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경비견은 집과 가족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훈련 받게 된다. 본인이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대부분의 경비견은 공격에 대한 훈련이나 가르침을 받지 않는다. [1] 보초를 서는 법이나 낯선 사람 혹은 위험해 보이는 사람에 대해 주인에게 알리기 위해 짖는 법을 배우며 상대방과 대치 하지 않는 기술을 배우게 된다. 애완견을 경비견으로 훈련하는 것은 시간과 인내심이 필요한 일이지만 위험 요소로부터 주인을 지키는 것 뿐만 아니라 위협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편안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법을 가르칠 수 있다.

방법 1
방법 1 의 3:

경비견 훈련을 위한 준비하기

PDF 다운로드
  1. 경비견은 짖거나 으르렁거리는 행동으로 낯선 사람 혹은 불법 침입자의 존재를 주인에게 알리는 것을 훈련 받으며 명령에 따른 공격을 하거나 낯선 사람에 대해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경비견은 대개 좋은 전투견이라고 볼 수 없다. [2]
    • 전투견은 법률 집행이나 경찰력에 사용되며 명령에 따라 위협이 될만한 요소나 불법 침입자 등에 대해 공격성으로 보이도록 훈련된다. [3]
    • 대부분의 전투견들은 훈련이 잘 받아 주인의 명령이 내려지지 않는 이상 상대방에게 공격성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훈련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 경우 경고 없이 공격하거나 다른 동물 및 사람에게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 [4]
    • 일반적으로 애완견을 키우고 있는 주인들은 자신의 애완견을 이러한 전투견으로 키울 필요가 없다.
  2. 대부분의 개들이 경비견 훈련을 받을 수 있지만 특정한 품종이 경비견으로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소형견인 차우차우, 퍼그, 차이니즈 샤페이가 있으며 [5] 대형견으로는 도베르만, 저먼 셰퍼드, 아키타 등이 그러한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6]
    • 저먼 셰퍼드와 도베르만 같은 특정한 품종은 경비견 뿐만 아니라 전투견의 훈련 역시 잘 소화하는 품종이다. [7]
    • 전형적인 경비견이 아닌 순종 애완견을 키우고 있거나 심지어 잡종이라 하더라도 훌륭한 경비견으로 훈련하는 것은 가능하다. 경비견의 행동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제대로 훈련 받았으며 사회성이 발달되었다면 경비견의 훈련을 진해하여 주인을 보호하는 경비견으로 키울 수 있다.
  3. 알려진 바와 다르게 좋은 경비견은 두려움을 느낄 때 그에 대응하거나 순전한 공격성을 보이는 특성을 지니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좋은 경비견은 영역을 지키며 주인과 주인의 집을 보호하고, 주인의 명령에 순종적인 특징을 갖는다. [8]
    • 좋은 경비견은 자신과 주변 환경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한다. 확신에 차 있는 자신감이 강한 애완견은 새로운 사람, 지역 등에 호기심을 가지며 새로운 사람들의 등장에 부끄러워 하거나 소심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9] 애완견이 이미 이러한 성격적 특징을 갖고 있을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알맞는 사회성 훈련을 통해 자신감을 고취시켜 줄 수도 있다.
    • 좋은 경비견은 적극적이다. 이것은 지나치게 공격적이거나 밀어부친다는 뜻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입장이나 상황에 편안함을 느낄 정도의 자신감과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또한 새로운 상황이나 사람에 접근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고 뒤로 물러서지 않는다. [10]
    • 좋은 경비견에 있어 사회성은 또 다른 중요한 요소이다. 사회성이 잘 형성된 경비견은 주인 주변에 있는 낯선 사람의 존재를 인식하고 경계하지만, 낯선 사람에게 직접적인 공격을 하거나 위협을 가하지는 않는다. [11]
    • 좋은 경비견은 훈련을 잘 받아드리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12] 차우차우는 본능적으로 낯선 사람을 경계하여 좋은 경비견의 자질이 있지만 매우 독립적이고 훈련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13]
    • 충성심이 강한 애완견이 좋은 경비견이 될 수 있다. 주인에게 충성을 다할수록 개는 주인을 보호하고 지키고 싶어한다. 저먼 셰퍼드는 매우 충성심이 강한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14]
  4. 제대로 된 사회성 훈련은 애완견을 좋은 경비견으로 키우고 훈련하는데 필수적인 부분이다. 애완견의 사회성이 잘 형성되면 자신의 정상적인 주변 환경에 편안함을 느끼고 두려움을 느끼지 않으며 긴장을 풀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위협이 될 수 있거나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 대해서는 적당한 의심과 경계를 늦추지 않는다. [15] 애완견의 사회성 훈련을 시작하고 좋은 때는 생후 3-12주이다. [16]
    • 생후 12주가 넘어가면서 애완견은 점점 더 새로운 환경에 조심하게 되어 사회성을 기르기 힘들어 진다. [17]
    • 사회성을 기르는 동안은 애완견이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환경에서 교류하는 것을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성 훈련은 주인에게 쉽지 않은 과제이기 때문에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조금씩 애완견이 새로운 상황 등에 노출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장기적 훈련을 하는 것이 좋다. [18]
    • 애완견이 사회성 훈련을 잘 받을 때마다 쓰다듬기, 간식, 더 오래 놀아주기 등과 같이 충분한 긍정적 보상을 준다. [19]
    • 애완견 훈련 코스나 수업 등은 사회성 훈련에 도움이 된다. 다만 이렇나 훈련 코스 기간 동안 애완견이 예방 접종 및 기생충 예방 치료를 꾸준히 받아 질병의 우려가 없는 건강한 상태여야 한다. [20]
    • 만약 애완견이 성견이며 이미 사회성 훈련을 거쳤다면 훌륭한 경비견이 되고 가고 있는 절차를 잘 밟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 경비견 훈련을 시작하기 전 애완견이 기본적인 “기다려,” “앉아” 그리고 “엎드려” 등과 같은 명령에 따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명령 복종이 가능하게 된 후에 경계를 느낄 때 짖기, 보초 서기 등의 경비견 훈련을 시작할 수 있다.
    • 이러한 명령은 주인이 스스로 훈련할 수 있다. 대안으로는 복종 훈련 코스에 등록하면 된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위험을 알리기 위해 짖는 연습하기

PDF 다운로드
  1. 애완견이 집에 낯선 사람이 다가올 때 짖도록 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명령어로 사용한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짖어” 등을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어떤 주인들은 “짖어”가 아닌 “말해봐” 등의 다른 단어를 사용해 명령어가 주인 이외 주변 사람이 들었을 때 너무 명백하지 않은 것을 선택 하기도 한다. [21] [22]
    • “짖어” 라는 단어를 선택했다면 매번 이것을 애완견에게 말할 때 마다 같은 정도의 강세를 넣어 말한다.
    • 매번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 애완견이 짖게 한다.
  2. 대부분의 애완견은 본능적으로 짖기 때문에 누군가가 접근하거나 갑작스러운 소음이 발생할 때 짖도록 따로 명령을 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애완견이 주인의 명령에 따라 짖게 하는 것이다. 먼저 목줄을 하고 식탁 의자나 뒷마당 울타리 등에 묶어 둔다. 그런 다음 손에 간식을 들고 애완견 쪽으로 향해 뻗고 서서히 뒷걸음 치며 물러나면서 애완견의 시야에서 벗어난다. [23]
    • 애완견이 칭얼 거리거나 짖는 소리는 내자 마자 바로 돌아가 “잘 짖었어” 혹은 “좋은 [명령어] 했어” 등의 칭찬을 해주고 바로 간식을 준다. 이런 식의 훈련을 반복하면 애완견은 주인의 칭찬 및 간식과 짖는 행동을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애완견이 같은 장소나 자리에서 주인의 명령에 따라 짖는 것에 익숙해지면, 마당이나 집안 실내의 다른 장소로 옮겨 훈련 범위를 넓혀간다. 또한 공공 장소에서 함께 놀거나 산책하며 애완견이 주인의 명령에 반응하는지 테스트 해보도록 한다.
  3. 지속성과 꾸준한 연습은 애완견이 명령어에 잘 따르도록 훈련하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산책 중 애완견의 반응을 확인해보고 싶다면 먼저 걷기를 멈추게 하고 눈을 정면으로 응시한다. 그리고 강세를 주어 “짖어” 라고 명령한다. 만약 애완견이 혼란스러워 보이거나 명령에 따르길 주저한다면 간식을 손에 쥐고 뻗어 명령어를 반복한다. [24]
    • 가장 이상적인 것은 애완견이 주인의 명령에 한번 짖게 하는 것이다. [25] 하지만 애완견이 한번 시작하면 꾸준히 짖으려고 할 수 있는데, 이때는 간식을 주지 않는다. 개가 멈추길 기다리고 다시 명령한다.
  4. 애완견이 “짖어”라는 명령어를 완전히 이해하고 있는지 시험해보고 싶다면 개를 집 안에 두고 주인이 문 밖으로 나간다. 그리고 벨을 누른 다음 “짖게” 하는 명령을 내린다. 개가 주인의 명령에 잘 따라 짖으면 간식을 준다. 이제 벨을 누르지 않고 문을 노크한 다음 “짖게” 하는 명령을 다시 내린다. 그리고 이번에도 잘 짖으면 역시 간식을 준다. [26]
    • 가능하다면 매일 집에서 나가고 들어오기 전 이렇게 연습하도록 한다. 애완견이 문밖으로 누군가가 다가오면 그에 대해 주인에게 알릴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낮이나 밤에 “짖게” 하는 명령에 반응하도록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27]
    • 짧은 간격으로 “짖게” 하는 명령을 내리고 연습한다. 3-4번의 반복 후 애완견이 휴식을 취하고 다른 활동을 하는 시간을 45분 정도 갖는다. 이렇게 휴식을 가진 후에 다시 몇 번 “짖게” 하는 명령을 내리고 연습한다. 여기서 너무 지나치게 훈련하지 않도록 하여 개가 훈련 중 지루해 하거나 불만스러워 하지 않도록 한다. [28]
  5. 애완견이 주인의 “짖게” 하는 명령에 익숙해진 것 같다면 주인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짖도록 훈련한다. 가족 중 한 명이 밖으로 나가 노트나 벨을 누르게 한다. 주인은 개와 집 안에 함께 있으며 짖으라는 명령을 내리고 개가 그 명령에 따르면 간식을 준다. [29] 이것은 개가 익숙하지 않은 사물이나 사람을 경계하는 보호 본능을 자극할 수 있다.
    • “짖게” 하는 명령은 노크나 벨 소리가 들릴 때마다 다른 가족들도 함께 훈련하고 간식을 주며 꾸준히 훈련한다. 그러면 애완견이 벨 소리나 노크 소리와 짖는 행동을 연관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딱 한번만 짖게 될 것이다.
    • 시간이 지나면서 주인의 명령이 아닌 벨 소리와 노크 소리에 반응해 짖도록 훈련할 수 있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개가 ‘조용히’ 하도록 명령하기

PDF 다운로드
  1. 이제 애완견이 때에 맞춰 짖을 수 있게 되었으니 다음 단계는 짖는 것을 멈추게 하도록 훈련한다. 사실 개가 “짖게” 하는 명령어를 먼저 가르치는 것이 “조용히” 하도록 가르치는 것에 유용하다. [30] 때에 맞추어 개가 짖고 짖는 것을 멈추게 훈련하는 것은 애완견이 좋은 경비견이 되는데 도움이 된다.
    • 위와 같이 “짖게” 하는 명령어에 개가 제대로 반응을 보이면 간식을 준다.
  2. 벨을 울리고, 그 벨 소리에 반응을 보이며 개가 짖으면 간식을 코 앞에 가져다 놓는다. 개가 짖는 것을 그만하고 간식 냄새를 맡기 시작하면 “고마워” 혹은 “쉿” 등의 말을 하며 간식을 준다. [31]
    • 소리를 치거나 큰 소리로 명령하지 않는다. 주인의 큰 목소리는 개를 더욱 경계하게 하여 더 짖게 할 수 있다. [32]
    • “조용히 해” 혹은 “안돼” 등의 부정적인 명령어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이 두 명령어를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개가 짖는 것을 주인이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이것은 개가 좋은 경비견이 되도록 훈련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여러 번 “짖으라고” 명령한 다음 조용히 시켜 훈련을 더욱 재미있게 진행할 수도 있다. 개가 이것을 일종의 게임으로 받아들여 주인과 개 모두 훈련을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33]
  4. 벨이 울리거나 방문하기로 한 사람이 집 앞에 도착했을 때 개를 짖게 하는 것이다. 개는 누가 문 앞에 와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개의 보호 본능을 자극하여, 개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의 접근에 경계하며 짖도록 훈련한다. 그런 다음 문을 열어주기 위해 문 쪽으로 향하며 “조용히” 하게 하는 명령을 내리고 개가 그 명령에 따라 짖는 것을 멈추면 간식을 준다. [34]
    • 개가 주인의 친구나 산책 시 만나는 다른 사람들을 향해 짖지 않도록 해야 한다. [35]
  5. 모든 훈련이 그렇듯이 반복 연습은 개가 항상 주인의 명령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데 필수적이다. 짧은 주기로 연습하고 바르게 행동하고 반응을 보일 때마다 간식을 준다.
    광고

  • 경비견을 전투견으로 훈련 시키고 싶다면 전문가의 지도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훈련 코스에 등록한다. 개에게 전투 기술을 올바르게 가르치는 것은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가장 좋으며 주인은 바르지 못한 방법으로 훈련할 수 있어 되려 개의 공격성을 두드러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36]
  • "개조심" 이라는 팻말을 집 앞에 붙여 둔다. 이것으로 불법 침입자나 낯선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지나가는 사람들이 잘 볼 수 있도록 팻말이 충분히 커야 한다.
광고
  1. http://www.dog-obedience-training-review.com/guard-dog-training-and-selection.html
  2. http://www.dog-obedience-training-review.com/guard-dog-training-and-selection.html
  3. http://www.healthguidance.org/entry/16022/1/Guard-Dog-Training-Basics.html
  4. http://www.dog-obedience-training-review.com/guard-dog-training-and-selection.html
  5. http://www.dog-obedience-training-review.com/guard-dog-training-and-selection.html
  6. https://www.aspca.org/pet-care/virtual-pet-behaviorist/dog-behavior/socializing-your-puppy
  7. https://www.aspca.org/pet-care/virtual-pet-behaviorist/dog-behavior/socializing-your-puppy
  8. https://www.aspca.org/pet-care/virtual-pet-behaviorist/dog-behavior/socializing-your-puppy
  9. https://www.aspca.org/pet-care/virtual-pet-behaviorist/dog-behavior/socializing-your-puppy
  10. https://www.aspca.org/pet-care/virtual-pet-behaviorist/dog-behavior/socializing-your-puppy
  11. https://www.aspca.org/pet-care/virtual-pet-behaviorist/dog-behavior/socializing-your-puppy
  12. http://leerburg.com/bark.htm
  13. http://www.humanesociety.org/animals/dogs/tips/how_to_stop_barking.html
  14. http://leerburg.com/bark.htm
  15. http://leerburg.com/bark.htm
  16. http://leerburg.com/bark.htm
  17. http://leerburg.com/bark.htm
  18. http://leerburg.com/bark.htm
  19. http://leerburg.com/bark.htm
  20. http://leerburg.com/bark.htm
  21. http://www.vcahospitals.com/main/pet-health-information/article/animal-health/barking-in-dogs/152
  22. http://www.vcahospitals.com/main/pet-health-information/article/animal-health/barking-in-dogs/152
  23. http://www.vcahospitals.com/main/pet-health-information/article/animal-health/barking-in-dogs/152
  24. http://www.petcarerx.com/article/teach-your-dog-to-bark/757
  25. http://www.petcarerx.com/article/how-to-train-a-german-shepherd-to-be-a-guard-dog/280
  26. http://www.petcarerx.com/article/how-to-train-a-german-shepherd-to-be-a-guard-dog/280
  27. http://www.dog-obedience-training-review.com/guard-dog-training-and-selection.html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8,234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