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삶이 너무 무질서한 것에 대해 불행하다고 느끼는가? 어쩌면 삶에 대한 큰 계획은 가지고 있지만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이 잡히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목표를 세우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 목표를 어떻게 이룰 수 있는지 계획을 세우는 것(자기개발계획 짜기)도 동등하게 중요하다. 어쩌면 자기 개발과 목표 달성을 통해 건강과 전반적인 행복도를 증진시킬 수도 있다. [1] X 출처 검색하기 McGregor, I., & Little, B. R. (1998). Personal projects, happiness, and meaning: on doing well and being your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2), 494. 일단 자신의 목표를 적었다면 그 일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측정가능한 기준을 잡아보도록 하자.
단계
-
목표의 목록 작성하기. 주간, 월간, 연간을 포함해 인생의 목표까지 모든 목표를 적어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당신이 적은 목표가 얼마나 중요한지 순위를 매길 수 있게 될 것이다. 각 항목을 바라보면서 이 목표를 이루는 데 얼마나 걸릴 것인지, 성취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하는 시간을 가진다. [2] X 출처 검색하기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 X 출처 검색하기 Schunk, D. H.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1.
- 목표를 떠올릴 때는 최대한 구체적으로 적도록 한다. 자세하게 적어야 단기적인 목표나 인생의 계획을 이루기 위한 단계나 계획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
목표를 하루 단위로 나눠보기. 미래의 목표를 설정했다면 당신이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세부적인 목표로 나눠보도록 한다. 특히 목표가 너무 크거나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더 작은 목표나 단계로 나누는 것이 도움이 된다. 큰 목표에 도전한다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도전하도록 한다. 그래야 매일 조금씩 노력을 해서 이룰 수 있을 것이다. [4] X 출처 검색하기 Austin, J. T., & Vancouver, J. B. (1996). Goal constructs in psychology: Structure, process, and content. Psychological Bulletin, 120, 338 –375. [5] X 출처 검색하기 Locke, E. A., & Latham, G. P. (2006). New directions in goal-setting theo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5, 265–268.
- 하나의 목표를 더 작은 일일 목표나 단계로 나누는 것은 스트레스를 줄여줘,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행복도를 늘려준다. [6] X 출처 검색하기
-
기준과 기한 정하기. 작은 목표나 일일 목표를 정하는 것에 너무 치중하다 보면 전체적인 계획이나 목표에 대한 시각을 상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기를 부여하고 현재 진도를 확인하면서 피드백을 주고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최종 기한과 기준을 정하도록 한다.
- 달력을 사용해 목표에 전념할 수 있는 시각적 자원으로 활용하면서 동신에 기한을 정하도록 한다. 달력에 적은 목표를 달성해서 지우는 것은 매우 큰 성취감을 느끼게 해준다.
-
SMART 목표 설정법 익히기. 목표 설정의 기본 모델 이라고도 불리는 이 설정법은 각 목표를 정함에 있어 구체적이고(Specific), 측정 가능하며(Measurable), 성취가 가능하고(attainable), 현실적이며(Realistic), 정해진 기한이(Time-bound)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7] X 출처 검색하기 예를 들어 "더 건강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애매한 목표를 세웠을 때 여기에 SMART 목표 설정법을 적용시키면 다음처럼 구체적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8] X 출처 검색하기
- 구체적임: "살을 빼서 건강을 향상시키고 싶다."
- 측정 가능함: "9kg를 빼서 건강을 향상시키고 싶다."
- 성취 가능함: 한 번에 45kg를 빼는 것은 불가능할 수도 있으나 9kg를 빼는 것은 실현 가능성이 있다.
- 현실적임: 9kg를 빼는 것은 에너지를 주고 행복하게 만들어줄 수 있다. 이 과정이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닌 오직 자기 자신을 위한 것임을 기억하라.
- 정해진 기한이 있음: "내년까지 9kg를 빼서 건강을 향상시키고 싶다. 매달 0.7kg씩 빼면 가능할 것이다."
광고
-
현실적인 기한 세우기. 단기적인 목표라면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인지 생각해 기한을 설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장기적인 목표의 경우에는 각 단계가 얼마나 걸릴 것인지 측정해 최종 시간을 구해보도록 하자. 다만 예측하지 못한 일이 발생할 수 있으니 며칠이나 몇 주를 추가로 최종 시간에 더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목표를 세우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목표의 유형이 아닌 실현 가능성이다.
- 예를 들어 풀타임으로 일을 한다면 10시간은 봉사활동에 쓰고 운동에 5시간을 쓰도록 한다. 갑자기 20시간의 시간을 내려고 하면 전념하기도 힘들고 목표를 달성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항상 현실적인 목표를 세워야 한다.
-
일과 정하기. 생활 습관과 목표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일과를 만들어보도록 한다. 일과라는 것이 지루하고 융통성 없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진도를 확인하게 해주는 것과 동시에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일과는 특히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목표를 향해 길을 닦아나갈 수 있게 보조하는 역할을 하므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건강한 생활 습관과 체계적인 생활을 영위하게 해준다. [9] X 출처 검색하기
- 24시간을 한 시간 단위로 나눠서 계획을 짜지 않아도 좋다. 단순히 하루에 목표를 하나 정해보도록 한다. 예를 들어 3시간을 일하고 1시간을 운동한 뒤 2시간 동안 집안일을 하겠다는 식으로 목표를 세우면 된다.
-
진도 확인하기. 매일 당신이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 확인해보도록 한다. 만약 목표가 일생동안 이루는 것이라서 너무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면 약간의 유연성을 발휘해서 기준을 설정해보도록 한다. 일단 진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잡으면, 서서히라도 전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최종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갈 수 있는 동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기 진도를 확인하는 것은 현재까지 성취한 것들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10] X 신뢰도 있는 출처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출처 보기
- 이 시간을 활용해 자신의 행동과 성취를 측정해 달력과 목표를 적은 목록과 비교해보도록 한다. 당신이 예상보다 빠르거나 느린 진도로 나아가고 있다면 일정에 변화를 줄 필요성이 생길 수도 있다.
-
한 번에 한 걸음씩 나아가기. 큰 목표를 한꺼번에 이루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물론 나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 자신이 이룰 수 있는 한계를 알도록 한다. 비현실적인 목표를 세우거나 업무량이 너무 커지면 동기의 흥미를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한 걸음씩 차근차근 전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11] X 신뢰도 있는 출처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출처 보기
- 예를 들어 건강을 향상시키고 싶다면 식단을 바꾸고, 운동하는 습관을 들이고, 수면 습관을 바꾸고, 화면을 보는 시간을 줄이는 것을 동시에 시도하면서 부담을 느낄 수도 있다. 대신에 작은 목표를 하나씩 세우면서 차례대로 진행해보도록 한다. 그러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더 생산적일 수 있다.
광고
출처
- ↑ McGregor, I., & Little, B. R. (1998). Personal projects, happiness, and meaning: on doing well and being your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2), 494.
- ↑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 ↑ Schunk, D. H.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1.
- ↑ Austin, J. T., & Vancouver, J. B. (1996). Goal constructs in psychology: Structure, process, and content. Psychological Bulletin, 120, 338 –375.
- ↑ Locke, E. A., & Latham, G. P. (2006). New directions in goal-setting theo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5, 265–268.
- ↑ http://www.kent.ac.uk/careers/sk/time.htm
- ↑ http://www.hr.virginia.edu/uploads/documents/media/Writing_SMART_Goals.pdf
- ↑ Lawlor, B. & Hornyak, M. (2012). SMART Goals: How the Application of Smart Goals can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Student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Development of Busines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Learning, 39, 259-267. https://journals.tdl.org/absel/index.php/absel/article/viewFile/90/86
- ↑ http://examinedexistence.com/why-having-a-daily-routine-is-important/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5,145 번 조회 되었습니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