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심각한 부상을 입은 부위에 제대로 된 방법으로 압박 붕대를 감으면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이는 중요한 응급 처치 기술로 급격한 출혈을 방지할 수 있고 부상당한 부분의 혈관에 압박을 주어 혈액의 응고를 유도한다. 또한 독사에 물렸을 때 압박 붕대를 사용하면 혈관을 통해 독사의 독이 혈류를 통해 몸 전체로 퍼지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압박 붕대는 팔다리의 부상을 안정시키는 데 큰 효과를 보인다. [1]

방법 1
방법 1 의 2:

출혈이 있는 부상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부상이 깊어 많은 출혈이 있을 때 치료의 타이밍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즉시 응급 구조대의 도움을 청하거나 응급실로 보내고 외딴 곳이라면 전문 의료진을 찾아갈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2]
    • 사고 현장에 부상을 당한 사람과 본인 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최대한 부상을 당한 사람을 안정시키고 구조 요청을 위해 그 자리를 뜨도록 한다. 반대로 현장에 다수의 사람들이 있다면 누군가 대표적으로 구조 요청을 하도록 한다. 일원 중 한 사람이 전화를 하거나 압박 붕대를 사용해 응급 처치를 할 수 있는 사람에게 도움을 청한다.
    • 부상자가 의식이 있다면 부상 부위에 손을 대기 전 먼저 동의를 구한다.
  2. 부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한다 .상처를 덮고 있는 옷 등은 자르고 찢거나, 들어 올려 부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옷이 상처 부위에서 떨어지지 않는다면 일단 그 부분은 더이상 떼어내지 않고 그 주변을 확인한다. 상처 부위는 물로 씻지 않아야 하고 몸에 박힌 이물질은 제거하지 않도록 한다. [3]
    • 살균된 염류 용액이 있다면 부상 부위 위에 부어 촉촉하게 하여 옷을 부드럽게 벗긴다.
    • 상처로 인한 출혈이 응고되게 한다. 상처에 붙어있는 옷을 떼어내는 것은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방해하고 더 많은 출혈을 야기할 수 있다. [4]
    • 이물질은 상처를 압박하거나 눌리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거하지 않는다. 어떤 종류의 압박이던지 간에 상관없이 부상을 입은 혈관, 동맥 그리고 정맥이 응고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상처에 박힌 이물질을 빼내는 것이 더 많은 급격한 출혈과 혈액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5]
    • 만약 상처에 박혀있던 이물질이 제거되었다면 삼각 붕대를 말아 끈처럼 만든다. 그 끈으로 이물질을 감아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이 때 이물질 거치게 밀치거나 건들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거즈를 말아 이물질 주변에 대고 움직이지 않도록 붕대를 감는다. 비상 시에는 옷 등의 최대한 깨끗한 물건을 찾아 사용할 수 있다. 가능한 이물질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조직이나 혈관의 손상 혹은 다시 출혈을 재발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상처 부위를 씻는 것은 의료 전문가에게 맡긴다. 최대한 조심하여 상처를 씻어도 응고되어 딱딱하게 굳어진 혈액이 다시 벗겨지게 할 수 있다. 심각하고 싶은 상처는 일반적인 표면적인 상처 치료와는 다르게 치료되어야 한다. 필요 이상으로 상처를 만지지 않도록 하되 상처 주변이 더럽거나 오염 물질이 묻은 경우 닦아낼 수는 있다. [6]
  3. 비상 구급 상자가 없다면 가능한 깨끗한 천을 찾는다. 상처를 덮기 전 붕대나 천 등으로 상처 부위에 볼록 튀어나온 이물질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붕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7]
    • 상처에 박힌 이물질이 없다면 살균한 눌러 붙지 않는 거즈를 사용하거나 가장 깨끗하고 흡수성이 좋은 천을 사용한다. 두께가 대략 3cm 정도가 되도록 상처 부위를 감싸준다.
    • 그런 다음 삼각 붕대나 90cm 가량의 길이가 되는 천을 사용하여 손바닥 너비 정도로 팔다리 등 부상 부위 위로 감아 묶는다. 움직이지 않도록 잘 고정하여 감되 리본 매듭은 쉽게 다시 풀 수 있도록 한다.
    • 상처 위로 매듭을 묶지 않고 팔다리 바깥 쪽을 향하게 한다.
  4. 파란빛을 띄거나 만졌을 때 차갑게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는 팔다리 위로 붕대나 천을 감을 때 더욱 중요하다. [8]
    • 맥박이 뛰지 않을 정도로 너무 조이게 천을 감아 팔다리로 산소 공급이 부족한 증상이 보이면 다시 느슨하게 감는다. 붕대 아래 맥박을 확인해본다. 손목의 경우 엄지 손가락에 가까이 대거나 발은 발목에 가까이 대어 맥박을 확인할 수 있다. [9]
  5. 팔다리는 부상자의 심장보다 높게 두어야 하며 부상 시 부러진 뼈에 부목을 대기 전에는 부상자의 몸을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10]
    • 부상자가 누워있거나 앉은 자세일 때는 짐 상자, 통나무, 돌 등의 사물을 발 혹은 발목에 받쳐 다리를 올린다. 부상자가 등을 대고 누워있거나 앉아 있으면 팔뚝을 가슴 위로 올려 팔을 올리거나 손목을 머리 위로 올린다. [11]
    • 부목은 평평하고 바른 나뭇가지, 폼, 판지 등을 찾아 부상 부위 아래 대고 고정을 위해 옷이나 등산용 직물 등으로 감싼다. 감염을 피하기 위해 먼저 부목으로 사용할 물건을 천 등으로 감싸고 세 갈래가 되도록 찢거나 자른다. 그리고 팔다리 아래 부목을 대고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고 부상 당한 관절을 바르게 한다. 너무 조이게 묶지 않도록 하여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12]
    • 이러한 붕대는 골절이나 상처 위로 매듭을 묶지 않는다. 부상 부위를 피해 매듭을 짓고 충분히 혈액 순환이 잘 되고 있는지 부목 아래 손이나 발을 확인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6. 손을 사용하여 붕대 위로 직접적인 압박을 준다. 5-10분 정도 압박을 주고 붕대에 흡수되는 방치된 출혈이나 붕대 아래로 뚝뚝 떨어지는 출혈 등의 증상을 다시 한번 더 확인한다. [13]
  7. 만약 손으로 붕대 위를 압박했을 때 지혈에 실패하거나 감아 놓은 붕대를 적시는 등의 출혈이 보이면 압박 붕대를 감아야 한다. 압박 붕대는 체내 혈류의 양, 즉 혈량의 감소를 유발하는 원인인 장기적인 그리고 지나친 출혈, 혈압 감소, 의식불명, 사망 등의 사고를 막는다. [14] [15]
    • 입으로 물이나 액체류의 음료를 섭취하여 혈량의 감소를 대체하고 부상자의 혈압을 올린다. 이것은 부상자가 의식을 있고 상처 부위가 소독되었을 때만 행하도록 한다. [16]
  8. 티셔츠, 바지, 양말 등의 직물을 잘라 일반 붕대 위로 감싸 압박 붕대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 상처를 보호하고 더 심한 출혈을 방지한다. 어떤 이유로 압박 붕대를 다시 풀어야 할 때는 일반 붕대가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상처를 보호하도록 하여 상처 위로 응고된 혈액을 벗겨내지 않도록 한다. [17]
  9. 더 긴 천을 사용해 붕대 뭉치 위로 감싸 단단히 고정하고 끝을 묶는다. 지혈이 될 수 있도록 충분히 압박을 하되 너무 조이는 압박대 효과를 주지 않도록 한다. 매듭 밑으로 손가락 하나 정도는 들어갈 여유를 주도록 한다. [18]
    • 붕대를 고정한 후에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분홍빛을 띄며 체온이 따듯하게 유지되어 혈액 순환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다. 그렇지 않다면 붕대를 다시 느슨하게 감아야 한다.
  10. 출혈이 멈추었는지 다시 확인하도록 한다. 이 때 추가적인 처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팔다리의 증상을 보고 혈액 순환의 저하 등의 문제가 없는지 살핀다. 붕대로 인해 너무 오랜 시간 혈류의 흐름이 저하되면 신체 조직의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9] [20]
    • 압박 붕대 아래로 맥박이 뛰지 않거나, 체온이 차갑고 색이 파랗게 변하며 감각이 없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붕대를 느슨하게 조절한다. 충분한 산소가 팔다리에 공급되지 않으면 조직이 하나하나 소멸하여 절단 수술을 해야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21] [22]
  11. 즉흥적으로 만든 붕대나 구급 상자 속의 일반 붕대를 사용해 머리와 흉부 및 복부를 손으로 압박하는데, 이 때 특정한 압박 방법이 따로 있다. 이러한 부위의 압박을 가할 때는 극단적인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3] [24]
    • 몸통에 압박을 가할 때는 방법의 변화를 주어야 한다. 첫 단계는 똑같이 상처에 박힌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는다. 가능하다면 일반 붕대를 사용해 감싼다. 하지만 그 위로 천 등을 감싸지 않아 붕대를 고정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부상자의 호흡에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붕대 위로 손을 올리고 충분한 압박을 가할 때는 부상자의 호흡을 곤란하게 만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압박은 15분간 준다. 붕대가 젖거나 감은 붕대 아래로 피가 뚝뚝 떨어지는 등의 지속적인 출혈이 있다면 압박을 계속한다. [25]
    • 전문 의료진 등이 도착하기 전까지 혹은 상처가 완전히 지혈될 때까지 계속 이렇게 압박을 한다.
    • 부상자의 머리를 잘못 압박하면 두개골의 모양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압박하지 않는다. 움푹 들어간 부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뼛조각, 뇌조직의 노출 등이 있는지 살펴본다. 눈 부위의 부상이나 이물질이 명백히 두개골을 뚫은 부상의 경우 절대 압박하지 않는다. 부드럽게 붕대를 감고 부상자를 눕힌 다음 가능한 빨리 응급 구조대의 도움을 청한다. 출혈로 인해 붕대가 젖으면 그 위로 새로운 붕대를 더한다. [26]
    • 머리 부상은 잘 확인하여 압박을 가할 때는 안전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하는 붕대는 일반 붕대 여야 하며 고정이 되지 않더라도 붕대를 제거하지 않는다.
    • 15분간 지혈에 사용된 천 뭉치나 붕대 위로 손을 올려 압박한다. 만약 출혈이 계속된다면 구조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계속해서 압박한다.
    • 머리는 피부 가까이에 있는 혈관이 많아 출혈이 많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가능한 경우 충분한 양의 여분 붕대를 준비하도록 한다. [27]
    • 머리카락 때문에 붕대를 감아 고정하기 힘들며 긴 천으로 감아도 잘 미끄러지게 된다. 그러므로 붕대를 고정하는데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한다.
    • 절대 목 주변을 감지 않도록 한다.
  12. 부상 부위를 심장 보다 높이 두거나 손을 압박하고 압박 붕대의 사용 후에도 지혈이 되지 않는 경우 마지막으로 지혈대를 사용한다. 지혈대는 동맥과 정맥을 매우 단단히 압박하는 것으로 지혈대의 사용 부위는 혈액 순환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며 상처 부위의 출혈을 예방한다. [28] [29]
    • 지혈대는 벨트나 긴 천 등의 물건을 사용한다. 팔다리에만 사용하도록 한다. 지혈대 사용이적합한 부위는 2.5-7cm 가량의 부상으로 조직의 괴사 및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지혈대는 상처보다 심장에 더욱 가까이 사용한다. [30] [31] 천 조직이나 부상자의 옷을 사용해 지혈대 아래 피부를 보호한다. 사용한 지혈대는 제거하지 않는다.
    • 혈류의 흐름을 지연시키기 위해 오랫동안 압박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지혈대는 압박 붕대와 같지 않으며 팔다리를 매우 타이트하게 조여 조직 손상과 국소성 빈혈 등의 위험이 명백하다. 생명의 위협과 팔다리의 손실 위험에 대해 심사숙고 해야 한다. [32]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독사에 물렸을 때 처치하기

PDF 다운로드
  1. 압박을 주어 고정하는 처치법은 뱀에게 물린 부상 부위의 독이 혈액을 타고 몸 속으로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처치를 하며 구조대에게 도움을 요청할 방법을 생각한다. [33]
    • 몇몇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에 의하면, 뱀에게 물린 부위를 압박 하고 팔다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면 독이 혈류로 이동하지 못한다고 하지만 과학적 입증은 되지 않았다. [34]
    • 적어도 세명의 사람들과 함께 독사가 있는 장소로 이동한다. 한 명은 구조대에 전화하거나 도움을 구하며 다른 사람은 부상자를 처치한다.
  2. 부상자가 움직이지 않게 하고 가능한 물린 부위 역시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는 독사의 독이 체내 혈류를 타고 이동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35]
  3. 상처로부터 독이 혈액을 통해 빠져 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혈액이나 림프액이 흐르게 하는 순환계로 독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상처 부위의 출혈은 그대로 둔다.
    • 이렇게 출혈을 통해 독이 빠져나가게 하는 동안 부상당한 팔다리는 심장보다 낮게 위치하게 하여 독이 몸 속으로 흘러 들어오지 않고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4. 가능하다면 신축성이 있는 붕대나 팬티 스타킹과 같이 신축성이 좋은 부드러운 물건을 사용한다. 옷감이나 수건 등을 길게 찢어 즉흥적으로 붕대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36]
  5. 최소한 물린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계속해 올라가며 감고 가능한 만큼 부상 부위 위로 올라가게 감는다. 붕대가 모자랄 때까지 계속 압박 붕대를 감아준다. [37]
    • 다리에 물린 경우 발부터 압박 붕대를 감기 시작하여 무릎 위로 향하게 감는다. 팔에 물렸을 때는 손가락부터 감기 시작해 팔꿈치 위로 올라가게 감는다. 허벅지나 무릎팍 위쪽에 부상을 입은 경우 몸통 쪽에 물린 것으로 보고 처치하도록 한다. [38]
    • 이렇게 부상 부위 위쪽으로 압박 붕대를 감으면 독이 혈관을 타고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많이 불편하지 않아 부상자가 오래 참을 수 있기도 하다. 압박 붕대는 발목의 인대 부상에 감는 것만큼 타이트하게 감도록 한다. [39]
  6.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절 부위까지 부목을 대도록 하며 부목을 제대로 대기 위해 부상자가 팔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40]
    • 나뭇가지, 손잡이가 있는 물건, 신문지를 돌돌 만 것 등과 같이 견고하고 딱딱한 물건을 사용한다. 이것들을 부목으로 대고 그 위로 부드럽고 유연한 것으로 감아 압박을 준다. [41]
  7. 붕대가 너무 조이면 맥박이 뛰지 않으므로, 붕대를 느슨하게 조정한다. 맥박은 정상적이고 강하게 뛸 수 있도록 해야한다.
    • 붕대를 다리에 감았을 때는 발 끝의 맥박을 확인하고 팔에 감았을 때는 손목, 엄지 손가락에 가까운 부분의 맥박을 확인한다.
  8. 독사의 독은 팔다리가 심장보다 위에 위치해 있을 때 혈류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팔다리가 심장 높이보다 아래에 있으면 붓는 증상이 나타난다.
    • 부상자가 등을 대고 바르게 누워 팔을 옆으로 둔다. 이 자세를 유지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9. 몸통에 물린 부상 부위 위로 청 뭉치나 붕대를 대고 손을 사용해 압박한다. 이 때 호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머리나 목에 물렸을 때는 어떠한 응급 조치를 하지 않는다. 즉시 응급 구조대의 도움을 요청하고 부상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42]
  10. 의료 시설에 도착하여 항사독소를 맞기 전에는 압박 붕대를 풀지 않는다. 즉각적인 항사독소 치료를 받으면 독사의 독으로 인한 사망이나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 항사독소는 특정한 독사의 독에 저항력을 가진 항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소나 양 등의 동물에게 독사의 독을 반복 주사해 얻는 것이다. [43]
    • 뱀에 물렸을 때는 민간요법을 믿고 따르지 않는다. 입으로 독을 빨아 내거나 물린 부상 부위를 찢지 않도록 한다. 차갑거나 뜨거운 팩을 올리지 말고 지혈대를 사용하지 않으며 뱀을 죽이거나 잡기 위해 치료를 지연시키지 않는다. [44]
    • 물린 뱀의 종류를 정확히 알 수 없다면 독사로 간주하고 치료한다. [45]
  11. 부상자가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나타나는 증상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옆에서 돕는다. 구급대의 도움을 받아 병원 등 의료 기관에 도착하면 받는 항사독소 치료는 독사의 독을 완전히 치료하고 회복을 돕는 치료법이다. [46] [47]
    • 붓기, 상처 부위 주변의 붉어짐 및 통증, 호흡 곤란, 구토 및 메스꺼움, 흐릿한 시야, 땀과 타액, 얼굴과 팔다리의 무감각, 의식 불명 등의 증상과 증세는 일반적인 것이다. 뱀의 독소 마다 부작용이 달라 경련, 저혈압 그리고 마비 등의 증세 역시 나타날 수 있다. [48]
    광고
  1.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owerpoint/First_Aid_Presentations/put-on-a-field-dressing-p-2.shtml
  2.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owerpoint/First_Aid_Presentations/put-on-a-field-dressing-p-2.shtml
  3. http://www.emedicinehealth.com/wilderness_splinting/article_em.htm
  4.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owerpoint/First_Aid_Presentations/put-on-a-field-dressing-p-2.shtml
  5. http://www.wisegeek.com/what-is-a-pressure-bandage.htm
  6.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rep_For_Basic_Training/Prep_for_basic_first_aid/apply-a-pressure-dressing.shtml
  7.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rep_For_Basic_Training/Prep_for_basic_first_aid/apply-a-pressure-dressing.shtml
  8.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owerpoint/First_Aid_Presentations/put-on-a-field-dressing-p-2.shtml
  9.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rep_For_Basic_Training/Prep_for_basic_first_aid/apply-a-pressure-dressing.shtml
  10.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rep_For_Basic_Training/Prep_for_basic_first_aid/apply-a-pressure-dressing.shtml
  11.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owerpoint/First_Aid_Presentations/put-on-a-field-dressing-p-2.shtml
  12.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rep_For_Basic_Training/Prep_for_basic_first_aid/apply-a-pressure-dressing.shtml
  13.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owerpoint/First_Aid_Presentations/put-on-a-field-dressing-p-2.shtml
  14. http://www.webmd.com/first-aid/tc/how-to-stop-bleeding-from-a-minor-head-wound-topic-overview
  15.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rep_For_Basic_Training/Prep_for_basic_first_aid/apply-a-pressure-dressing.shtml
  16.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rep_For_Basic_Training/Prep_for_basic_first_aid/apply-a-pressure-dressing.shtml
  17. http://www.webmd.com/first-aid/tc/how-to-stop-bleeding-from-a-minor-head-wound-topic-overview
  18. http://www.webmd.com/first-aid/tc/how-to-stop-bleeding-from-a-minor-head-wound-topic-overview
  19. http://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tourniquet
  20.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rep_For_Basic_Training/Prep_for_basic_first_aid/apply-a-pressure-dressing.shtml
  21. http://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tourniquet
  22.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owerpoint/First_Aid_Presentations/put-on-a-field-dressing-p-2.shtml
  23. http://www.armystudyguide.com/content/powerpoint/First_Aid_Presentations/put-on-a-field-dressing-p-2.shtml
  24.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25.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26.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27.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28.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29.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30.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31.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32.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33.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34. http://www.medicinenet.com/script/main/art.asp?articlekey=40547
  35. http://www.healthline.com/health/snake-bites#Types&Symptoms2
  36. https://www.health.qld.gov.au/poisonsinformationcentre/bites_stings/bs_pressure.asp
  37. http://www.medicinenet.com/script/main/art.asp?articlekey=40547
  38. http://www.healthline.com/health/snake-bites# Types&Symptoms2
  39. http://www.healthline.com/health/snake-bites#Types&Symptoms2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64,792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