한다. 또한 실을 다시 용액에 넣을 때는 씨앗 결정들이 떨이지지 않게 조심하자. [17]
    • 이 과정을 건너뛰어도 좋고 실에 약간의 물을 묻힌 뒤에 그래뉼라 설탕을 뿌려도 좋다(대신 다시 유리병에 담긴 용액에 넣기 전에 실이 완전히 말린 상태여야 설탕들이 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씨앗 결정을 만들어야 결과적으로 얼음사탕이 빠르게 성장하고 결정들이 성공적으로 생길 확률이 높아진다. [18]
  3. Watermark wikiHow to 얼음사탕 만드는 법
    실이 곧게 아래로 뻗어 바닥이나 옆면을 건드리지 않아야 한다. [19] 다음으로는 입구를 종이 타올로 덮으면 된다. 크린랩을 사용해 병 입구를 밀봉해버리면 결정이 생기지 않을 수도 있다. 결정이 생기려면 수분이 증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 물이 증발하게 되면 남은 용액이 설탕으로 과포화되어 설탕이 강제로 액체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렇게 액체 상태에서 나온 설탕 분자들은 실에 달라붙어 얼음사탕을 만들게 된다. [20]
    • 가급적이면 연필을 병에 테이프로 붙여 굴러다니지 않게 하자. 자칫하면 결정 형성이 방해받을 수 있다. [21]
  4. 큰 결정을 원한다면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장소에 보관하도록 한다. 수분이 천천히 증발해야 결정이 자랄 시간이 많아져 더 큰 결정을 형성할 수 있다. [22]
    • 결정의 크기에 상관없이 빨리 키우고 싶다면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유리병을 놓아 물이 빠르게 증발할 수 있게 하자. [23]
    • 진동은 결정 형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유리병을 기본적으로 바닥에 놓지 말고 음악이나 소음(스테레오나 티비 등), 사람들이 걸어다닐 때 생기는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에 보관하자. [24]
  5. 유리병을 건드리거나 치면 결정 형성이 방해받으며 실에서 결정이 떨어져나갈 수도 이다. 한 주 정도 가만히 방치해놨다면 크고 매끄러운 결정을 보게 될 것이다. [25]
  6. 가위로 종이 클립을 잘라내도록 하자.
    • 얼음 사탕이 유리에 붙은 상태라면 유리병 아래쪽에 뜨거운 물을 닿게 하자. 그러면 설탕의 결합이 느슨해져 사탕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병 바깥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26]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막대에 얼음사탕 만들기

PDF 다운로드
  1. Watermark wikiHow to 얼음사탕 만드는 법
    과립설탕은 모결정 역할을 한다. 이 모결정은 용해된 설탕이 달라붙어 결정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장소라고 보면 된다. [27] 모결정이 있어야 얼음사탕이 더 쉽게 성장하며 결정의 부착 및 형성이 빨라질 수 있다.
    •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막대를 완전히 건조시키도록 한다. 설탕이 막대에 완전히 달라붙지 않으면 병 안에서 설탕이 떨어져나가게 되며, 이후에 생기는 설탕 결정도 막대가 아닌 병 바닥의 설탕을 중심으로 생기게 된다. [28]
  2. 막대가 유리와 접촉하면 결정이 생기기 힘들어지며 추후에 사탕이 유리병의 측면이나 바닥에 붙어버릴 수도 있다. [29]
    • 막대 끝부분을 병 바닥과 최소 2.5cm 정도 떨어뜨려놓도록 하자. [30]
  3. Watermark wikiHow to 얼음사탕 만드는 법
    집게로 집은 막대가 병 중앙에 고정되게 하자. [31] 병 입구가 큰 경우에는 큰 빨래집게를 쓰면 된다.
    • 막대를 확실하게 집게로 잡아주자. 또한 막대가 병 중앙에 자리잡아야 한다.
    • 이후에 병 입구를 종이 타올로 덮어주자. 막대가 들어갈 부분에는 작은 구멍을 뚫어주면 된다.
  4. 음악, 티비, 또는 과격한 활동이 진동을 일으켜 결정의 형성을 방해하거나 막대에서 결정을 떨어뜨릴 수 있다. 가장 좋은 것은 소리와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시원하거나 실온 상태인 공간에 병을 보관하는 것이다. [32]
  5. 유리병을 건드리거나 움직이면 막대에서 결정이 떨어질 수도 있다. [33] 충분히 결정이 모였거나 결정이 더 성장하지 않을 때 막대를 제거하고 왁스지에 올려 말리도록 하자.
    • 액체 표면에 층이 생겼다면 버터나이프를 사용해 조심히 구멍을 뚫어 얼음사탕을 빼내도록 하자. [34]
    • 얼음사탕이 유리에 달라붙었다면 병 아래쪽에 뜨거운 물을 부어 설탕의 결합을 느슨하게 만들어 안전하게 얼음사탕을 빼내도록 하자. [35]
  6. 광고

  • 이 얼음사탕 제조법은 학교에서의 과학 실험에서도 사용해볼 수 있다.
  • 하루가 지나도 실에 결정이 달라붙지 않는다면 연필과 실을 제거한 뒤 물을 다시 끓이면서 설탕을 더 넣어보도록 한다. 설탕이 더 용해된다면 처음에 설탕을 충분히 녹여넣지 않은 것이다. 이후에 과포화된 용액을 넣고 다시 결정을 만들도록 하자.
  • 설탕을 너무 조금 또는 너무 많이 넣으면 결정이 자라지 못한다.
  • 인내심을 가지고 오래 기다려야 얼음사탕이 만들어진다.
  • 전자레인지로 얼음사탕을 만들 때는 시럽이 끓어넘칠 수 있으니 그릇을 주의깊게 보도록 한다.
  • 냄비를 다룰 때는 끓는 설탕이 넘쳐 몸에 화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 부분을 몸과 멀리 떨어뜨려놓자.
광고

경고

  • 병에 장난을 치거나 용액 안에 손가락을 집어넣지 말자. 자칫하면 결정의 형성 과정이 지장을 받을 수도 있다. 결정이 자라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지만 결정의 성장이 더 느려지는 것은 확실하다.
광고

필요한 것

설탕 용액

  • 냄비
  • 나무 수저

얼음사탕 (실)

  • 연필, 아이스크림 막대, 버터나이프, 나무막대
  • 종이 클립 또는 작은 볼트
  • 플라스틱이 아닌 길고 좁은 유리병

얼음사탕 (막대)

  • 아이스크림 또는 꼬치 막대
  • 빨래집게
  • 플라스틱이 아닌 길고 좁은 유리병
  1. https://sciencebob.com/make-your-own-rock-candy/
  2. http://sciencenotes.org/solutions-to-common-crystal-growing-problems/
  3. https://www.exploratorium.edu/cooking/candy/recipe-rockcandy.html#
  4. https://www.exploratorium.edu/cooking/candy/recipe-rockcandy.html#
  5. http://sciencenotes.org/solutions-to-common-crystal-growing-problems/
  6. https://www.exploratorium.edu/cooking/candy/recipe-rockcandy.html#
  7. https://sciencebob.com/make-your-own-rock-candy/
  8. https://sciencebob.com/make-your-own-rock-candy/
  9. https://sciencebob.com/make-your-own-rock-candy/
  10. http://www.sciencebuddies.org/science-fair-projects/project_ideas/FoodSci_p005.shtml#procedure
  11. https://www.exploratorium.edu/cooking/candy/recipe-rockcandy.html#
  12. http://www.sciencebuddies.org/science-fair-projects/project_ideas/FoodSci_p005.shtml#procedure
  13. http://sciencenotes.org/grow-table-salt-or-sodium-chloride-crystals/
  14. http://sciencenotes.org/grow-table-salt-or-sodium-chloride-crystals/
  15. http://sciencenotes.org/grow-table-salt-or-sodium-chloride-crystals/
  16. https://www.exploratorium.edu/cooking/candy/recipe-rockcandy.html#
  17. https://www.youtube.com/watch?v=HvKJz4M585c
  18. https://sciencebob.com/make-your-own-rock-candy/
  19. https://sciencebob.com/make-your-own-rock-candy/
  20. https://sciencebob.com/make-your-own-rock-candy/
  21. https://sciencebob.com/make-your-own-rock-candy/
  22. https://sciencebob.com/make-your-own-rock-candy/
  23. http://sciencenotes.org/grow-table-salt-or-sodium-chloride-crystals/
  24. https://www.exploratorium.edu/cooking/candy/recipe-rockcandy.html#
  25. https://www.youtube.com/watch?v=HvKJz4M585c
  26. https://www.youtube.com/watch?v=HvKJz4M585c
  27. Videos provided by Todd's Kitchen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2,460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