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염력은 오랜 기간 동안 의심과 조롱에 시달려 왔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직접 눈으로 보지 못한 것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염력이라는 개념은 과학으로 증명하거나 설명할 수는 없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염력이 인간으로서 행사할 수 있는 힘이라고 굳건히 믿고 있다. 만약 당신이 그런 사람들 중 하나라면, 이 글을 통해 염력을 길러보는 것은 어떨까?

파트 1
파트 1 의 3:

준비하기

PDF 다운로드
  1. 염력을 개발하기 위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연습 중 하나는 시각화, 즉 힘을 이미지화하는 것이다. 즉, 자신이나 자기 주변의 물체를 머릿속으로 그려보는 연습인데, 이 연습은 당신에게 특별한 재능이나 능력이 없는 이상 성공적인 결과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그래도 시도해서 나쁠 것은 없지 않은가? 어떤 것을 머릿속으로 떠올리는 것은 명상과도 비슷해, 결과를 마음 속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익숙해져 그 힘을 현실 세계로 끌어내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 먼저 작은 물체부터 시작해 부담을 줄인다. 작은 물체인 경우, 촉감, 냄새, 색깔, 맛까지 다양한 감각을 동원해 최대한 세밀하고 떠올리도록 한다. 익숙해지면 전체적인 배경이나 자기 자신을 포함한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2. 염력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은 다 명상을 하라고 말할 것이다. 명상은 초능력을 개발하는데 있어 가장 중심이 되는 연습이다. 자신의 에너지를 주변의 물체에 채널링시키기 위해서는 당신의 두뇌가 100%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 명상을 통해 잡념을 지우고 다른 물체와 자신을 연결시키는 것 이외의 생각을 하지 않도록 마음을 정리하자. 명상은 염력을 키우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참고로 명상을 할 때는 음악을 듣지 않도록 한다. 음악은 집중을 흐트러뜨린다).
    • 요즘은 멀티태스킹을 하는 것이 하나의 가치있는 재능으로 여겨지고 있다. 우리 생활이 바빠지고 복잡해지면서 해야 할 일들이 쌓이기 시작했는데, 이 때 우리가 취해야 할 태도는 모든 것을 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명상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마음을 떠나보내고 정신적인 기량을 닦아 중심을 세우는 것이다.
  3. 최면술과 마찬가지로, 의심하는 마음, 닫힌 마음으로 염력을 연습하는 것은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한다. 만약 스스로 염력을 쓰지 못한다고 생각하면 당신은 영원히 염력을 쓰지 못할 것이다. 과학과 다른 이들을 무시하라. 당신은 할 수 있다. 못한다고 생각하는 자신을 질책하고 스스로를 믿도록 한다. 물론 아무일도 안 일어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영원히 안 일어난다는 것은 아니다.
    • 염력을 쓰기 위해서는 의심을 버려야 한다. 스스로에 대한 의심을 완전히 버려야 염력을 사용할 가능성이 생기는 것이다. 마음 속을 긍정적인 사고로 가득 채워라. 물론 부정적인 사고도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사고처럼, 부정적인 사고도 쉽게 당신의 생각에 전염될 수 있다. 다시 강조하지만 스스로를 믿어야만 가능하다.
  4. 염력을 쓰기 위해서는 몇 주, 몇 달이 아닌 수년간 지속적으로 연습할 필요가 있다. 연습을 한두 번, 수십 번이 아닌 수백, 수천 번 반복해야 할 수도 있다. 마법적 효과를 지닌 힘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가가 따른다는 점을 기억하자. 언제부터 사용이 가능한지는 아무도 모른다. 개인차가 있으니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도록 하자.
    • 노력에 대한 보상은 실제로 당신이 염력에 눈을 뜨기 전까지는 하나도 없다고 봐야 한다. 기타 연습이나 살빼기는 점진적으로 자신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염력을 연습하는 것은 "언젠가 일어날" 그 날을 위해 아무 보상도 바라지 않고 계속 해야 하는 고생의 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힘을 손에 넣게 되면 값진 경험이었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5. 만약 명상을 정기적으로 한다면 이 단계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휴식을 취하게 되면 모든 잡념을 지우고 몸에 흐르는 힘을 느껴보도록 한다. 속세의 인간 관계, 직장, 학교에 대해서는 모두 잊고 긴장을 푼 채 마음을 가라앉혀라. 이 단계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의 당신과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 생각이 다른 곳으로 튀지 않게 집중하라.
  6. 당신과 물체 속에 흐르는 에너지, 즉, 힘은 같은 종류의 것이다. 두 에너지가 같다고 생각하는 것이 염력의 기본이다. 이 사실을 기억하고 다르게 말하는 자가 있으면 무시하라. 우주의 모든 것은 태초의 폭발에서 시작되었으며 우리 역시 그로부터 탄생했다. 따라서 우리는 모두 우주의 먼지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당신이 보고 만지는 것 모두가 당신과 기원을 같이 한다는 것이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능력 연습하기

PDF 다운로드
  1. 휠을 제대로 돌리는 것이 도전과제이다. 휠 위에 유리잔 또는 컨테이너를 올려 바람에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2. 염력은 단순히 말해 주변의 사물을 움직이는 힘이다. 따라서 당신의 에너지를 주변의 물체와 연결해 이동시키려 한다면 먼저 완전한 집중 상태에 들어가야 할 것이다. 처음에는 일단 가벼운 물체로 시작하도록 하자. 성냥개비나 작은 연필이 좋은 연습용 물체가 될 수 있다. 당신이 조종하는 에너지의 흐름이 당신에게서 멀리 떨어질 수록 물건을 더 쉽게 움직일 수 있다. 나중에는 의자까지도 움직일 수 있을지 모른다!
    • 하루에 두 번, 한 시간씩 연습을 하도록 한다. 먼저 물체에 집중을 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상상을 한다. 다음으로 밀거나 당기는 모습, 그리고 굴리는 모습 등을 머릿속으로 그려보자. 그리고 실제로 물체가 움직였다면 전체가 다 움직였는지, 한 쪽만 움직였는지,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최대한 자세히 관찰하도록 하자.
  3. 싸이볼(psi ball)이라고도 부르는 이 에너지 구는 직접 만지고 조종할 수 있으며, 시간을 들여 복잡한 작업을 하게 만들 수도 있다. 먼저 복부 근처에 양손을 가져다 대고 몸의 중심부에서부터 올라오는 에너지를 느껴보도록 한다. 그리고 양손 사이에 공이 있다고 상상하고 형태를 취해보자. 이제 집중을 하면 에너지 구가 느껴질 것이다. 당신의 에너지 구는 얼마나 큰가? 무슨 색을 띄고 있는가? 에너지가 방사되는 것이 느껴지는가? 일단 에너지 구가 형성되었다면 크기와 형태를 변형시켜보자.
    • 계속 연습을 하다보면 이 에너지 구를 이용해 다른 물체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야구공이 화분을 넘어뜨리는 것과 같이 당신의 에너지 구도 현실 세계의 물체에게 물리력을 행사할 수 있다.
  4. 작은 물체로 연습하는 것 이외에도 불을 이용해 연습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촛불을 켜고 불이 흔들리는 모습을 응시한다. 그리고 마음을 점차 비워나가며, 빈 자리를 불꽃으로 채운다. 불꽃이 움직이는 모습에 집중하면서 당신에게 내재된 에너지를 이용해 움직여보도록 한다. 좌우로 움직이거나 위아래로 당겨본다. 불을 더 밝게 하거나 어둡게 바꿔보는 등 당신의 힘으로 불꽃을 조종하라. 당신이 원하는대로 춤추게 해보아라.
    • 불꽃은 작은 물체보다 더 쉽게 조종할 수 있다. 불꽃이라는 개념이 이미 무게를 지닌 것이 아닌 작은 에너지의 구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당신의 에너지와 쉽게 연결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물체를 움직이기에는 정신 상태가 피곤하다고 느껴진다면 대신 촛불을 이용해 연습하도록 하자.
  5. 여기까지 잘 따라했으면 이미 당신은 하루에 한 시간 이상은 염력 개발에 투자하고 있을 것이다. 당신이 염력을 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 당신에게 통하는 방법과 통하지 않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필요하면 연습 방식을 바꾸도록 한다. 아래 몇 가지 연습법을 적어놓았으니 참고하도록 한다:
  6. 몸에서 영체를 꺼내 주변을 둘러보는 것이 바로 유체이탈이다. 영체를 보통 "영혼"이라고도 하는데 결국 영계를 여행한다는 사실은 같으니 개념은 똑같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유체이탈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깊은 최면 상태에 빠져 "진동"하는 상태로 들어가야 한다. 다음으로는 속세와 관련된 잡념을 모두 없애고 영체를 몸 밖으로 꺼내 주변 세계를 둘러보는 것이다.
    • 유체이탈은 정말로, 매우 어려운 과정이다. 따라서 연습 도중에 안된다고 짜증내지 않도록 하자. 먼저 작은 것부터 시작하라. 처음에는 팔과 다리부터 하나씩 영체를 몸 밖으로 꺼내보도록 한다. 그리고 익숙해졌을 때 영체의 모든 부분, 몸 전체를 밖으로 꺼내 주변을 둘러보거나 다른 방으로 가본다. 실제로 유체이탈을 겪으면 두렵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침착하게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면 어느새 돌아와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7. 피로도가 평균치 이상으로 올라갔을 때 연습을 계속하는 것은 좋지 않다. 하루에 2시간 자고 다음날 시험을 본다고 생각해보라. 핫식스 15캔을 마시면서 버틴다고 생각해보라. 당연하겠지만 건강에 좋지도 않으며 시험 성적도 잘 나오지 않을 것이다. 피곤하면 쉬어라. 건강한 상태의 정신과 육체가 염력 개발에 더 효과적이다!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염력 이해하기

PDF 다운로드
  1. 일단 힘에 대해 알아보자. 힘, 에너지라는 것은 "어떤 일을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너지는 어떤 물체의 상태를 바꾸는 것이다. 우리 몸에는 끊임없이 에너지가 흐르고 있으며, 우리가 움직일 수 있는 것도 이 에너지가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숨쉬거나 단순작업을 할 때도 이 에너지를 쓴다.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는 음식에서 오며 이는 칼로리라고 불린다. 즉, 화학적인 에너지이다. 게다가 우리 근육에서는 이 화학적 에너지를 40%만 사용한다. 이 잠재적인 화학적 에너지는 세포 호흡을 거쳐 근육의 운동에너지로 바뀐다. 하지만 우리가 물리적인 힘을 행사하는 대신, 몸에 저장된 나머지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한다면 염력이 불가능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우리가 육안으로 이 에너지를 볼 수는 없지만 과학적으로 이 에너지가 있다는 사실은 이미 증명되었다.
    •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하면 에너지는 형태만 변할 뿐 새로 만들어지거나 없어질 수 없다. 즉, 전달되거나 다른 형태로 바뀔 수는 있다 는 것이다. 어떤 계와 그 주변의 에너지는 항상 일정하다. 특정 계는 주변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도 있으며, 주변으로 에너지를 방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엔트로피는 변하지 않는다.
      • 염력은 마법이 아니다. 물론 수천년간 잘못 알려져 왔지만 실제로는 몸의 에너지를 몸 밖의 물체로 이동시키는 현상일 뿐이다.
  2. 앞에서 한 번 설명한 바 있지만,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신과 당신이 움직이려는 물체가 하나이며 같은 존재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당신은 당신 몸 속에 흐르는 에너지와 물체의 연결고리를 느끼게 될 것이다. 아래의 두 연습을 통해 연결고리를 느끼는 방법을 배워보도록 하자:
  3. 물체를 밀 것인지, 아니면 당길 것인지, 아예 회전시킬 것인지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한다. 다른 행동은 다른 접근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4. 이 방법에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당연한 것이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사람마다 생각하는 방식이 다른 것과 마찬가지다. 일단 물체를 먼저 느끼고 얼마나 무거운지 느끼도록 한다. 다음에 이 물체를 들 때 어느 정도의 에너지가 필요할지 생각해본다. 그리고 그만큼의 에너지를 물체를 만지지 않은 상태에서 몸 밖으로 꺼내도록 한다.
    • 물체를 움직일 때 지속적인 에너지의 흐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어떤 물체의 상태를 바꾸거나 움직이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에너지를 집중하고 연결고리를 이어줄 필요가 있다. 도중에 멈춘다면 처음 상태로 되돌아갈 것이다. 뉴턴 제1법칙을 생각해보자. 외부에서 힘을 가하지 않으면 물체는 계속해서 원래의 운동 상태를 유지한다(하지만 당신은 염력을 통해 외부에서 힘을 가할 것이다).
    광고

경고

  • 오랜 시간 집중하게 되면 당신의 몸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 때 발생하는 두통은 당신이 정말로 쉬어야 한다는 신호이며, 심각한 것은 아니다.
  • 여태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초능력자는 러시아 주부인 리나 쿨라지나(Nina Kulagina)이다. 그녀는 물체를 공중에 띄울 수는 없었지만, 굴리고 형태를 바꿀 수 있었다. 많은 마술사들은 쿨라지나의 능력을 흉내낼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녀의 "능력"이 진짜인지는 그 누구도 모른다.
광고

필요한 것

  • 연습할 물체:
    • 알루미늄 공 (호일을 동그랗게 말면 된다)
    • 나무바닥에 놓인 작은 유리구슬
    • 작은 물 웅덩이
    • 깃털
    • 과자봉지
    • 저전압 전구
    • 일할 때 쓰는 연필
    • 병뚜껑
    • 종이

출처

  1. Eldra P. Solomon, University of South Florida; Linda R. Berg, St. Petersburg Collage; Diana W. Martin, Rutgers University.
  2. http://forkbend.com/
  3. http://www.psychicexplorers.org/
  4. http://www.parapsychology.org/
  5. http://www.livescience.com/28119-telekinesis.html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22,12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