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피판이나 찰과상이 생기면 매우 불쾌하고 아프다. 부상의 정도에 따라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할 수도 있고 집에서 혼자 치료할 수도 있다. 찰과상을 입었다면 손을 씻은 후에 상처를 세척하고 드레싱한다. 일반적으로 피판은 잡아뜯지 않는다. 조심스럽게 지혈을 하고 상처를 세척한 후, 치료를 받는다.

파트 1
파트 1 의 2:

상처 세척

PDF 다운로드
  1. 찰과상이나 피판을 치료하기 전에 균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낮춰놓아야 한다. 찰과상 자체는 별로 큰 부상이 아니다. 하지만 균에 감염되면 심하게 아플 수 있다. 물과 비누로 꼼꼼히 손을 씻은 다음에 상처를 치료한다. [1]
    • 소독한 라텍스 장갑이 있다면 착용한다.
  2. 일단 손을 씻은 다음에 찰과상을 치료한다. 찰과상의 정도에 따라 지혈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가벼운 찰과상인 경우, 출혈이 심하지 않으며 작은 상처는 보통 출혈이 저절로 멎는다. 상처에서 계속 피가 나면 멸균 거즈나 붕대를 상처에 갖다댄다. 상처를 계속 꽉 누른다.
    • 텔파(Telfa)나 상처의 단단한 표면에 달라붙지 않는 접착성 없는 거즈를 사용한다.
    • 피가 드레싱에 스며들기 시작하면 몇 곂 더 곂쳐서 상처를 누른다.
    • 완전히 지혈될 때까지 드레싱을 떼지 않는다.
    • 팔다리에 찰과상을 입었다면 팔다리를 들어올려 상처 부위로 가는 혈류를 차단한다.
    • 예를 들어 팔에 찰과상을 입었다면 상처를 압박하면서 팔을 들어올린다. [2]
    • 출혈이 멎지 않는 경우, 즉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다. [3]
  3. 어느 정도 지혈이 되면 상처를 조심스럽게, 꼼꼼히 세척해 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 먼저 상처 주변을 차가운 물로 씻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처를 자극해 다시 피가 나지 않도록 조심한다.
    • 식염수가 있으면 식염수로 상처 주변을 세척한다. 식염수로 벗쳐진 피부와 상처 부위를 세척하면 피부가 부드러워져 상처 경계에 쉽게 다시 붙일 수 있다. 식염수가 없다면 비누와 물로 씻는다. 하지만 비누가 상처에 들어가지 않게 조심한다.
    • 경미한 상처에 과산화수소, 요오드 등과 같은 세척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런 세척제는 손상된 조직을 자극한다. 과산화수소는 벌어진 상처에 사용하면 안 된다.
    • 족집게로 남아있는 이물질을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먼저 소독용 알코올로 족집게를 소독한다. [4]
  4. 피판이 생겼다면 상처를 드레싱하기 전에 피판을 잘라낼지, 아니면 그대로 둘지 결정해야 한다. 피판은 피부층이 분리되었을 때 생긴다. 피판은 두꺼운 피판과 부분 피판, 이렇게 두가지로 나뉜다. 두꺼운 피판은 피부가 얇고 약할 때 가장 잘 생기며 노인들이게 제일 자주 발행한다. [5]
    • 두꺼운 피판은 절대 잘라내면 안 되고 의사에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
    • 부분 피판은 손바닥 같이 피부가 두꺼운 부위에 생긴다. 피부의 표피만 떨어져 나가는 것을 부분 피판이라고 한다.
    • 피판의 밑면에 지문 선이 보이면 부분 피판이라고 할 수 있다.
    • 잘 모르겠다면 두꺼운 피판이라고 간주하고 의사나 간호사에게 치료를 받는다. [6]
  5. 계속 상처해서 상처를 드레싱하기 전에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상황인지 파악한다. 보통 경미한 상처나 찰과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다. 겉보기에 별로 심각해 보이지 않는 찰과상인데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 피부가 찢어지고 피판이 생긴 경우
    • 상처가 크고 깊거나 벌어져서 봉합이 필요한 경우 [7]
    • 상처가 지저분하거나 상처에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
    • 못에 찔리거나 동물에게 물려서 생긴 자창
    • 고름, 악취 등 감염의 징조가 있거나 몸이 안 좋은 경우,
    • 상처가 크거나 더러운데 최근 5년 간 파상풍 주사를 맞지 않은 경우
    • 상처가 낫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8]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상처 드레싱

PDF 다운로드
  1. 상처 드레싱를 하기 전에 먼저 항생제 연고나 항생제 크림을 얇게 펴바른다. 이렇게 하면 상처 표면을 보습하고 상처가 자연스럽게 아무는 데 도움이 되며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9] 항생제 연고를 자기 손으로 바르건, 남의 손을 빌리건 반드시 손을 꼼꼼히 씻고 바른다.
    • 항생제 치료제에 상처 주변에 발진을 일으키는 성분이 들어있을 수 있다.
    • 불쾌감이 느껴지거나 발진이 생기면 항생제 연고나 크림 사용을 중단한다. [10]
  2. 이제 상처를 드레싱을 하거나 감쌀 차례이다. 이렇게 하면 상처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소독된 드레싱을 사용하고 상처를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텔파(Telfa)가 있으면 텔파를 사용한다.
    • 경미한 상처나 찰과상은 감쌀 필요가 없다. [11]
    • 피판이 괴사 없이 다시 주변 조직에 붙을 가능성을 높여주는 부드럽고 실리콘 처리된 드레싱을 사용한다.
  3. 상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드레싱을 자주 갈아줘야 한다. 최소한 하루에 한 번 이상 새 것으로 갈아줘야 한다. 드레싱이 더러워지거나 축축해지면 바로 새 것으로 갈아야 한다. 드레싱을 떼고 새 것으로 갈 때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상처를 자극하거나 상처가 낫는 것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 일단 감염의 우려가 없을 정도로 상처가 나은 다음에는 드레싱을 떼어버려도 된다.
    • 상처를 감싸지 않고 공기에 노출시키면 마지막에 아무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12]
  4. 계속 상처에서 눈을 떼지 말고 감염의 조짐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상처가 잘 낫지 않으면 병원에 간다. 다음과 같은 감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최대한 빨리 병원에 가야 한다. [13]
    • 상처 주변이 붉고 부어오르며 따뜻하다.
    • 열이 나거나 전반적으로 몸이 좋지 않다.
    • 상처에서 고름이나 분비물이 나온다.
    • 상처 주변 피부에 붉은 줄이 있다.
    • 상처의 통증이 심해진다. [14]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1,97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