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VPN 은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의 줄임말이며, 네트워크를 통해 한 회사나 몇몇 단체가 내용을 외부 사람에게 드러내지 않고 통신할 목적으로 쓰이는 사설 통신망이다. 이 기술은 교육적인 목적 혹은 사업적인 목적으로 종종 사용된다. 많은 VPN이 암호화 서비스를 제공해 개인적으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 기능을 이용해서 다른 나라에서 접속한 것처럼 IP를 우회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한 나라에서 접근이 허용 되어있지 않은 네트워크에도 접속할 수 있다. IP제공자 혹은 호스트에게서 직접 VPN네트워크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이 점점 보편화 되고 있다. VPN을 가진 사람에게 요청하면, 그 사람이 특정 로그인 방식과 비밀번호를 전달해줄 것이고, 아래의 방법을 따라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근하면 된다.

방법 1
방법 1 의 7:

VPN을 고른다

PDF 다운로드
  1. 직장인이거나 학생이면, 회사나 대학교에서 VPN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학생서비스 혹은 사내서비스의 해당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지 문의해본다.
  2. 보안, 프라이버시, 필요한 대역폭, 다른 나라에 출구 서버가 있어야 하는지, 플랫폼이 필요한 지, 소비자 서비스가 필요한 지 아닌지, 얼마정도를 지불하고 싶은 지 알아본다. 이 기사 맨 밑의 "팁" 부분에서 관련된 내용을 읽어본다.
  3. VPN제공자로부터 VPN서비스를 사는 것이라면, 새로운 서비스를 위해서는 돈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다. 가입하고 지불한 뒤에는(학생 혹은 직장인이라면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등록한 뒤에) 제공자가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아이디와 비밀번호, IP나 서버 이름을 알려줄 것이다. VPN에 연결하기 위해서 아래에 나와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7:

Windows Vista 혹은 Windows 7 에서 VPN 연결하기

PDF 다운로드
  1. "라는 옵션의 페이지에서 "나의 인터넷 연결(VPN) 사용하기"를 고른다.
  2. "라는 창이 뜰 것이다. "인터넷 연결 나중에 하기"를 선택한다.
  3. "인터넷 주소" 란에 IP 주소를 입력하고 "목적지 이름"에 서버 이름을 입력한다. "지금 연결하지 않고 나중을 위해서 설정만 합니다." 옆에 있는 체크박스에 체크표시를 한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전에 연결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다음"을 누른다.
  4. 매번 로그인할 때 마다 입력하지 않도록 자동으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는 체크박스를 클릭한다. "생성"을 클릭한다.
  5. "네트워크 공유 센터" 이름 아래의 "네트워크 연결하기"를 클릭하고 방금 생성한 VPN연결을 클릭한다. "연결"을 클릭한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7:

Windows 8에서 VPN연결하기

PDF 다운로드
  1. 빠른 로그인을 위해서 정보를 저장하는 체크박스에 체크하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한다. "생성"을 클릭한다.
    • 고용인 혹은 VPN 제공자가 IP주소를 줄 것이다.
  2. "연결"을 클릭한다.
  3. 고용주 혹은 VPN제공자가 해당 정보를 주었을 것이다. "확인"을 누른다. 연결이 될 것이다.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7:

Windows XP에서 VPN 연결하기

PDF 다운로드
  1. "다음"을 누르고 "새 연결 마법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고 나오면 다시 "다음"을 누른다.
  2. "다음"을 클릭한다.
    • 다이얼-업 방식의 인터넷 연결을 사용중이라면, "공공 네트워크" 페이지가 보일 것이다. 라디오 버튼을 누르고 "이 연결을 초기에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하기" 버튼을 누르고 "다음"을 누른다.
    • 케이블 모뎀 혹은 다른 방식의 인터넷 연결을 사용한다면, "이 연결을 초기에 자동으로 시작하게 하지 않기"를 선택한다.
  3. "호스트 이름 혹은 IP주소"에 사용하고자 하는 VPN서버의 본인의 DNS 서버 이름 혹은 IP 주소를 입력한다. "다음"을 클릭하고 "마침"을 클릭한다.
  4. 해당 정보들을 저장하려면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VPN에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을 선택한다.
    광고
방법 5
방법 5 의 7:

Mac OS X 에서 VPN 연결하기

PDF 다운로드

맥의 "네트워크 연결" 도구는 Mac OS X 버전이 달라도 거의 변함이 없다. 그러므로 이 안내를 따라서 네트워크를 연결하면 어떤 버전에서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보안 문제 혹은 더 심화된 옵션들(인증서 같은 것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항상 시스템을 가장 최신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1. 새 연결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왼쪽 바닥의 더하기 모양을 클릭하면 된다.
  2. Mac OS X 요새미티는 "IPSec를 통한 L2TP ," "PPTP," 혹은 "Cisco IPSec" 타입의 VPN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이와 관연한 사항은 기사 아래의 "팁"에서 더 읽을 수 있다. VPN의 이름을 입력하고 "생성"을 클릭한다.
  3. "구성"에서 "구성 추가"를 선택한다. VPN의 이름을 텍스트박스에 입력하고 "생성"을 클릭한다.
  4. "계정 이름" 아래의 "인증 설정" 상자를 선택한다.
  5. "공유 보안"을 체크하고 제공받은 정보를 입력한다. "승인"을 클릭한다.
  6. "승인"을 누르고 창으로 돌아오면 "적용"을 클릭한다. 새로운 VPN연결을 사용하기 위해서 "연결"을 클릭한다. connection.
    광고
방법 6
방법 6 의 7:

iOS 에서 VPN 사용하기

PDF 다운로드
  1. "을 누르고 "VPN 구성 추가."를 선택한다.
  2. 맨 위의 바에서 iOS가 L2TP, PPTP, IPSec, IKEv2 4가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용주로부터 VPN을 받았다면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할 지도 알려줄 것이다. 개인 호스팅 VPN 을 사용하고 있다면, 제공자로부터 어떤 형식을 사용해야하는 지 알아본다.
  3. 원하는대로 입력하면 된다. 예를 들어서, 일할 때 사용하는 VPN 이라면 "일"이라고 저장해도 된다. 넷플릭스가 IP를 받아주지 않는 국가에서 넷플릭스를 보려고 VPN을 사용하는 것이라면, "캐나다 넷플릭스"라고 적어도 좋다.
  4. 고용주 혹은 VPN제공자가 해당 정보를 제공하였을 것이다.
  5. 이 부분은 호스팅되는 VPN을 구매할 때 혹은 고용주로부터 받을 때 사용자 이름으로 사용될 것이다.
  6. 켜려면 회색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초록색으로 변하면 켜진 것이다. RSA SecureID 는 어떤 기간동안 사용자를 검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전문적인 설정에서 이를 필요로 하게 된다.
  7. "를 입력한다. 비밀번호는 사용자 이름과 함께 처음에 제공되었을 것이다. 고용주 혹은 VPN제공자에게 상담하여 정보를 얻도록 한다.
    • "암호"는 추후의 인증을 위해서 사용된다. RSA Secure ID에서의 "키"와 비슷한데, "암호"는 주로 고용주 혹은 제공자로부터 받은 일련의 숫자와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제공받지 못했다면 해당 란에 아무것도 적지 않은 채로 진행하면 된다. 아니면 고용주 혹은 제공자에게 요청해서 암호를 받으면 된다.
  8. 다시 한 번 말하지만, 고용주 혹은 제공자로부터 해당 정보가 주어졌다면 입력하면 되고 아니라면, 대게, 빈 칸으로 남겨놓으면 된다.
  9. 모든 인터넷 트래픽 사용 시 VPN을 사용하고 싶다면 해당 필드 옆의 버튼을 클릭하여 초록색으로 변하는 지 확인한다.
  10. 이 단계에 이르면 VPN이 연결된 것이다.
    • 설정 내의 버튼을 눌러서 VPN 연결을 켜거나 해제할 수도 있다. 해당 버튼이 초록색이면 켜져있고, 연결되어있는 것이며 해당 버튼이 회색이라면 연결 되어있지 않은 것이다.
    • 휴대폰에서 VPN 연결을 사용하고 있다면, 좌측 상단에 작은 네모 안에 대문자로 VPN이라고 쓰여져 있는 아이콘이 나타날 것이다.
    광고
방법 7
방법 7 의 7: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VPN 사용하기

PDF 다운로드
  1. 기사 아래의 팁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해당 VPN이 암호화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 확인을 위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는데, 이는 본인의 안드로이드 기기의 비밀번호를 말하는 것이지 VPN의 비밀번호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3. "사용자 이름 기억하기"를 선택하고 "연결"을 고른다. 이제 VPN에 연결되었다. 본인이 VPN에 연결되면 키 아이콘이 상단에 표시될 것이다.
    광고

  • 프로토콜을 고를 때, VPN을 어떤 용도로 사용할 지에 대해서 고민한다. PPTP는 빠른 와이파이로 유명하지만, L2TP와 IPSec보다 덜 안전하다. 그래서, 보안이 중요하다면 L2TP 혹은 IPSec 를 사용하도록 한다. 업무를 위해서 VPN을 사용한다면, 고용주가 원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된다. VPN을 호스팅받는다면, 그들이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지 확인한다.
  • VPN제공자로부터 이를 구매했다면, 본인이 원하는 보안을 고려한다. 좀 더 안전하게 문서, 이메일을 주고받고 웹을 브라우징하는데에 사용하려고 하는 것이라면 SSL(TLS라고도 불린다) 혹은 IPsec과 같은 암호화를 제공하는 호스트에 등록하기를 원할 것이다. 암호화를 위해서는 SSL이 보편적으로 쓰인다. 암호화는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데이터를 숨기는 방법이다. 또한, 일대일의 터널링 프로토콜(PPTP) 보다 오픈된 VPN을 사용하는 호스트를 고르도록 한다. PPTP방식은 최근 보안문제에 있어서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OpenVPN 는 더 안전한 암호화방식으로 간주된다.
  • 제공자로부터 VPN 서비스를 구매할 때, 얼만큼의 프라이버시를 원하는 지 고려한다. 어떤 호스트들은 법적인 문제에 직면했을 때 사용자들의 액티비티에 접근하여 해당 정보를 정부 당국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인이 브라우징한 내역이나 주고받은 데이터가 기밀로 다루어지길 원한다면, 사용자의 내역을 지켜주는 VPN제공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 VPN 서비스를 제공자로부터 구매할 때, 본인의 VPN의 최소 대역폭을 고려한다. 대역폭은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주고받아질 수 있는 지를 나타낸다. 높은 해상도의 비디오와 오디오들은 사이즈가 크므로, 텍스트나 이미지를 주고받을 때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필요로 한다.VPN을 웹브라우징이나 개인 서류를 주고받는데에만 사용할 것이라면 대부분의 호스트들이 빠르고 간편한 서비스들이 제공하므로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괜찮다. 넷플릭스를 하거나 게임을 플레이하려면 무제한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신청하는 것이 좋다.
  • 제공자로부터VPN 서비스를 구매할 때, 해외에서만 로그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지 확인한다. 인터넷에 접속할 때, 본인이 어디에서 접속했는지를 알려주는 주소인 “IP 주소” 라는 것이 있다. 해외의 컨텐츠에 접속하려고 한다면, 컨텐츠의 배포에 있어서 나라 간의 법적인 계약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본인의 IP 주소로는 접속이 불가능한 웹사이트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출구 서버"로 VPN을 사용하면 다른 나라에서 접속한 것처럼 IP 를 보여주게 되어서 접속할 수 있다. VPN 호스트를 고를 때, 그 호스트가 어디에 위치해있는지를 VPN의 용도에 따라 확인해보아야 할 것이다. 그 호스트의 서버 위치가 해당 컨텐츠를 연결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 제공자로부터 VPN 서비스를 구매할 때, 어떤 플랫폼을 사용할 것인지 고려한다.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지 컴퓨터를 사용하는 지 생각해보고, 여행을 많이 다니고 스마트폰이나 타블렛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면, VPN제공자가 해당 모바일 기기에서의 연결을 지원하는 지 확인한다.
  • 제공자로부터 VPN 서비스를 구매할 때, 커스텀 서비스가 필요한 지 확인한다. 리뷰들을 읽어보고 어떤 종류의 서비스를 VPN호스트로부터 받아야 하는지 생각해 본다. 어떤 호스트들은 전화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어떤 호스트들은 채팅이나 메일도 제공한다. 사용하기 편리한 지원을 제공하는 호스트를 선택한다.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에서 리뷰를 찾아보는 것도 좋은 소비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 제공자로부터 VPN 서비스를 구매할 때, 얼마를 지불 하고 싶은 지 확인해본다. 어떤 VPN호스트들(Open VPN과 같은)은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선택이 제한적이다. VPN서비스를 경쟁하고 있는 업체가 많이 있으므로 시간을 들여서 여러가지 호스트들을 비교해보고 가격과 리뷰, 서비스를 확인해본다. 더 저렴한 가격에 똑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를 찾을 수도 있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43,905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