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집에서 어린 아기 고양이와 함께 지내는 것은 즐거운 일이지만, 아기 고양이를 돌보는 일은 단순히 먹이를 먹이거나 청소하는 일보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한다. 아기 고양이가 어릴 때 사람과 어떻게 교감하는 지가 성묘가 되어서도 사람들에게 친근함을 가지는 데 큰 영향을 끼친다. 아기 고양이가 태어나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 이상 어미 고양이가 육아를 담당할 것이다. 하지만 슬프게도 어미 고양이가 육아를 담당할 수 없게 되거나 아기 고양이를 거부하는 등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손수 아기 고양이를 보살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아래 기사를 읽고 고양이의 생후 나이에 따라 아기 고양이를 보살피는데 필요한 건강관리법, 먹이 주는 법, 사회성 기르는 법 등을 배워보자.

방법 1
방법 1 의 4:

출산 후 어미 고양이와 갓 태어난 아기 고양이 돌보기 (생후 0-4주)

PDF 다운로드
  1. 어미 고양이는 안전하게 출산할 수 있는 장소를 고르려고 할 것이다. 모든 수단을 동원해 크고 견고한 박스에 구해 따뜻하고 잘 마른 시트나 이불 등을 깔아주어 준비한다. 하지만 어미 고양이가 이 곳을 별로 좋아하지 않더라도 너무 실망하지 말자. 본능적으로 어미 고양이는 침대 밑, 소파 뒤, 혹은 부엌 싱크대 밑 공간 등의 조용한 은신처를 찾아낼 것이다. [1]
  2. 처음 48시간은 어미 고양이와 새끼 고양이의 유대 관계에 중요한 시간이므로 방해하지 않는다. 만약 침대 밑에서 출산을 했다면 일단 그대로 둔다. 새끼 고양이를 마음대로 옮기는 등의 행동은 어미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최악의 경우 나중에 아기 고양이를 거부할 수도 있다. 일단 유대감이 제대로 형성된 후 4-5일이 경과하면, 그리고 아기 고양이를 꼭 옮겨야 할 이유가 있다면 그때 옮긴다. [2]
  3. 어미는 첫 1-2주간 아기 고양이 곁을 떠나려 하지 않기 때문에 음식과 물을 근처에 두고 가능하다면 배설용 모레를 깐 화장실까지 곁에 두어 어미가 새끼의 곁을 편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한다.
    • 만약 음식이 다른 방에 있다면 어떤 어미 고양이들은 새끼 곁을 떠나느니 차라리 굶는 것을 택하기도 한다. [3]
  4. 어미 고양이는 출산 후 아기 고양이들을 먹일 충분한 젖을 만들어 내기 위해 추가적인 열량을 필요로 한다. [4]
  5. 본능적으로 어미는 새끼 고양이들과 함께 지내는 집을 청결하게 관리할 것이다. 갓 태어난 새끼 고양이들은 스스로 소변 및 대변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어미가 젖을 먹인 후 새끼 고양이의 엉덩이 부근을 핥아 배변 활동을 유도한다. 이렇게 하여 어미는 집의 청결을 알아서 유지하기 때문에,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 만약 시트나 이불이 더러워지면, 어미가 잠시 화장실을 간 사이 더러워진 이불을 걷어내고 새 이불을 깔아준다. [5]
  6. 어미는 마지막 새끼 고양이가 태어나면 육아를 시작한다. 갓 태어난 고양이들은 대게 2-3시간 안에 눈을 뜨는데, 어미로부터 제대로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것 같다거나, 그 중 한 마리가 어미로부터 거부당하거나, 형제들에 밀려 관리 받지 못하는 것 같다면 두번째 파트에서 소개할 아기 고양이 분유 먹이는 법을 참고한다.
  7. 출산 후 어미 고양이의 난소제거술은 많은 수의사와 시민단체들이 추천하고 있다. 원치 않는 임신으로 인한 고통을 줄여주며 다른 건강적인 장점들이 많다. [6]
  8. 필요한 경우 생후 2주 정도 되었을 때 부터 먹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당한 약과 복용량은 수의사와 상담한다. [7]
방법 2
방법 2 의 4:

어미를 잃은 아기 고양이 돌보기 (생후 0-4주)

PDF 다운로드
  1. 씨미캣(Cimicat)과 같은 파우더 형의 분유는 동물병원, 애완용품점, 혹은 인터넷 등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또 다른 분유는 KMR인데 이것은 갓 태어난 아기 고양이를 위한 분유로 어미의 모유와 성분이 같다. 한 끼에 어느 정도의 양을 먹일 지는 사용법을 꼼꼼히 확인한다.
    • 절대 사람이 먹는 일반 우유을 먹이지 않는다. 소젖의 유당은 배탈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만약 아기 고양이는 배가 고픈데 적당히 먹일 것이 없다면 분유를 구입할 때까지 물을 끓여 식힌 다음 주사기 등에 주입하여 먹인다. 물은 탈수 증상을 막아주며 배탈을 유발하지 않는다. [8]
  2. 애완용품점이나 동물병원에서 구입이 가능하며 인터넷에서도 찾을 수 있다. 급한 경우 인공 눈물 통이나 작은 주사기를 이용해 입으로 분유를 한 방울씩 떨어뜨려주어 먹일 수도 있다. [9]
  3. 마치 아기에게 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아기 고양이를 아기 안듯이 어깨 쪽으로 오게 안고 한 손을 배에 둔다. 그런 다음 등을 부드럽게 쓰다듬고 토닥여주면 된다. [10]
  4. 먹이를 먹이기 전과 후에는 아기 고양이의 엉덩이를 휴지나 거즈에 따뜻한 물을 적셔 닦아준다. 이렇게 하여 배변활동을 유도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아직 스스로 배변활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11] 먹이를 먹인 후에는 아기 고양이를 고양이 전용 화장실 위로 오게 안고 타올을 사용해 생식기와 엉덩이 부근을 문질러준다. 소변 및 대변이 다 끝날 때까지 계속한다 (혹은 아무런 반응이 없을 때까지)
    • 한 방향으로만 문지르고, 앞뒤로 문지르면 피부에 자극이 되니 주의한다.
    • 면봉이나 화장솜은 찢어지거나 갈라질 수 있어 추천하지 않는다. [12]
  5. 소변은 무취의 색이 밝은 노랑색이며 대변은 노랑색이 도는 갈색을 띄고 작은 통나무처럼 생겼다. 어둡고 냄새가 심한 소변은 수분 부족의 결과이며, 초록색을 띄는 배변은 식사량이 많다는 것이다. 반대로 흰색의 배변은 영양분 흡수 불량을 나타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즉시 동물병원에 연락한다.
    • 만약 아기 고양이가 12시간 동안 소변을 누지 못하고 있는 경우
    • 대부분의 아기 고양이는 하루 한 번 대변을 본다. 하지만 고양이 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단 대변을 못 본지 이틀이 넘으면 병원에 데리고 간다. [13]
  6. 첫 2주 동안은 매 2-3시간에 한 번씩 먹이를 준다. 울거나 꿈틀거리며 어미 젖을 찾는 듯 움직이면 배가 고프다는 신호로 이해하면 된다. 배가 부르면 젖꼭지를 빨면서 그대로 잠이 들고 배가 빵빵해진다. 2주가 지나면 매 3-4시간으로 먹이 먹는 시간 사이의 간격이 더 늘어나고, 저녁에는 6시간을 내내 잘 수 있게 된다. [14]
  7. 갓 태어난 고양이는 (생후 2주 전)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수 없어 어미 곁으로 파고 들어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한다. 강아지나 고양이 전용 온열 패드를 깔아주어 체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고, 패드에 직접 닿아 화상을 입는 등의 부상을 방지를 위해 커버를 씌우도록 한다. 패드의 커버를 빨기 위해 벗겨냈을 때는, 패드에 대신 수건을 감아 사용하도록 한다.
    • 고양이가 2주가 지나면서 너무 덥다고 느끼면 패드에서 좀 떨어져 체온을 조절할 것이다. [15]
  8. 아기 고양이의 체온이 너무 낮다면 천천히 체온을 올려주는 것이 가장 먼저 할 일이다. 귀와 발바닥을 만져보았을 때 차갑다면 체온이 내려간 것이다. 입 속에 손가락을 넣어보았을 때, 혓바닥도 차갑다면 체온이 너무 내려간 상태이므로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 양털 담요 등을 깔고 본인의 몸 바로 옆에 아기 고양이를 두어 체온을 나누는 것을 1-2시간 동안 지속해주어 천천히 체온을 올린다. [16]
  9. 이 글 을 시작으로 보다 자세한 조언과 정보를 얻기 위해 수의사에게 상담을 받아보자. 그는 일반적인 질병부터 구충과 관련된 문제까지 자세히 설명해 줄 것이다.
    • 어미를 잃은 아기 고양이는 2주가 지나며 구충이 생길 수 있고, 상황에 따라 2-8주 사이 백신을 맞는 경우도 있다. 다른 고양이와는 다르게 모유 수유로 충분한 항체를 받지 못해 더욱 면역체계가 약할 수 있다. [17]
방법 3
방법 3 의 4:

아기 고양이 이유식 시작 및 사회성 기르기 (생후 4-8주)

PDF 다운로드
  1. 만약 어미가 있다면 이유식은 (모유수유에서 고체형 음식으로 바뀌는 것) 대략 생후 4주가 되었을 때부터 시작한다. 이 시점에서 어미가 젖을 물리는 것에 지쳐 새끼들과 떨어지길 원하게 된다. 남겨진 새끼 고양이들은 주변 음식을 찾게 되고 자연스럽게 사료로 넘어갈 수 있다.
    • 아기 고양이가 입안 가득 음식을 먹기 시작했다면 이유식을 시작하기 좋은 때라는 신호이다. [18]
  2. 아기 고양이가 생후 4주 이상이 되어 이유식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물이 필요 없다. 하지만 이 나이가 지난 고양이는 꾸준히 수분을 섭취해주어야 한다. 물 그릇의 물을 자주 확인하고 마르면 물을 바꿔준다. (아기 고양이가 물 그릇에 들어가거나 대변을 볼 수도 있으니 주의한다.) [19]
  3. 만약 분유를 먹여 키웠다면 이유식 역시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분유를 접시에 조금 따라 손가락으로 살짝 찍어 아기 고양이가 먼저 핥아 볼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이유식을 분유에 살짝 섞어 아기 고양이가 이유식을 먹어볼 수 있게 한다. 점차 아기 고양이가 적응하면서 이유식의 딱딱함을 조절해가고, 고체형 사료를 먹을 수 있게 되면 필요한 영양분을 더욱 잘 섭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0]
  4. 사회성은 생후 3-9주에 발전하는 것으로 아주 중요하다. 3주부터 가능하다면 매일 함께 놀아주어야 한다. 청소기나 헤어 드라이어, 수염이 난 남자, 아이들과 같은 다른 대상 및 소리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생후 6주가 되면 새로운 경험을 가장 잘 받아들이게 된다. 이 시기에 경험한 것이 바탕이 되면, 성묘가 되어서도 뭐든지 아무런 의심없이 잘 받아들이게 되어 행복하고 사회성이 좋은 고양이로 키울 수 있다. [21]
    • 고양이 장난감, 공, 실, 다른 기타 물건 등을 사용해 놀아주되 삼킬 수 있을만큼 작은 물건은 위험하니 피한다. 잠시 주인이 눈을 뗀 사이, 아기 고양이가 끈이나 실을 삼켜 질식할 위험이 있으니 주의한다.
    • 사람의 손가락이나 손이 장난감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가르친다. 그렇지 않으면 성묘가 되어서도 계속 물거나 공격할 수 있다.
  5. 화장실을 두는 곳은 신중하게 골라야 하는데, 한번 화장실을 이용하면 앞으로 계속 그 곳에서 소변 및 배변을 볼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직접 화장실 훈련을 시킨다면 식사를 마친 아기 고양이를 화장실에 두거나, 바닥을 긁기 시작하면 배변을 하기 전 행동이므로 화장실로 데려간다. 하루 적어도 한 번 이상 화장실을 청소하지 않으면 고양이는 더 이상 그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 턱이 낮은 박스를 골라야 고양이가 들어가고 나가기가 편하다. [22]
    • 덩어리진 모래는 아기 고양이가 먹을 수도 있고, 그럴 경우 심각한 소화 문제를 일으키므로 빠르게 청소하도록 한다. [23]
  6. 수의사의 허락이 있다면 외출을 시켜도 된다. 고양이가 제 집을 찾아오는 길을 알기 전까지 항상 주시한다.
    • 고양이가 배가 고플 때쯤 밖으로 데려간다. 이름을 부르며 먹이를 보여주어 아이가 외출 후 자연스럽게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외출은 즐겁고 항상 마지막 도착지는 집이라는 것을 각인시킬 수 있다.
  7. 고양이를 팔거나 입양할 계획이라면, 적어도 아기 고양이가 생후 8주가 될 때 까지는 기다려야 한다. 생후 12주 가량이 가장 좋다. 수의사에 데려가 입양을 보내기 전 예방 접종을 모두 맞히고, 항상 예방 접종을 맞고 있는지, 중성화 및 난소제거술 계획이 있는지 등에 대해 새로운 주인에게 묻는다. 새로운 주인과 연락처를 주고 받아 고양이가 안전하게 잘 크고 있는지 확인하며, 때에 따라 다시 파양을 요구할 수도 있다 (적어도 새로운 주인을 찾아줄 수 있다).
방법 4
방법 4 의 4:

입양된 고양이 기르기 (생후 8주 이상)

PDF 다운로드
  1. 이 체취는 아기 고양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새로운 집에 잘 적응할 수 있게 돕는다. [24]
  2. 식사를 같은 것으로 준비해 고양이가 너무 많은 변화를 겪지 않도록 해준다. [25] 고양이가 잘 정착하면 그 때 점차 새로운 사료로 바꾼다. 일주일 동안 새로운 음식과 기존의 음식을 섞어 주어 점차 새 사료의 양을 늘려간다. [26]
    • 만약 고양이가 건사료를 먹는다면, 하루 동안 사료를 담은 그릇을 그대로 내놓는다. 만약 수분이 있는 음식을 먹는다면 매 6시간 마다 식사를 챙겨준다 [27]
    • 아기 고양이 전용 사료를 먹이고, 생우 1년이 되기 전까지는 성묘 사료를 먹이지 않는다. [28]
  3. 생후 4주가 지난 아기 고양이는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물 그릇은 항상 깨끗하게 관리한다.
    • 고양이는 사료 그릇 바로 옆에 있지 않은 물에 더욱 관심을 보인다. 밥그릇과 물그릇을 멀리 두도록 하여 물을 더 자주 마시게 한다.
  4. 처음에는 먼저 방 하나를 소개하고 그 속에서 적응할 시간을 준다. 아기 고양이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침대(벽과 지붕이 있는 집 형태라면 좋다)를 준비하고, 밥 그릇와 물그릇 그리고 화장실까지 함께 방 한 구석에 두어 휴식을 취하게 둔다. 처음 새 집으로 들어온 날은 아기 고양이가 많이 피곤하고 힘든 날이므로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도록 한 다음 천천히 집 전체를 보여주도록 하자. [29]
  5. 아기 고양이가 그루밍을 하고, 놀고, 야단 법석을 떨기도 하는 동안 함께 시간을 보내며 교감한다. 이것으로 사회성을 키우고 친근한 성격의 성묘로 키울 수 있다. [30]
  6. 전기 코드 선이나 기기 등은 고양이가 물거나 가지고 놀 수 없도록 잘 챙긴다. 아기 고양이가 호기심이 너무 왕성하다면 어린이용 보호 자물쇠를 구입하여 키가 낮은 캐비닛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7. 대략 생후 9주가 되면 첫 백신을 맞는다. 이 시기에는 수의사의 진찰이 더 용이해지며 구충제를 먹이며 예방 접종을 하기 위해 좋은 시기이다. 기본적인 고양이 백신은 감기와 전염성 장염으로부터 고양이를 보호한다. 또한 고양이 백혈병 예방주사도 있으니 접종을 고려해보자. [31]

  • 다른 애완동물에게 고양이를 소개할 때에는 각자 자신의 애완동물을 안고 있는 것이 좋다. 다른 동물이 고양이의 냄새를 맡거나 핥을 수 있게 하고, 고양이가 원하면 숨거나 피하게 한다.
  • 절대 고양이를 때리지 않는다. 고양이를 겁주고 부상을 당하게 할 수 있다. 긍정적 보상 훈련을 이용해 좋은 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해야한다. 가구 대신 스크래쳐를 긁는 등 착한 일을 했을 때 간식이나 상을 준다.
  • 고양이의 외출을 허용한다면 울타리가 높이 쳐진 곳에서만 허용하고, 고양이에게 눈을 떼지 않는다. 고양이는 젖으면 겁을 먹기 때문에 외출 전 날씨 확인을 한다.
  • 흔들리는 장난감을 이용하면 고양이에게 사냥하는 법을 가르칠 수 있다.
  • 고양이와 함께 침대에서 자고 싶다면 고양이가 더 클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고양이가 되려 불편해 하거나 자신의 집에서 자고 싶어 할 수도 있다.
  • 아기 고양이는 태어나자마자 아무것도 보지 못한다. 갓 태어난 아기 고양이가 머무는 곳은 안전해야 하며 잘못하여 떨어지거나 모서리에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미리 방지한다.
  • 신문이 집안에 있으면 다 긁어 놓을 수도 있다. 신문 등과 같은 물건은 항상 위로 올려 두어 고양이가 긁어 놓지 않도록 한다.
  • 시간이 조금 지나면 새로운 활동을 생각해내어 고양이가 매일 반복되는 장난감이나 주인과의 놀이에 지겨워하지 않도록 한다.
  • 고양이가 다가와 비비거나 주인을 보며 소리를 내어 우는 것은 배고프거나 먹이를 달라는 뜻일 수 있다. 규칙적으로 잘 식사를 챙겨주는 것은 중요하다.
  • 초반에 모든 것을 섬세히 잘 챙겨야 하는데, 특히 어린 아이와 관련된 문제는 잘 관리한다.

경고

  • 아기 고양이는 거의 모든 것을 가지고 논다. 뾰족하고 쉽게 삼킬 수 있는 물건을 가까이에 두지 않는다.
  • 이 기사의 정보는 전문 수의사의 조언을 대신하지 못한다. 잘 모르겠다면 일단 병원을 찾는다.
  • 만약 고양이 털 알레르기가 있다면, 함께 생활하지 않는 것을 권한다. 알레르기가 심해져 천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필요한 것

  • 화장실
  • 화장실 모래
  • 고양이 전용 장난감
  • 밥그릇과 물그릇
  • 아기 고양이 전용 이유식
  • 아기 고양이 전용 젖병 (대안으로는 주사기)
  • 아기 고양이 전용 사료 (건식/습식)
  • 페이퍼타올
  • 고양이 집
  • 헤어 브러쉬 (특히 장모인 경우)
  • 스크래쳐
  • 깨끗하고 신선한 물

출처

  1.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2.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3.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4.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5.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6. https://www.aspca.org/pet-care/cat-care/spay-neuter
  7. http://www.nycferalcat.org/BottleFeedingKittens-Legal.pdf
  8.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9.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1. http://www.nycferalcat.org/BottleFeedingKittens-Legal.pdf
  2.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3. http://www.nycferalcat.org/BottleFeedingKittens-Legal.pdf
  4. http://www.nycferalcat.org/BottleFeedingKittens-Legal.pdf
  5.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6.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7. http://www.animalalliancenyc.org/wordpress/2013/05/what-to-do-and-not-do-if-you-find-a-newborn-kitten/
  8. http://www.nycferalcat.org/BottleFeedingKittens-Legal.pdf
  9. Feline Behavior: a Guide for Veterinarians. Bonnie Beaver. Publisher: Saunders.
  10. https://www.aspca.org/pet-care/cat-care/weaning
  11.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Christianseen. Publisher: Bailliere Tindall.
  12. Feline Behavior: a Guide for Veterinarians. Bonnie Beaver. Publisher: Saunders.
  13. http://www.animalhumanesociety.org/training/litter-box-101-preventing-and-solving-litter-box-problems
  14. https://www.aspca.org/pet-care/cat-care/cat-litter
  15. Feline Behavior: a Guide for Veterinarians. Bonnie Beaver. Publisher: Saunders.
  16. Feline Behavior: a Guide for Veterinarians. Bonnie Beaver. Publisher: Saunders.
  17. http://www.vets4pets.com/pet-advice/cat-advice/kitten-advice/feeding-your-kitten/
  18. Feline Behavior: a Guide for Veterinarians. Bonnie Beaver. Publisher: Saunders.
  19. http://www.aspca.org/pet-care/cat-care/nutrition-tips-kittens
  20. Feline Behavior: a Guide for Veterinarians. Bonnie Beaver. Publisher: Saunders.
  21. Feline Behavior: a Guide for Veterinarians. Bonnie Beaver. Publisher: Saunders.
  22. Feline Behavior: a Guide for Veterinarians. Bonnie Beaver. Publisher: Saunders.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19,87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