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일반 웹페이지, 온라인 기사, 온라인 책, 포럼 게시글, 블로그 등, 논문에 인용해야 할 웹사이트가 많다. 이러한 웹사이트 출처를 APA 스타일로 인용하는 법을 소개한다.

방법 1
방법 1 의 5:

일반 웹사이트와 온라인기사 [1]

PDF 다운로드
  1. 성과 이니셜 형태의 이름 순서로 적는다. 저자가 여러 명일 경우 각각 성과 이니셜 형태의 이름 순으로 나열하고 이름 사이에는 쉼표를 넣으며 마지막 이름 앞에는 & 표시(미국의 경우)를 넣는다..
    • 도, J.
    • 도, J. & 스미스, R.
    • 도, J., 스미스, R. & 존슨, S.
  2. 출간 연도-월-일 순으로 표시한다. 괄호로 묶은 뒤 마침표를 찍는다.
    • 도, J. (2012년, 12월 31일).
  3. 웹사이트나 온라인 정기 학술지는 전체대신 특정 웹페이지나 기사의 제목을 표기해야 한다.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쓰고 마침표를 찍는다.
    • 도, J. (2012년, 12월 31일). 통계와 분석.
    • 도, J. (2012년, 12월 31일). 홈페이지.
    • 도, J. & 스미스, R. (2010년, 5월 1일). 인용법에 대한 연구.
  4. 기울임체를 적용하고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온라인 학술지는 학술지명을 적는다. 마침표를 찍는다.
    • 도, J. (2012년, 12월 31일). 통계와 분석. 정보가 풍부한 웹사이트.
    • 도, J. & 스미스, R. (2010년, 5월 1일). 인용법에 대한 연구. 흥미로운 아카데믹 학술지.
  5. 일반 웹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굳이 필요 없지만 온라인 저널이나 다른 출판물의 경우에 필요하며 권수는 기울임체로 표시한다.
    • 도, J. (2012년, 12월 31일). 통계와 분석. 정보가 풍부한 웹사이트.
    • 도, J. & 스미스, R. (2010년, 5월 1일). 인용법에 대한 연구. 흥미로운 아카데믹 저널, 4.
  6. 월-일-연도 순으로 표시하고 “검색일”이란 단어를 넣고 뒤에 쉼표를 넣는다.
    • 도, J. (2012년, 12월 31일). 통계와 분석. 정보가 풍부한 웹사이트. 검색일 1월 1일, 2013년,
  7. “출처”라는 단어와 함께 웹사이트 URL을 넣는다.
    • 도, J. (2012년, 12월 31일). 통계와 분석. 정보가 풍부한 웹사이트.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5:

저자가 없는 웹사이트

PDF 다운로드
  1. 인용문 형태나 기울임꼴로 제목을 넣지 않는다. 첫 단어의 첫 글자와 고유 명사만 대문자로 쓰고 마침표를 찍는다.
    • APA 스타일로 웹사이트 인용하기.
  2. 연도-월-일 순서로 쓰고 괄호로 묶는다. 연도만 확인되면 연도만 적는다. 날짜를 확인할 수 없으면 “n.d.”로 표시하고 괄호로 묶은 뒤 마침표를 찍는다.
    • APA 스타일로 웹사이트 인용하는 법. (2012년, 12월 31일).
    • 샘플 웹페이지. (2007년).
    • 두 번째 샘플 웹페이지. (n.d.).
  3. “검색일”이라는 단어와 함께 날짜를 적는다. 월-일-연도순으로 적고 뒤에 쉼표를 넣는다.
    • APA 스타일로 웹사이트 인용하는 방법. (2012년, 12월 31일). 검색일 1월 1일, 2013년,
  4. “출처(from)”라는 단어와 함께 해당 정보를 적는다. 웹사이트명을 적은 뒤 콜론(:)을 뒤에 넣고 URL을 마지막에 넣는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5:

온라인 책 [2]

PDF 다운로드
  1. 성, 이니셜로 된 이름 순서로 적고 저자의 중간 이름 이니셜이 있으면 이도 포함시킨다.
    • 도일, A. C.
    • 존스, J. M. & 켈러, S. J.
  2. 연도-월-일의 순서로 적고 괄호로 묶는다. 날짜를 확인할 수 없으면 “n.d”라는 약자를 쓰고 괄호로 묶은 뒤 마침표를 찍는다.
    • 도일, A. C. (1990년).
    • 존스, J. M. & 켈러, S. J. (2006년, 6월 30일).
    • 도, J. (n.d.).
  3. 기울임꼴로 쓰고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소제목은 콜론 뒤에 적고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쓴뒤 마침표를 찍는다.
    • 도일, A. C. (1990년). 셜록 홈즈의 모험 .
    • 존스, J. M. & 켈러, S. J. (2006년 6월 30일). 올바른 인용법: 인용, 연구, 표절 방지를 위한 안내.
  4. 자료를 바로 구할 수 있으면 “출처”라는 문구와 함께 URL을 표기한다. 책을 구입해야 하는 등 바로 구할 수 없으면 “구매처”라는 문구와 함께 URL을 표기한다.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5:

포럼 웹사이트

PDF 다운로드
  1. 가능하면 저자의 실명을 성, 이름의 이니셜, 중간 이름의 이니셜 순서로 적는다. 그러나 저자가 본인 실명을 밝히지 않았으면 저자의 온라인용 이름이나 사용자명을 기입해야 한다.
    • 스미스, A. B.
    • 젤리빈러버1900.
  2. 온라인 게시판과 포럼의 특성상 출간일은 대게 게시글에 포함되어 있다. 연도-월-일 순서로 기입하고 괄호로 묶은 뒤 마침표를 찍는다.
    • 스미스, A. B. (2006년, 1월 8일).
  3.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기울임꼴이나 문장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스미스, A. B. (2006년, 1월 8일). 천문학의 놀라운 발견
  4. 게시글이나 메시지의 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면 이를 꺽음 괄호로 묶어 표기한다. 그러나 번호를 확인할 수 없으면 이를 생략하고 마침표를 찍는다.
    • 스미스, A. B. (2006년, 1월 8일). 천문학의 놀라운 발견 [Msg 14].
    • 도, J. (2008년, 10월 17일). 전해야 할 새로운 소식.
  5. “게시판글 출처”라는 문구를 넣고 특정 쓰레드의 URL을 넣는다.
    • 스미스, A. B. (2006년, 1월 8일). 천문학의 놀라운 발견 [Msg 14]. 게시판글 출처http://www.sample-forum.com/forum/messages/01.html
    광고
방법 5
방법 5 의 5:

블로그

PDF 다운로드
  1. 가능하면 저자의 실명을 성, 이름의 이니셜 순서로 적는다. 저자의 실명을 확인할 수 없으면 온라인명을 표기한다.
    • 도, J.
    • 수수께기 블로거맨.
  2. 괄호로 묶은 뒤 마침표를 찍는다. 연도-월-일 순서로 적는다.
    • 도, J. (2011년, 9월 19일).
  3. 문장 부호나 기울임꼴을 사용하지 않는다.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쓰고 마침표를 찍는다.
    • 도, J. (2011년, 9월 19일). 인용 형식에 대한 고찰.
  4. 예를 들어 원자료가 “웹로그 게시글”이면 이를 명시한다. 꺾음 괄호로 묶은 뒤 마침표를 찍는다.
    • 도, J. (2011년, 9월 19일). 인용 형식에 대한 고찰. [웹로그 게시글].
  5. “출처”라는 문구와 함께 URL을 표시한다.
    • 도, J. (2011년, 9월 19일). 인용 형식에 대한 고찰.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42,546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