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눈의 염증은 바이러스, 진균, 박테리아와 같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감염 원인에 따라 통증 차이가 있긴 하지만, 보통 자극과 통증, 붉은기, 염증, 액체 분비물, 시력 저하 등으로 나타난다. 감염 증상은 한쪽, 혹은 양쪽 눈 모두에 나타날 수 있으며 시력 손상 혹은 상실로 이어질 수도 있다. [1] 가장 흔한 눈의 감염증상은 결막염, 다래끼, 알레르기 감염이다. 눈에 통증이 있거나, 시력이 저하되었다면 바로 안과를 찾아보자. 감염 정도가 약하다면 증상의 완화를 위해 자가 치료법도 시행해보자.

방법 1
방법 1 의 5:

결막염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홍안병이라고도 불리는 결막염은 감염이 쉽게 되는 편이다. 결막염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이 두 가지 종류로 발생하며 보통 손으로 눈을 만지거나, 베개 혹은 눈화장 도구를 누군가와 공유했을 때 옮는다. 박테리아로 인한 결막염이라면 항생제가 처방되지만, 항생제는 바이러스로 인한 결막염을 치료하는 데에는 효과가 없다. 바이러스는 보통 2-3주가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2] 자연요법으로 결막염의 증상을 대처해 눈의 불편함을 덜어주고, 눈의 제 기능을 서서히 다시 찾아보자.
    •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보통 아데노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풍진, 홍역,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인해 나타난다. [3]
    • 박테리아성 결막염은 보통 포도상구균, 헤모필루스, 연쇄상구균, 모락셀라로 인해 나타나며, 종종 분병성 세균과의 접촉을 통해 옮겨진다. [4]
  2. 안구의 붉은기(홍안병이라는 이름이 여기서 나왔다), 가려움, 자고나면 생기는 딱딱한 눈곱, 오래 지속되는 자극 및 먼지가 낀 것 같은 느낌 등이 결막염의 가장 흔한 증상이다. [5]
  3. 차가운 물이나 따뜻한 물 중 자신에게 더 잘 맞는 온도의 물을 이용해 안구를 지압해보자.
    • 깨끗한 수건이나 핸드 타올을 찬물에 적셔보자. 보통 차가운 물의 안정 효과가 더 좋은 편이다. [6]
    • 수건의 물기를 짜준다.
    • 결막염 정도에 따라 눈에 수건을 대어준다.
    • 누워서 눈의 통증과 자극이 가라앉을 때까지 냉찜질을 해준다. 필요할 경우 이 과정을 반복한다.
  4.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한 점안액으로 염증을 치료할 수는 없지만, 붉은기와 자극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이 된다. 점안액 지시 사항을 잘 살피고 얼마나 자주 점안액을 사용해야하는지 알아보자.
    • 눈 주변을 만지기 전후로 손을 깨끗히 씻는다. [7]
    • 등을 대고 누워 점안액을 사용한다.
    • 감염된 눈에 한번에 한방울씩 점안액을 떨어뜨려 준다.
    • 점안액을 떨어뜨린 직후부터 2-3분동안 눈을 감고 있는다. [8]
  5. 콘텍트 렌즈는 결막염이 안구에 남아있도록 하기 때문에 감염 증상이 오래 지속될 수 있다. 감염된 눈에 닿았던 일회용 렌즈는 바로 폐기한다. [9]
  6. 누구나 한번쯤 결막염에 걸리기 마련이며, 전혀 부끄러워할 질병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결막염을 예방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10]
    • 비누와 따뜻한 물로 손을 자주 씻어준다. 눈이나 얼굴을 만지기 전이라면 이 부분이 특히 더 중요하다.
    • 메이크업 도구나, 수건, 세안 수건 등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쓰지 않는다.
    •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일회용 콘텍트 렌즈와 화장품은 폐기한다.
    • 결막염을 앓는 동안 얼굴에 닿았을 수 있는 침구는 세탁한다.
  7. 박테리아로 인한 감염이라면, 결막염 치료를 돕기 위한 항생제가 처방될 수 있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5:

다래끼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다래끼는 흔히 빨갛게 부어올라 고름이 차있으며, 눈꺼풀 근처에 주로 나타난다. 다래끼는 눈꺼풀의 지방 분비선이 포도상구균에 감염되면서 나타난다. 다래끼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눈꺼풀의 땀샘이나 피지선이 감염되어 나타나는 눈다래끼, 그리고 눈꺼풀의 마이봄샘이 감염되어 나타나는 산립종, 일명 콩다래끼. [11] 다래끼는 보통 스스로 낫곤 하지만, 다 나을 때까지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다. [12]
  2. 다음은 다래끼의 가장 전형적인 증상들이다:
    • 여드름처럼 보이는 작고 붉은 점이 눈꺼풀이나 근처에 부어오른다.
    • 눈꺼풀이나 눈꺼풀 근처에 통증이나 염증이 나타난다.
    • 눈물이 과하게 많이 생성된다. [13]
  3. 다래끼는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활동으로 인해 감염률이 높아지기도 한다. [14]
    • 손을 씻지 않고 눈이나 얼굴을 만지는 경우.
    • 콘텍트 렌즈를 살균하지 않고 착용하는 경우.
    • 눈 화장을 한 후 화장을 지우지 않고 잠자리에 드는 경우.
    • 피부 증상인 장미진(주사) 혹은 눈꺼풀 염증인 안검염과 같은 기존 증상이 있는 경우. [15]
  4. 다래끼를 터뜨리지 않는다. 다래끼를 무리하게 터뜨릴 경우 감염이 더 악화되어 다른 곳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16]
  5. 감염이 낫기를 기다리면서 다래끼의 증상에 대처하는 것이 다래끼 치료에 가장 좋은 방법이다.
    • 부드럽게 감염 부위를 씻어준다. 다래끼 자국을 과하게 문지르지 않는다.
    • 따뜻한 온찜질을 하자. 필요할 경우 따뜻한 물에 수건을 다시 적셔 5분에서 10분 정도 재찜질한다.
    • 감염이 다 낫기 전까지 콘텍트 렌즈는 착용하지 않고, 눈화장도 하지 않는다. [17]
  6. 오메가-3 지방산의 하루 섭취량을 늘리면 피지선의 생산 활동이 활발해져 다래끼 증상이 완화되기도 한다. [18]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5:

안검염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안건염은 한쪽 혹은 양쪽 눈꺼풀에 나타나는 만성 염증이다. 전염되지는 않지만 포도상구균 박테리아 감염이나 비듬 혹은 장미진처럼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피부 질환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또한 눈꺼풀에서 과하게 생산된 기름이 박테리아 감염으로 이어져 발생하기도 한다. 안건염은 눈꺼풀 겉 가장자리에 영향을 주는 전방안건염과, 눈꺼풀 안쪽 가장자리에 영향을 주는 후방안건염의 두종류로 나타난다. [19]
  2. 다음은 안건염의 가장 흔한 증상들이다:
    • 붉은기
    • 염증
    • 눈물기 있는 눈
    • 끈적끈적한 눈꺼풀
    • 빛에 민감한 눈
    • 계속 지속되는 가려움
    • 부스러기와 같은 얇은 피부 "비늘". [20]
  3. 연령에 관계없이 안건염에 걸릴 수 있지만, 비듬이나 장미진과 같은 증상을 이미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안건염이 나타날 위험성이 높다. [21]
  4. 안건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은 없기 때문에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켜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최적의 방법이다.
    • 따뜻한 수건으로 지압하기. 필요에 따라 수건을 다시 적셔 5분에서 10분동안 지압하고, 하루에 여러번 시행해보자. [22]
    • 딱딱한 껍질과 건조한 조각들이 떨어져 나가도록 자극이 가지 않는 유아용 샴푸로 조심스럽게 씻어낸다. 샴푸를 사용한 후 눈과 얼굴을 충분히 헹구어 낸다. [23]
    • 안건염 증상이 있는 동안 콘텍트 렌즈 사용을 금하고, 눈화장도 하지 않는다.
    • 불필요한 기름기가 방출되도록 필요에 따라 마이봄선을 마사지해준다. 항상 눈을 만지기 전후에 손을 씻도록 하자. [24]
  5. 의사가 안건염 치료를 위해 아지트로마이신, 독시사이클린, 에리트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를 처방해줄 수도 있다. [25]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5:

각막염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각막염은 한쪽 혹은 양쪽 눈의 각막과 결막에 생기는 감염을 일컫는다. 증상은 오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지만, 만성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각막염의 주된 증상으로 통증, 붉은기, 염증, 분비물, 과한 눈물, 눈 뜨기 어려움, 흐릿하거나 잘 보이지 않는 시야, 빛의 민감함 등이 있다. 각막염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찾는다. 각막염 치료가 늦어지면 영구적인 시력 손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26] 각막염은 원인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타난다. [27]
    • 박테리아성 각막염 은 포도상구균, 헤모필루스, 연쇄상구균, 슈도모나스 박테리아로 인해 발생한다. 박테리아 감염으로 인해 종종 각막 표면이 손상되고, 감염 자리에 궤양이 발생하기도 한다. [28]
    • 바이러스성 각막염 은 일반적인 감기와 같은 여러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한다. 단순성포진 바이러스나, 대상포진 혹은 수두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대상포진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29]
    • 진균성 각막염 은 지저분한 콘텍트 렌즈에서 자라나는 후자리움 포자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면역체계의 이상이 있는 사람이 칸디다, 누룩곰팡이, 노카르디아균 포자로 인한 각막염에 걸릴 수 있으나,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30]
    • 화학성 각막염 은 콘텍트 렌즈 착용이나, 화학물질 혹은 유독가스 노출, 수영장이나 온탕 속 화학 물질과의 접촉처럼 화학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한다. [31]
    • 신체적 각막염 은 자외선이나 용접 토치에 오래 노출되는 등 눈에 트라우마가 왔을 때 발생할 수 있다. [32]
    • 회선사상충층으로 인한 각막염 은 기생충 아메바로 인해 발생하며, 콘텍트 렌즈를 끼는 사람들에게 발생될 수 있다. 회선사상충층으로 인한 각막염은 "하천 실명(river blindness)"이라고도 불리우기도 한다. 보통 개발도상국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그 외 지역에서는 매우 드문 편인다. [33]
    • 안구 건조증과 필라멘트 각막염 은 매우 건조한 눈과 눈물막의 자극으로 인해 표층에 생기는 염증이다. [34]
  2. 각막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통증
    • 붉은기
    • 염증
    • 분비물이나 과도한 눈물
    • 눈을 뜨기 어려움
    • 흐릿하거나 잘 보이지 않는 시야
    • 빛에 민감한 눈. [35]
  3. 각막염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성향이 있는 경우 감염 위험률이 더 높다.
    • 각막 표면에 손상을 입은 경우. [36]
    • 콘텍트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37]
    • 만성 혹은 극심한 안구건조증이 있는 경우. [38]
    • AIDS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혹은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약물 치료로 면역체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 [39]
  4. 항균, 항진균 혹은 항생제를 받기 위해 병원을 방문해보자. 각막염과 관련된 염증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처방될 수도 있다. [40] 병원을 방문하고 난 후 병원에서 받은 약품과 함께 집에서도 증상에 대처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이 있다. [41]
    • 윤활 점안액을 사용해보자.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한 점안액으로 감염을 치료할 수는 없지만, 붉은기와 자극을 가라앉히는데는 도움이 된다. 점안액 지시 사항을 잘 살펴서 얼마나 자주 점안액을 사용해야하는지 알아보고, 의사에게도 집에서 눈에 사용하려고 하는 약품들에 대해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 각막염을 앓는 동안 콘텍트 렌즈 착용은 금한다. 각막염을 앓는 동안 착용이 의심되는 일회용 콘텍트 렌즈는 모두 폐기한다.
    광고
방법 5
방법 5 의 5:

알레르기성 눈 자극 지료하기

PDF 다운로드
  1. 알레르기로 나타나는 결막염은 전염되지 않는다. 다만 애완동물 알레르기, 혹은 꽃가루, 풀, 먼지, 곰팡이와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알레르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2. 다음과 같은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 가렵고 자극받은 눈
    • 붉은기나 나타나며 부은 눈
    • 과도한 눈물. [42]
  3. 누구에게나 알레르기성 각막염이 나타날 수 있으나, 계절 및 환경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발병 위험률이 높다.
  4.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충혈 완화제나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면 알레르기로 인한 눈 자극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의사나 약사가 알레르기 일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안과용 로독사마이드와 같은 비만세포 안정제를 권해줄 수도 있다. [43]
  5. 알레르기 신체 반응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항히스타민제를 추천해줄 수 있다. 일부 자가 요법 실행으로도 알레르기 결막염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깨끗한 물로 눈을 헹구어준다. 차가운 물로 헹구었을 때 안정 효과가 더 크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는 반면, 미지근한 물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다. [44]
    • 차가운 젖은 티백을 사용해보자. 차를 마신 후 티백은 버리지 않고, 티백이 차가워지면 증상이 나타나는 눈에 10-15분 정도 대고 있는다. 하루에 3번 반복해보자. [45]
    • 차가운 수건으로 눈을 지압해보자. 알레르기 결막염으로 인한 자극과 염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광고

경고

  • 눈의 염증 증상이 나타난다고 생각되면 최대한 빨리 안과를 찾는다. 흐릿하게 보이거나, 시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빠르게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 글에서 살펴본 방법들은 일부 염증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염증 자체를 치료할 수는 없다. 감염으로 인해 시력이 영구적으로 상실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바로 병원 치료를 받도록 하자.
광고
  1.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pink-eye/basics/prevention/con-20022732
  2. http://www.medicinenet.com/sty_stye/article.htm
  3.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sty/basics/definition/CON-20022698?p=1
  4.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sty/basics/definition/CON-20022698?p=1
  5.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sty/basics/risk-factors/con-20022698
  6.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sty/basics/risk-factors/con-20022698
  7.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sty/basics/lifestyle-home-remedies/con-20022698
  8.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sty/basics/lifestyle-home-remedies/con-20022698
  9. http://www.medicinenet.com/sty_stye/page5.htm
  10. http://www.aoa.org/patients-and-public/eye-and-vision-problems/glossary-of-eye-and-vision-conditions/blepharitis?sso=y
  11.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blepharitis/basics/symptoms/con-20024605
  12. http://www.aoa.org/patients-and-public/eye-and-vision-problems/glossary-of-eye-and-vision-conditions/blepharitis?sso=y
  13. http://www.aoa.org/patients-and-public/eye-and-vision-problems/glossary-of-eye-and-vision-conditions/blepharitis?sso=y
  14. http://www.aoa.org/patients-and-public/eye-and-vision-problems/glossary-of-eye-and-vision-conditions/blepharitis?sso=y
  15. http://www.aoa.org/patients-and-public/eye-and-vision-problems/glossary-of-eye-and-vision-conditions/blepharitis?sso=y
  16. http://www.medicinenet.com/blepharitis/page4.htm#what_is_the_treatment_for_blepharitis
  17.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keratitis/basics/symptoms/con-20035288
  18.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article.htm#what_are_the_causes_of_keratitis
  19.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article.htm#what_are_the_causes_of_keratitis
  20.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article.htm#what_are_the_causes_of_keratitis
  21.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article.htm#what_are_the_causes_of_keratitis
  22.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article.htm#what_are_the_causes_of_keratitis
  23.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article.htm#what_are_the_causes_of_keratitis
  24.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article.htm#what_are_the_causes_of_keratitis
  25.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article.htm#what_are_the_causes_of_keratitis
  26.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keratitis/basics/symptoms/con-20035288
  27.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page2.htm
  28.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page2.htm
  29.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page2.htm
  30.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page2.htm
  31.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page3.htm#what_is_the_treatment_for_keratitis
  32. http://www.medicinenet.com/keratitis/page3.htm
  33. http://www.visioncarespecialists.com/blog/pink-eye-or-allergies-how-to-spot-the-difference/
  34. http://www.medicinenet.com/eye_allergy/page5.htm#what_is_the_treatment_for_eye_allergies
  35. http://www.medicinenet.com/eye_allergy/page5.htm#what_is_the_treatment_for_eye_allergies
  36. http://www.naturalremedies.org/eye-infections-2/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56,904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