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반려견에게 설사는 매우 흔한 문제입니다. 많은 경우, 심각한 문제는 아니고 집에서 잘 케어 해주면 저절로 해결이 됩니다. 적절한 대처로 명확하고 간단한 설사 문제를 동물 병원에 가지 않고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떨 때는 문제가 너무 심각해서 동물 병원에 가야할 수도 있습니다.

파트 1
파트 1 의 2:

식습관을 통해서 반려견의 설사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내장에 음식이 있으면 장의 벽이 수축하여 음식을 밀어내게 됩니다. 만약 개가 설사를 한다면, 이러한 수축이 너무 과도해서 너무 빠르게 음식을 밀어내서 설사를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12시간-24시간 동안 단식을 시켜서 과민해진 장을 가라앉히고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2. [1] 단식을 하는 기간 동안에는 반려견이 마실 수 있는 깨끗하고 신선한 물이 있어야 합니다. 개가 물을 마셔서 물이 줄어들고 있는지 물그릇을 잘 확인하세요. 만약 반려견이 물을 잘 마신다면, 탈수 위험은 급격하게 줄어듭니다.
  3. 단식 기간이 끝나고 나서 바로 개에게 원래 먹던 음식을 주지 마세요. 대신에 장이 쉽게 소화할 수 있는 부드러운 음식을 주세요.
    • 자극적이지 않은 식단을 위해 지방이 많거나 영양분이 너무 많은 음식 혹은 붉은 고기류를 피하세요.
    • 반려견에게 닭고기를 주세요. 닭고기 맛의 음식이 아니라 진짜 닭고기를 주세요. 닭껍질 말고 살코기만 주도록 하세요.
    • 닭고기를 삶은 쌀, 파스타 혹은 매쉬드 포테이토와 함께 주세요.
    • 우유나 유제품을 피하세요. 많은 개들의 경우, 유제품을 잘 소화시키지 못해서 설사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즉, 매쉬드 포테이토에 버터를 넣어서도 안됩니다.
    •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은 적은 양의 배설물(또는 밝은 색 배설물)을 만들어냅니다. 반려견의 배변이 완벽한 모습을 하고 있으리라 기대하지 마세요. 반려견이 회복을 하고 있다는 신호로 집어들 수 있는 배변이면 됩니다.
  4. 자극적이지 않은, 집에서 만든 음식을 반려견이 좋아하지 않는다면 수의사에게 장 회복을 위한 조제 식이를 요청하세요. Hills ID나 Purina EN과 같은 식이는 설사 회복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것으로 증명되었습니다.
  5. [2] 적은 양의 먹이는 장이 경련을 일으킬 만한 자극을 덜 줍니다. 반려견이 단식이 끝나면, 평소에 하루 먹을 정도의 양을 똑같이 주세요. 이 양을 네 번의 작은 양으로 나눠서 하루 종일 나눠서 주세요. 이렇게 하면 설사 증상이 돌아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6. 반려견의 설사가 안전하게 지나갔다면, 반려견의 원래 식이로 천천히 돌아오기 시작하면 됩니다. 장이 회복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바로 원래 먹던 음식으로 돌아오지는 마세요. 이틀 동안은 설사가 지나갔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주세요. 그리고 나서 이틀 동안 아래 방법을 활용하여 원래 식단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하세요:
    • ⅔ 정도의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과 ⅓ 보통 음식을 섞으세요.
    • 그 다음날은 ⅓ 정도의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과 ⅔ 보통 음식을 섞으세요.
    • 세번째 날은 원래 먹던 보통 음식을 줘도 괜찮습니다.
  7. 프로바이오틱스는 소화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로 설사 증상으로부터의 빠른 회복을 도와줍니다. 유용한 박테리아가 설사로 인한 격렬한 배설 작용으로 손실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다시 이 유용한 박테리아가 축적되어서 소화가 완전히 효율적으로 될 수 있는 단계가 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는 이러한 박테리아의 수를 증가시켜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는 반려견의 음식에 하루에 한번, 5일 동안 섞어서 주면 좋습니다.
    • 반려견의 장에 있는 천연 박테리아는 인간의 장에 있는 박테리아와 다릅니다. 사람이 먹는 프로바이오틱스를 반려견에게 주지 마세요.
    • 동물병원 혹은 주요 펫 스토어에서 다양한 강아지 프로바이오틱스를 처방전 없이 살 수 있습니다.
  8. 가벼운 설사 증상은 위의 단계를 참고해서 대처하세요. 장의 움직임을 더디게 만드는 약을 주면 치명적인 문제를 이미 너무 늦었을 때까지 숨기게 되는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만약 기본 증상이 위의 방법을 사용해도 2-3일 이후에 괜찮아지지 않는다면, 수의사의 진단이 필요한 질병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반려견이 동물 병원에 가야하는지 결정하기

PDF 다운로드
  1. 설사 증상은 주로 반려견이 먹으면 안되는 것을 먹었을 때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경우, 반려견의 몸에서 자연적으로 배출되면 괜찮아질 것입니다.
    • 하지만, 반려견이 만약 쥐약이나 가정용 세척 용품과 같은 독성이 있는 무언가를 먹은 것을 알게 되었다면, 바로 동물 병원에 데리고 가세요.
  2. 간단한 설사 증상은 열을 동반합니다. 만약 반려견이 열이 난다면, 아마도 어떤 종류의 감염 증상을 겪고 있을 것입니다. 반려견의 체온을 재기 위해서는, 친구에게 반려견의 배 아래쪽에 팔을 넣어서 반려견을 결박시키고 반려견의 뒷다리와 궁둥이가 친구의 가슴쪽에 닿을 수 있도록 하세요. 친구가 그 다음에 다른쪽 손을 반려견의 턱 아래쪽에 단단하게 넣어야 합니다. 부드럽게 반려견을 고정시키고 반려견이 움찔거리기 시작하면 부드러운 톤으로 말해주세요. 만약 반려견이 이 과정에서 물 위험이 있다면 입마개를 씌워주세요.
    • 체온계에 윤활유를 바르고 나서 꼬리를 들어올리고, 항문으로 부드럽게 넣어주세요. 암컷 반려견의 경우, 항문 아래 음문에 넣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강제적으로 체온계를 넣을 경우에 반려견이 다칠 수 있음으로 강제적으로 넣지는 마세요.
    • 체온계에서 체온 측정을 마쳤다는 소리가 날 때까지 기다리세요.
    • 정상 체온은 섭씨 38도에서 섭씨 39.16도 사이 입니다.
    • 섭씨 39.7도 이상이면 열이 있는 것입니다. [4]
  3. [5] 구토와 설사는 반려견이 양쪽으로 체액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한 조합입니다. 이렇게 되면 반려견에게 탈수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나 반려견이 물을 마실 수 없거나 체액을 유지할 수 없다면 더 걱정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수의사의 응급 조치를 받도록 하세요.
  4. [6] 설사는 기본적으로 액체가 많은 배변입니다. 만약 반려견이 설사를 많이 하고 액체를 보충하지 않는다면, 탈수 증상이 나타날 것입니다. 탈수 증상은 간이나 콩팥과 같은 장기에 혈류를 줄이기 때문에 잠재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 탈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반려견의 목덜미를 견갑골에서 들어올렸다가 놓아보세요.
    • 수분 공급이 잘 된 피부는 바로 제자리로 돌아옵니다.
    • 탈수 증상이 있는 반려견의 피부는 덜 탄력적이고 제자리로 돌아오기까지 몇 초 이상 걸립니다.
  5. [7] 설사에서 피가 발견된다면, 이는 염증이나 출혈 때문일 것입니다. 염증은 불편할 뿐이지만, 출혈은 잠재적으로 생명에 위협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집에서는 그 차이를 알기 어려울 것임으로 위험을 감수하지 마세요. 반려견의 배설물에서 피가 발견된다면 바로 동물 병원에 데리고 가세요.
  6. [8] 가벼운 설사 증상이 있는 강아지는 항상 밝고 깨어있을 것입니다. 만약 반려견의 눈빛이 밝고 힘이 있지만 설사 증상이 있다면, 위 증상들이 생기는지를 주의해서 살펴보세요. 이 경우 혼자서 문제 해결을 하려고 해도 괜찮습니다.
    • 하지만, 만약 반려견이 에너지가 없어보이고, 무기력하고, 안정하지 못하고, 혹은 쓰러진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광고

  • 동물 병원에 가면, 신선한 배변 샘플을 가지고 가서 수의사가 배변 띄워보거나 배변을 묻혀보는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어떤 강아지들은 통조림 음식에 안 좋은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반려견에게 고급 건사료나 건사료와 통조림 음식을 섞어서 먹여보세요.
광고

경고

  • 설사 증상을 치료하면서 반려견이 먹어본 적이 없는 새로운 사료를 주지 마세요.
  • 반려견의 사료를 바꿀때, 점차적으로 바꿔주지 않으면 반려견이 아파지거나 설사 증상이 더 심해질 것입니다.
  • 새끼 강아지의 설사 증상은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목숨에 치명적일 수 있으니 바로 동물 병원에 데리고 가세요.
  • 새끼 강아지의 푸르스름한 설사는 콕시디아증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즉시 수의사에게 진단을 받으세요.
  • 설사에서 발견되는 점액은 장이 자극되어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습니다. 기생충 때문에, 돼지의 익히지 않은 심장을 먹거나 혹은 다른 질병으로 인해서도 배설물에서 점액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광고

출처

  1. Textbook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Ettinger. Publisher: Saunders
  2. Textbook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Ettinger. Publisher: Saunders
  3. Textbook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Ettinger. Publisher: Saunders
  4. Small Animal Internal Medicine. Nelson & Couto. Publisher: Mosby
  5. Small Animal Internal Medicine. Nelson & Couto. Publisher: Mosby
  6. Small Animal Internal Medicine. Nelson & Couto. Publisher: Mosby
  7. Small Animal Internal Medicine. Nelson & Couto. Publisher: Mosby
  8. Small Animal Internal Medicine. Nelson & Couto. Publisher: Mosby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16,749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