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움직이는 GIF는 애니메이션의 일종이다. 이미지 여러 장이나 짧은 동영상이 있다면, 온라인 도구를 이용해서 바로 만들 수 있다.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속도를 바꾸어 주고 싶다면, GIMP를 무료로 다운 받아서 기본 기능을 이용해 편집해 주어도 된다.

방법 1
방법 1 의 2:

온라인 도구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만들기

PDF 다운로드
  1. 폴더를 만든 후에 움직이게 만들고 싶은 이미지를 저장한다. 각 이미지는 애니메이션의 각 프레임이 된다. 또는 짧은 동영상을 움직이는 GIF로 바꿀 수 있다.
  2. imgflip , makeagif , gifmaker 처럼 무료 프로그램이 많다. 이 프로그램들은 GIMP나 다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처럼 기능이 많지는 않다. 하지만 다운로드나 등록 같은 것을 하지 않고 빠르고 쉽게 이미지를 만들 수 있게 해 준다.
  3. 동영상을 이용해서 GIF를 만든다면, 전체를 다 사용하는 대신 일부만 잘라내고 싶을 것이다. VLC 를 사용하면 금방 할 수 있다.
    • VLC를 연다. File Open File... 을 눌러서 동영상을 연다.
    • GIF로 변환하고 싶은 시작 지점으로 이동한다.
    • 상단 메뉴에서 Playback Record 를 누른다.
    • GIF로 만들고 싶은 마지막 지점까지 동영상을 재생한다. Record 를 다시 눌러서 동영상을 멈춘다. 동영상과 같은 폴더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4. Upload Images 버튼을 찾는다. 동영상을 올릴 생각이라면, Upload Video 버튼을 찾는다.
    • 동영상이 크고, 인터넷이 느리다면 올리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다. 몇 초 안 되는 동영상을 올리는 것을 추천한다.
  5. 인터넷 도구들에서는 이미지의 순서를 바꿀 수 있게 해 준다. 잘못된 순서로 올렸다면 바꾸면 된다. 글자나, 이미지의 크기, 속도 등도 저절 가능하다.
  6. Generate GIF , create your gif , Create Now 버튼을 찾는다. 이미지나 비디오가 움직이는 GIF 로 바뀌었을 것이다. 대개, 여러 선택 사항들이 뜰 것이다. GIF를 포럼에 올릴 것인지, 다운로드 받을 것인지, HTML 웹 페이지에 추가할 것인지 등이 뜰 것이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GIMP 이용해 만들기

PDF 다운로드
  1. GIMP는 GNU Image Manipulation Program의 약자이며, 오픈 소스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이다. gimp.org/downloads 에서 무료 다운로드 가능하다. GIMP를 사용하면, GIF의 각 프레임을 편집할 수 있으며, 속도도 변경 가능하며, 크기도 최적화 가능하다.
  2. 상단 메뉴에서 File Open 를 누르고 저장한 파일을 열자. 처음부터 그리고 싶다면 File New 을 누르면 된다.
    • 여러 레이어로 된 GIMP 파일을 사용한다면, Image Flatten Image 을 눌러서 하나로 합치자. [1] 이 이미지는 한 프레임을 차지하게 된다.
  3. GIF에 들어갈 이미지가 여러 개 있다면, File Open as Layers 를 눌러서 추가해 주자. 이미지는 한 장만 있고, 나머지 부분은 스스로 그리고 싶다면 레이어 창에서 Duplicate Layer (레이어 복제)를 누르거나, 아이콘 창에서 사진이 쌓여 있는 것 같은 아이콘을 누르면 된다.
    • 각 레이어는 GIF의 한 프레임이 될 것이다. 목록 맨 아래 있는 것부터 맨 위에 있는 것 순으로 진행된다. 각각을 움직여 순서를 바꿀 수 있다.
    • 이미지는 크기가 같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큰 이미지는 GIF로 저장되면서 짤린다.
  4.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글자를 추가해 주고 싶다면, 그 레이어 위에 있는 레이어는 전부 숨겨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금 편집하려는 레이어를 볼 수 없다.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Layers 창을 쓰면 된다.
    • 레이어에 있는 눈 모양 아이콘을 클릭해 준다. 그 부분을 다시 클릭해 주면 나타난다.
    • 또는 레이어를 선택한 후에 Opacity(투명도) 막대를 움직여서 투명하게 만들어 준다. 이 기능은 글자를 각 레이어에 추가할 때, 줄을 맞출 때 좋다.
  5. GIMP의 기능들을 배운 후에, 이미지를 Layers 창에서 선택하고, 다음 도구들을 이용해서 수정해 주어도 된다.
    • "Toolbar" 창에서, "Scale Tool"(화살표가 밖으로 뻗어 나가는 작은 네모)을 눌러서 이미지 크기를 변경하자. 각 레이어를 같은 크기로 만들자.
    • Toolbar 창에서, "A" 아이콘을 클릭한 후에 이미지를 클릭하면 글자를 추가해 줄 수 있다. 글자를 추가해 준 후에 팝업 도구를 이용해서 크기, 폰트, 색깔을 바꾸어 준다. 끝난 후에는 Layer Merge Down 를 클릭해서 아래 레이어와 합쳐 준다.
  6. 편집이 끝나면,  상단 메뉴에서 Filters Animation Playback... 를 눌러 본다. 플레이 아이콘을 누르면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다.
  7. "Layers" 창에서 레이어를 우클릭(맥에서는 command 클릭)한 후, Edit Layer Attributes 를 선택한다. 이름 다음에 (XXXXms) 라고 입력을 한다. XXXX에는 1000분의 1초 단위로 보여졌으면 하는 시간을 설정한다. [2] 각 레이어에 이것을 설정해 준다. 플레이 창을 다시 열고 본다. 그리고 만족스러울 때까지 돌려 본다.
    • 대개의 경우에는 초당 프레임 정도의 속도로 작동한다. 이 말은 100ms/프레임이라는 의미이다.
    • 이 단계를 건너 뛰고 기본 속도를 사용해도 된다.
  8. 상단 메뉴에서 Filter Animation Optimize (for GIF) 를 클릭한다. 이렇게 하면 훨씬 작은 파일이 만들어진다.
    • 최적화 전에는 각 프레임이 매번 올라오지만, 최적화 후에는 변화하는 부분만 올라온다. [3]
    • 이 부분은 건너 뛰고, 나중에 파일을 내보내기 할 때 해도 된다.
  9. File Export As... 메뉴로 들어간다. Select File Type 을 클릭해서 더 많은 파일 타입을 보도록 한다. GIF를 선택한다. Export 를 누르면 새로운 창이 뜰 것이다.
  10. 이름이 "Export Image as GIF"인 새로운 창에서 "As animation"를 체크한 뒤에 Export 를 눌러 마친다.
    • 애니메이션이 한 번만 실행되게 하고 싶다면, "Loop forever"는 체크를 해제한다.
    • 타이밍 설정을 건너 뛰었다면, 여기에서 시간을 설정하자. 기본값으로 100 ms가 설정된다. 초당 10 프레임이라는 의미이다. 값을 작게 하면 빨라지고, 크게 하면 느려진다.
    • 최적화 단계를 건너 뛰었다면, "Frame disposal" 옵션을 찾아 보고 "Cumulative layers (combine)"을 선택하자.
    광고

  • 포토샵 옛날 버전에는 ImageReady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이 프로그램이 있다면, 포토샵에서 각 프레임을 레이어로 만들고, ImageReady를 이용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GIF를 만들면 된다.
  • GIMP에는   Filters Animation 메뉴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줄 수 있다. 레이어들 사이에 흐려지는 효과나 섞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
  • 고급 애니메이션 효과를 알고 싶다면, Gimp Animation Plugin (GAP)을 설치 하고, 사용법 을 읽어 보자. GAP은 64 비트 버전인 2.8에서 작동하지 않으니 2.6을 써야 한다.
광고

경고

  • 움직이는 GIF는 파일 크기가 무척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업로드에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디더링된 이미지을 피하고, 색을 적게 사용하면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다. [4]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48,038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