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download PDF 다운로드 PDF download PDF 다운로드

자신을 조절하는 힘인 자제력을 기르는 것은 상당히 힘들 수 있다. 하지만 이를 통해 충동성을 조절해 삶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자. 당신이 자기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면 자기 삶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느낌을 받는 것은 물론, 자신이라는 존재에 대해 자신을 가지고 자부심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방법 1
방법 1 의 2:

순간적인 상황에서 자기 조절하기

PDF download PDF 다운로드
  1. 순간적인 상황에서 유혹을 견디는 전략을 세우는 것은 자제심을 키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먼저 당신이 충동적으로 변하는 경우에는 상황이 어떠하며 어떤 행동을 하는지 종이에 적어보도록 하자. [1] [2] 당신이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상황을 세밀하게 분석해보고 스스로 인식하게 되면 다음 번에 행동이나 말이 먼저 나가기 전에 잠시라도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생길 것이다.
  2. 현실적인 관점에서 자신의 행동을 재평가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마음가는 대로 행동하는 대신 먼저 생각하는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충동 구매나 소비로 인해 곤란을 겪고 이를 고치려 한다면, 어떤 물건을 사기 전에 무조건 24시간 동안 생각할 시간을 두도록 한다. 그리고 공책에 어떤 물건이 왜 사고 싶으며, 가격은 어떠하고 합리적인 소비인지 적어 판단하는 시간을 가지자. 그러면 당신이 정말 그 물건이 필요해서 구매하는 것인지, 아니면 충동적으로 구매하는 것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3. 이 방법은 특히 식습관을 바꾸거나 금연을 하고 싶을 때 효과가 있다. 만약 갑작스럽게 어떤 음식이 먹고 싶거나 담배가 피고 싶다면, 충동에 지지 말고 핸드폰을 꺼내 5분 후에 알람을 설정하고 복식호흡을 시작하도록 한다. 음식을 먹고 싶은 충동은 한낱 충동일 뿐이라는 사실을 마음 속으로 되뇌면서 당신에게 그 음식이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계속 떠올린다. 그리고 주어진 5분이라는 시간 동안 숨을 내쉴 때마다 충동이 조금씩 사라지는 이미지를 상상해본다. 아마 5분이 지났다는 알람이 울리고 나면, 이전보다 담배를 피고 싶거나 음식을 먹고 싶다는 충동이 어느 정도 사라졌을 것이다. [3]
    • 눈을 감고 코로 천천히 숨을 들이마신다. 코로 들어오는 공기가 천천히 폐를 채우고 가슴과 하복부를 팽창시키는 이미지를 그려본다. 그리고 천천히 입이나 코로 자연스럽게 숨을 내쉬어본다. [4]
  4. 아마 가만히 앉아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충동을 이겨내기가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활동을 통해 충동에서 주의를 돌려보는 것은 어떨까? 이 방법은 다른 건강하고 유익한 활동을 하는 것으로 충동에서 한 발자국 떨어져 정말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시간을 벌 수 있는 방법이다.
    • 단순히 손으로 무언가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뜨개질이나 크로셰, 종이접기, 문자 보내기 등을 시도해보자.
  5. 순간적으로 충동이 들 때 몸을 움직여 다른 활동에 집중하는 것으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각의 속도를 줄이고,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으며, 확실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
    • 예를 들어 충동 구매를 멈추려고 한다면, 충동이 들었을 때 잠시 산책을 통해 가게로부터 멀리 떨어져본다. 만약 과식을 멈추고 싶다면, 음식을 먹고 싶은 충동이 들었을 때 곧바로 체육관으로 달려가 운동을 해보는 것도 좋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장기적인 자제심 기르기

PDF download PDF 다운로드
  1. 만약 주변 사람들이 당신의 습관에 대해 어떻게 고치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을 했다면 이를 실제로 고려해보도록 한다. 진정한 변화는 자기 내면의 직감을 믿는 것에서 오기도 하지만, 당신의 행동에 대한 타인의 피드백을 존중하는 것에서도 이끌어낼 수 있다. 당신이 정말 자신의 행동을 바꾸고 싶다면, 자제력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충분히 기울여야 한다. [6]
    • 담배, 음식, 일하는 습관, 생산성 문제, 술, 분노 조절, 충동 구매 등을 종이에 적어보도록 한다.
  2. 아마 사람들은 모두 각자의 삶에서 자제심을 키우고 자기 의지에 따라 조절하고 싶은 행동이 있을 것이다. 이전 단계에서 만든 목록을 보고 고치고 싶은 행동을 골라보도록 하자. 습관을 바꾸는 것은 시간이 들며, 자제심을 기르는 것은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목표를 세울 때는 자신의 한계를 알고 현실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잊지 말자. 현실적으로 목표를 세우는 것은 스스로를 존중하는 것이다. [7]
    • 당신이 선택을 할 수 있어야 스스로의 행동과 삶을 조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모님과 좋은 관계를 쌓는 것은 당신의 목표가 될 수 없을 것이다. 당신이 선택한다고 해서 부모님의 감정까지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신 다른 사람과 대화하는 습관 개선하기 같은 목표는 당신의 노력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분히 실현 가능한 목표가 될 것이다.
    • 당신이 삶을 어떤 식으로 바꿀 것인가에 대해 현실적으로 생각하라. 당신은 한 명의 인간이기 때문에 시간과 능력에 한계가 있다. 한 번에 모든 것을 바꾸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물론 야망을 가지고 여러 개를 동시에 바꿔 볼 수도 있겠지만 과중한 책임에 스스로 무너질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3. 다른 사람들이 당신과 비슷한 상황에서 어떻게 자제심을 길렀는지 배우도록 한다. 친구나 연인에게 어떻게 자기 삶의 주도권을 되찾을 수 있었는지 물어보는 것도 좋다. 아니면 인터넷으로 당신이 바꾸고 싶은 습관이나 행동에 대한 정보나 조언을 찾아보도록 한다. [8]
    • 예를 들어 당신이 과식하는 습관을 고치고 싶다면, 먼저 도서관이나 인터넷에서 충동적 식습관을 고칠 수 있는 전략이나 방법을 검색해본다. 아마 충분히 음식을 조절하는 자제력을 기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방법을 찾아봤으면, 일지를 적어가며 다양한 시도를 해서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찾아보도록 한다.
  4. 일기를 써서 당신의 변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객관적인 판단을 하도록 한다. 당신의 충동성을 자극하는 감정적 요소에 대해 인식하고 어떤 부분에서 특히 자제력을 잃는지 적는 것을 통해 스스로의 행동에 대해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의 충동적인 행동을 인식하려 노력하는 것이 자기 행동을 더 잘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물론, 당신이 자제력을 기를 수 있는 결정을 더 쉽게 내릴 수 있게 해줄 것이다. 항상 이렇게 생각하라. 당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하는 것이며, 자제심을 기르기 위해서는 충동적인 기분이 드는 이유를 파악해야 한다고. [9]
    • 폭식을 예로 들어보자. 먼저 충동적으로 먹는 경우에 어떤 기분을 느끼는지 생각해본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주로 음식을 많이 먹는 경향이 있는가? 어쩌면 무언가를 축하하기 위해 음식을 찾을 수도 있다. 슬프거나 불안한 기분이 들 때 음식을 먹고 싶은가?
  5. 자제심을 기르는 것은 하루 만에 되는 것이 아니다. 금방 습관을 고치지 못한다고 해서 포기하는 사람이 많은데, 먼저 현실적인 목표를 세워 할 수 있는 작은 것부터 하나씩 고쳐나가지 않으면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자. 한꺼번에 모든 행동을 고치기 위한 자제심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10]
    • 만약 충동적 과식을 고치기 위한 자제심을 기르고 싶다면 갑작스럽게 식단을 과일과 채소로 바꾸지 않는다. 갑작스러운 변화는 몸에 좋지 않을 뿐더러 지속하기도 힘들다.
  6. 변화를 위한 진도를 나가기 위해서는 완벽하고 싶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대신 달력에 매일 어느 정도 노력을 했는지 적어보도록 한다. 아마 습관을 바꾼 뒤 오랫동안 지속하려 하다 보면 의욕이 떨어지는 날도 분명 있을 것이다. 괜찮다. 일단 자기 약속을 지키지 못한 날에 표시를 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날짜에 왜 충동을 조절하지 못했고, 어떤 점에서 충동을 느꼈는지 일기를 써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스스로의 패턴과 행동 양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며, 차후 같은 상황이 반복되었을 때 이전보다 자신을 조절하기가 수월할 것이다.
    • 어쩌면 명절이 당신이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때일 수도 있다. 당신이 해야 하는 모든 것과 친척들에게서 받는 압박에 평소 이상으로 음식을 먹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를 달력에 적고 내년에는 어떤 식으로든 준비를 하면 될 것이다. 자신의 감정과 행동, 때를 다 알고 있으니 전략만 세우면 될 것이다.
  7. 당신이 왜 해당 습관을 고치거나 조절하고 싶어하는지에 대한 확실한 이유를 지속적으로 상기하도록 한다. 일기를 쓰고나 스스로 다짐하는 것을 통해 의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은 종이에 당신의 목표와 자제심을 키워야 하는 이유를 적어 지갑 속에 넣고 다니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핸드폰에 저장해 의욕이 떨어질 때마다 보는 것도 효과적이다. [11]
    • 예를 들어 당신이 금연을 하기 위한 자제심을 키우고 싶어한다고 가정하자. 일단 종이에 당신이 담배를 사기 위해 소비하는 비용과 함께, 신체, 냄새, 치아 건강 등에 미치는 영향을 적는다. 그리고 금연을 하는 것에 어떤 장점이 있는지도 적는다. 아마 다른 원하는 물건을 살 수도 있을 것이며, 이가 하얗게 변하고 호흡이 쉬워질 것이다. 다른 생각나는 요소가 있으면 원하는 만큼 적어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8. 당신이 자제심을 키우려는 행동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행동들을 생각해보자. 이 모든 과정을 당신에게 맞는 행동과 방법을 찾기 위한 긴 여행이라고 생각하라. 분명 시도하다 보면 통하지 않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시도한 방법이 효과가 없다고 해서 기죽지 말고 다른 방법을 시도하도록 한다. 긍정적인 태도를 통해 자신을 존중하는 것은 자제심을 키우기 위해 스스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킬 것이다. [12]
    • 만약 당신이 스트레스 받을 때 먹는 습관을 고치려고 한다면, 스트레스를 건강하게 해소할 수 있는 다른 방법들을 찾아보도록 한다. 복식호흡, 요가, 운동, 명상, 무술, 태극권 등 다양한 스트레스 해소법이 있으니 여러가지로 시도하고 전략을 세워볼 수 있을 것이다.
  9. 자동차나 퍼즐, 오토바이, 스포츠, 그림 그리기 등 수많은 취미 중에서 자제심을 키우는 동안 집중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본다. 대신 충동성이 적고 건강한 활동을 찾아야 할 것이다.
    • 요즘 세상에서 새 취미를 시작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다. 인터넷에 이미 초심자를 위한 다양한 가이드가 있기 때문이다. 클럽과 까페, SNS등을 통해 같은 취미를 가진 다른 사람들을 쉽게 만날 수 있을 것이다.
  10. 주도적으로 당신이 원하는 변화를 스스로의 삶에 가져올 수 있게 격려하라. 긍정적인 태도는 자제력을 기르는 데에 확실히 도움이 된다. 당신이 목표에 가까워지지 않는다고 해서 너무 자신을 학대하거나 낮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결과가 아닌 당신이 현재 하고 있는 노력에 초점을 맞추고, 실패를 해도 인식만 하고 넘어가도록 하자. 다시 시도하면 될 일 아닌가? [13]
    • 만약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충동에 지고 말았다면 일기를 통해 그 때 들었던 부정적인 생각을 재구성 해본다. 예를 들어 충동구매를 하지 않겠다는 자기 약속을 어기고 또 다시 충동적으로 쇼핑을 했다면, 이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단순히 안 좋은 하루를 보냈다고 생각하라. 일기에 다음 번에 같은 일이 일어났을 때는 어떻게 할 것인지 대책을 써보도록 한다. 다양하게 요가를 가는 등 머리 속에 떠오르는 것을 적는다. 그리고 스스로의 잘못을 인식한 점을 칭찬한 뒤 다시 노력하면 된다.
  11. 친구와 연인 등 사랑하고 아끼는 사람들에게 당신이 스스로의 습관을 개선하려 한다는 점을 알려라. 아마 당신이 지지와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문자나 전화를 하면 충분히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이 변화할 수 있다고 스스로 믿는 것은 타인에게 당신을 도와줄 여지를 만들어 주는 것과 같다. 자신감을 키우는 것은 자제력을 기르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하며, 다른 사람들이 필요할 때 당신의 말을 들어주고, 의욕을 북돋아줄 수 있게 격려를 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물론 이런 격려는 당신이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12. 당신이 자제력을 키우고 스스로를 바꾸려고 하는 노력에 걸맞는 상을 주도록 한다. 자제력을 키우기 위해 자기에게 상을 주는 것은 충동적인 행동을 긍정적은 행동으로 바꿀 수 있게 도와준다. [14]
    • 예를 들어 금연을 하기로 결심했다면 담배를 사지 않고 모은 돈으로 마사지를 받거나 스파에 가보도록 한다. 만약 과식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켰다면 새 옷을 스스로에게 사주는 등의 보상을 한다.
  13. 자제력을 키우는 것은 자기 삶을 바꾸고 원하는 선택을 하기 위한 멋지고 야심있는 목표이지만, 개인의 의지력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 때도 있다는 것을 알도록 한다. 만약 당신이 아래의 경우 중 하나에 해당된다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 알코올이나 다른 약물 중독을 고치려고 하는 경우.
    • 위험하거나 중독성 있는 성적 행동을 고치려고 하는 경우.
    • 위험하거나 학대적인 관계에 계속해서 빠지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
    • 분노나 울분을 조절하려 하는 과정에서 자신이나 타인을 다치게 한 경우.
    광고

  • 변화는 곧바로 찾아오지 않는다. 인내심을 가지고 장기적으로 상황을 바라보도록 한다.
  • 잠을 충분히 자도록 한다.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며, 습관을 고치는 것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 충동에 졌을 때는 작은 벌을 주도록 한다. 만약 손톱을 또 물어뜯었다면, 친구의 부탁을 들어주거나 집안일을 하도록 하자. 아니면 손톱을 물지 않게 껌을 씹도록 하자.
  • 대신 스스로 완벽하지 않으며, 실수를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고 해서 큰 벌을 주거나 학대를 해서는 안 된다.
  • 당신이 옳은 일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믿어라. 당신이 나중에 보기에 더 옳은 선택을 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실패한 것이 아니다. 교훈을 배워서 다음에 적용하면 된다. 당신은 계속해서 성공하고 있는 것이다!
광고

경고

  • 친구나 가족, 연인이 당신의 좋지 않은 습관을 격려하는 경우가 있는지 살펴본다. 가끔 우리는 주변 사람들에 의해 잘못된 습관을 배우기도 한다. 따라서 당신이 먼저 "난 이런 행동을 하는 게 좀 그래. 빠질게"라고 나서서 말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상대방이 지속적으로 당신에게 나쁜 습관을 권하면 "나한테 상처주고 있다는 건 알고 하는거야?" 같은 식으로 물어봐서 상대의 행동이 개선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 당신의 삶을 조절하기 위한 욕구에 자신을 잊지 않도록 한다. 과식을 하지 않겠다고 아예 음식을 먹지 않으면 전혀 건강에 좋지 않다. 자기 절제에 중독되지 않게 항상 주의한다.
광고

출처

  1. “Self-Control, Willpower, and the Problem of Diminished Motivation.” Connor, Thomas. Philosophical Studies. Apr2014, Vol. 168 Issue 3, p783-796. 14p
  2. “Why Didn't I Think of That? Self-Regulation through Sel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Trudel, Remi; Murray, Kyle B.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JMR). Aug2011, Vol. 48 Issue 4, p701-712. 12p.
  3. “Revisiting the Restorative Effects of Positive Mood: An Expectancy-Based Approach to Self-Control Restoration.” Egan, Patrick M.; Clarkson, Joshua J.; Hirt, Edward R.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Mar2015, Vol. 57, p87-99. 13p.
  4. http://www.health.harvard.edu/mind-and-mood/relaxation-techniques-breath-control-helps-quell-errant-stress-response
  5. “Revisiting the Restorative Effects of Positive Mood: An Expectancy-Based Approach to Self-Control Restoration.” Egan, Patrick M.; Clarkson, Joshua J.; Hirt, Edward R.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Mar2015, Vol. 57, p87-99. 13p.
  6. “Self-Control, Willpower, and the Problem of Diminished Motivation.” Connor, Thomas. Philosophical Studies. Apr2014, Vol. 168 Issue 3, p783-796. 14p
  7. “Revisiting the Restorative Effects of Positive Mood: An Expectancy-Based Approach to Self-Control Restoration.” Egan, Patrick M.; Clarkson, Joshua J.; Hirt, Edward R.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Mar2015, Vol. 57, p87-99. 13p.
  8. “Why Didn't I Think of That? Self-Regulation through Sel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Trudel, Remi; Murray, Kyle B.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JMR). Aug2011, Vol. 48 Issue 4, p701-712. 12p.
  9. “Why Didn't I Think of That? Self-Regulation through Sel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Trudel, Remi; Murray, Kyle B.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JMR). Aug2011, Vol. 48 Issue 4, p701-712. 12p.
  1. “Why Didn't I Think of That? Self-Regulation through Sel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Trudel, Remi; Murray, Kyle B.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JMR). Aug2011, Vol. 48 Issue 4, p701-712. 12p.
  2. “Self-Control Moderates Decision-Making Behavior When Minimizing Losses versus Maximizing Gains.” Pang, Bo; Otto, A. Ross; Worthy, Darrell A.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Apr2015, Vol. 28 Issue 2, p176-187. 12p.
  3. “Revisiting the Restorative Effects of Positive Mood: An Expectancy-Based Approach to Self-Control Restoration.” Egan, Patrick M.; Clarkson, Joshua J.; Hirt, Edward R.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Mar2015, Vol. 57, p87-99. 13p.
  4. “Yes, But Are They Happy? Effects of Trait Self-Control on Affective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Hofmann, Wilhelm; Luhmann, Maike; Fisher, Rachel R; Vohs, Kathleen D.; Baumeister, Roy F. Journal of Personality. Aug2014, Vol. 82 Issue 4, p265-277. 13p.
  5. “Self-Control and Impulsiveness in Adult Humans: Comparison of Qualitatively Different Consumable Reinforcers Using a New Methodology.” Forzano, L.; Michels, J.; Sorama, M.; Etopio, A.; English, E. Psychological Record. Dec2014, Vol. 64 Issue 4, p719-730. 12p.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5,488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