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나는 내 삶을 어떻게 살고 있는가?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고 난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이 질문들은 사람들이 스스로에게 묻는 흔하디 흔한 질문 중 몇 개이다. 보통 이처럼 미래에 대한 생각은 목표를 세우고 추구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어떤 사람들은 이런 질문에 대해 일반적이거나 애매한, 뚜렷하지 않은 답변을 내놓지만, 어떤 사람들은 정의가 가능하며 실천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운다. 이 글에서는 당신이 목표를 달성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목표 설정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1] X 출처 검색하기 인생의 목표를 이루는 것은 건강하고 행복한 삶과 직결된다. [2] X 출처 검색하기 McGregor, I., & Little, B. R., 1998
단계
-
원하는 것 정하기. 당신이 원하는 것이나 성취하고 싶은 것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다면 아무 생각 없이 바로 목표를 향해 달리고 싶다는 충동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신에게 명확하게 정의된 목표가 없다면 뚜렷하지 않거나 달라진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자신의 모습과 마주하게 될 수도 있다. 목표를 정하는 것은 당신이 이렇게 시간과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소모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어쩌면 목표 설정이 당신의 목표 달성에 있어 하나의 동기가 되어줄 수도 있다.
- 예를 들면 직장의 경우, 만약 업무의 명확한 구조나 지침이 없다면 애매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의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실제로 직원들은 명확한 목표와 피드백이 주어졌을 때 업무 수행의 의욕을 보인다. [3] X 출처 검색하기 Locke, E. A. (1968). Toward a Theory of Task Motivation and Incentiv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 157-189.
- 애매하거나 일반적인 목표로는 "나는 행복해지고 싶어", "나는 성공하고 싶어", "나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와 같은 것들이 있다.
-
용어를 자세하게 정의하기. 이는 무언가 달성하려고 노력을 기울일 때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이거나 애매한 용어들을 정확하게 정의해보도록 하자. [4] X 출처 검색하기 Fischhoff, B., Slovic, P., & Lichtenstein, S. (1988). Knowing what you want: Measuring labile values. Decision Making: Descriptive, Normative and Prescriptive Interac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98-421. (Chapter 18) 예를 들어 성공하고 싶다면 먼저 당신에게 성공이 무엇인지 정의할 필요가 있다. 어떤 사람들은 돈을 많이 버는 것을 성공으로 여기며, 또 어떤 사람들은 건강하고 자신감 넘치는 아이를 양육하는 것을 성공으로 생각한다.
- 일반적인 용어와 목표를 세부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자신과 삶의 질에 목표를 투영해서 바라볼 수 있게 도와준다. [5] X 출처 검색하기 Fischhoff, B., Slovic, P., & Lichtenstein, S. (1988). Knowing what you want: Measuring labile values. Decision Making: Descriptive, Normative and Prescriptive Interac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98-421. (Chapter 18) 예를 들어 성공이라는 것을 전문적인 성공으로 여기고 있다면 전문 기술을 연마해 직업을 얻는 것을 목표로 삼아볼 수 있을 것이다.
-
정말 목표를 원하는지 생각해보기. 보통 사람들은 스스로가 원하는 것에 대해 특정한 의문을 품지 않는다. 하지만 가끔은 당신이 생각했던 목표나 꿈이 정말 원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사회적 지각(사회생활 속에서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것)이 있다. 실제로 많은 아이들이 자라나면서 그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또는 자신의 목표가 바뀌었음을 알고 있지 못한 채 의사나 소방관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6] X 출처 검색하기 Brunstein, J. C. (1993). Personal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1061–1070. [7] X 출처 검색하기 Perrone, K. M., Civiletto, C. L., Webb, L. K., & Fitch, J. C. (2004). Perceived barriers to and supports of the attainment of career and family goals among academically talented individu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1, 114–131.
- 당신의 목표가 주변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지 생각해보도록 한다. 가족이나 배우자, 연인의 기대 또는 대중 매체나 사회적인 영향, 압박을 받은 것이 아닌지 생각해보자.
- 당신의 목표는 다른 사람이 아닌 당신 스스로가 당신 을 위해 원하는 것이어야 한다.
-
동기 고려해보기. 당신이 무언가를 성취하려고 하거나 누군가가 잘못되었음을 증명하려고 하는가? "올바른" 이유라는 것은 사실 개인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스스로에게 당신이 정말 그 목표를 원하는지 물어보도록 하자. 아니라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모든 기력을 소모하거나 충만함을 느끼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8] X 출처 검색하기 Schunk, D. H. (1990).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 71– 86.
- 예를 들어 의사가 되는 것이 꿈이었다고 가정해보자. 당신은 사람들을 돕고 싶어서 의사가 되고 싶은 건가? 아니면 단순히 돈을 많이 벌고 싶은가? 동기가 스스로 생각하기에 어울리지 않는다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힘들어지거나 목표를 달성했다 하더라도 충족감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
현실적인 목표 세우기. 목표에 대해 생각하다 보면 목표에 휩쓸리기가 쉽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당신이 모든 것을 통제하고 조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당신이 설정한 목표에 따라 이런 부분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목표가 더 현실적이고 성취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9] X 출처 검색하기 [10] X 출처 검색하기
-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의 꿈이 최고의 농구 선수가 되는 것이라고 해보자. 하지만 연령과 신장은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부분이다. 애초에 달성하기 힘든 목표를 세우는 것은 의욕을 깎고 실망감만 안겨준다.
광고
-
가능성 상상해보기. 15분만 투자해서 당신의 비전, 꿈, 목표를 형식 없이 빠르게 써보도록 하자. 이 과정에서는 명확한 목표를 세우거나 순서를 따지지 않아도 된다. 단순히 당신의 정체성과 가치관에 걸맞은 꿈과 목표를 써보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막힌다면 자유로운 글쓰기를 통해 아래를 써내려가도록 한다: [11] X 출처 검색하기 Marisano, Hirsh, Perterson, Pihl, and Shore (2010) from Peterson and Mar, 2004. [12] X 출처 검색하기
- 이상적인 미래
- 당신이 다른 사람들에게서 동경하는 요소
- 당신이 더 잘할 수 있는 것들
- 당신이 더 배우고 싶은 것들
- 당신이 고치고 싶은 습관들
-
목표를 여러 단계로 나누기. 일단 미래의 꿈과 목표를 찾아냈다면 이제 몇 가지 목표를 정해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를 생각해보도록 한다. 대신 이 목표는 최대한 구체적으로 묘사할 필요가 있다. 목표가 너무 크거나 오래 걸리는 것이라면 더 작은 목표나 단계들로 나눠보도록 한다. 이런 단계나 목표를 당신이 원하는 미래를 구상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생각하라. [13] X 출처 검색하기 Austin, J. T., & Vancouver, J. B. (1996). Goal constructs in psychology: Structure, process, and content. Psychological Bulletin, 120, 338 –375. [14] X 출처 검색하기 Locke, E. A., & Latham, G. P. (2006). New directions in goal-setting theo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5, 265–268.
- 예를 들어 "50살을 맞이하기 전에 달리기에 뛰어난 사람이 되고 싶다"고 하는 것은 명확하지 않으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는(연령에 따라 다르다) 목표이다. 이보다 나은 목표 설정을 위해서는 "나는 하프 마라톤을 뛰고 싶다. 1년 동안 하프 마라톤을 목표로 달리기 연습을 하고 5년 내로 풀 마라톤에 나갈 수 있을 정도로 몸을 단련하고 싶다"와 같이 세부적인 묘사가 필요하다.
-
목표의 영향력에 따라 우선순위 정하기. 자신의 목표들을 살펴보면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골라보도록 하자. 각각의 목표를 두고 얼마나 달성할 확률이 높은지, 목표 달성에 걸리는 시간은 어느 정도가 될지, 목표의 달성이 삶에 어느 정도의 변화를 가져올지 잘 따져보도록 한다. 스스로에게 왜 이 목표가 다른 것보다 더 가치 있는지를 물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 과정을 수행하면서 당신의 목표들이 서로 모순을 일으키지 않도록 잘 설정하도록 하자. [15] X 출처 검색하기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16] X 출처 검색하기 Schunk, D. H.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1.
- 목표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당신에게 목표 달성을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도 있다. 게다가 우선순위 설정은 목표 달성 후의 모습과 그로 인한 혜택을 어림짐작하게 해준다.
-
기준과 기한 설정하기.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단계에 측정 기준을 설정하고 목표 달성의 최종 기한을 정하도록 하자. 이 과정을 통해 당신이 목표를 어떻게 달성해야 할지에 대한 감각과 동기 부여, 현재까지의 진행 과정에 대한 피드백(무엇이 가능하며 무엇이 불가능한지)이 가능해진다.
- 예를 들어 1년 안에 하프 마라톤을 뛰는 것이 목표라면 먼저 몸을 단련하는 것의 기한을 다음 6개월로 잡아보도록 한다. 그리고 그 목표를 달성한 뒤에는 다음 6개월 동안 하프 마라톤 완주를 위한 훈련을 시도한다. 당신이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면 사전에 기준을 적용시켜 합당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 당신이 목표를 향해 얼마나 나아갔는지를 알 수 있도록 기한을 정하고 달력에 그 과정을 표시하도록 한다. 스스로 정한 목표를 하나씩 달성하면서 최종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 매우 만족스러울 것이다.
-
스마트(S.M.A.R.T)한 목표 설정 해보기 . 목표를 하나씩 살펴보면서 각 목표가 구체적이고 명확한지(Specific), 측정할 수 있는지(Measurable), 성취 가능한지(Attainable), 현실적인지(Realistic), 기한은 언제까지인지(Time-bound)를 적어보도록 한다. [17] X 출처 검색하기 예를 들어 목표가 "더 건강한 사람이 되는 것"과 같은 애매한 것인 경우 스마트한 목표 설정법을 적용해 아래와 같이 써볼 수 있을 것이다: [18] X 출처 검색하기
-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나는 체중을 일부 감량하는 것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고 싶다."
- 측정 가능하게: "나는 9kg를 감량해 건강을 증진시키고 싶다."
- 성취 가능하게: 45kg를 한 번에 뺄 수는 없겠지만 9kg 정도는 현실적인 목표가 된다.
- 현실적으로: 9kg를 빼는 것이 삶을 더 행복하고 기운 차게 만들어줄 수 있음을 스스로에게 상기시킨다. 당신이 다른 사람을 위해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아님을 안다.
- 기한의 설정: "나는 내년까지 9kg를 빼서 건강한 사람이 될 것이다. 또한 매 달의 목표를 약 0.7kg를 빼는 것으로 설정할 것이다."
광고
팁
- 자기 목표를 직접 설정하고 써보는 것이 목표 달성 확률을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 캘리포니아 도미니칸 대학교의 임상 심리학자 개일 매튜스(Gail Matthews) 박사는 149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목표를 세부적으로 설정하고 쓴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목표 달성률이 더 높았다는 결과를 얻었다. [19] X 출처 검색하기
광고
출처
- ↑ http://www.dominican.edu/academics/ahss/undergraduate-programs-1/psych/faculty/fulltime/gail-matthews
- ↑ McGregor, I., & Little, B. R., 1998
- ↑ Locke, E. A. (1968). Toward a Theory of Task Motivation and Incentiv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 157-189.
- ↑ Fischhoff, B., Slovic, P., & Lichtenstein, S. (1988). Knowing what you want: Measuring labile values. Decision Making: Descriptive, Normative and Prescriptive Interac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98-421. (Chapter 18)
- ↑ Fischhoff, B., Slovic, P., & Lichtenstein, S. (1988). Knowing what you want: Measuring labile values. Decision Making: Descriptive, Normative and Prescriptive Interac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98-421. (Chapter 18)
- ↑ Brunstein, J. C. (1993). Personal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1061–1070.
- ↑ Perrone, K. M., Civiletto, C. L., Webb, L. K., & Fitch, J. C. (2004). Perceived barriers to and supports of the attainment of career and family goals among academically talented individu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1, 114–131.
- ↑ Schunk, D. H. (1990).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 71– 86.
- ↑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coaching-and-parenting-young-athletes/201311/keys-effective-goal-setting
- ↑ http://www.appliedsportpsych.org/resource-center/resources-for-athletes/principles-of-effective-goal-setting/
- ↑ Marisano, Hirsh, Perterson, Pihl, and Shore (2010) from Peterson and Mar, 2004.
- ↑ http://selfauthoring.com/JAPcomplete.pdf
- ↑ Austin, J. T., & Vancouver, J. B. (1996). Goal constructs in psychology: Structure, process, and content. Psychological Bulletin, 120, 338 –375.
- ↑ Locke, E. A., & Latham, G. P. (2006). New directions in goal-setting theo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5, 265–268.
- ↑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 ↑ Schunk, D. H.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1.
- ↑ http://www.hr.virginia.edu/uploads/documents/media/Writing_SMART_Goals.pdf
- ↑ Lawlor, B. & Hornyak, M. (2012). SMART Goals: How the Application of Smart Goals can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Student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Development of Busines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Learning, 39, 259-267. https://journals.tdl.org/absel/index.php/absel/article/viewFile/90/86
- ↑ http://www.dominican.edu/academics/ahss/undergraduate-programs-1/psych/faculty/fulltime/gail-matthews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