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인간 관계에 대한 문제는 모든 사람이 겪고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주 인간 관계의 문제를 겪곤 한다. 하지만, 관계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이해하고 함께 해결해 가려고 하면 해결할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4:

문제를 이해하기

PDF 다운로드
  1. 어떤 문제든지 인간 관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한 사람만 관계에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일 수도 있고, 그냥 서로 만나지 않는 것이 문제일 수 있다. 자신이 겪고 있는 문제의 징후나 증상을 찾아 보아야 한다. 다음과 같은 것들을 확인해 보자. [1]
    • 상대방이 자신이 다른 사람이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예를 들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한다든지, 성격을 바꾸기를 요구한다든지, 행동이나 습관을 제어하려 하는 것 등이 있다. 반대도 성립한다. 다시 말해, 다른 사람을 바꾸려고 한다면, 문제의 징후일 수 있다. [2]
    • 비슷한 내용의 말싸움을 계속 하는데, 결론은 나지 않는다. [3]
    • 예전 만큼 또는 원하는 만큼 함께 있지 못한다. [4]
    • 한 사람이 필요한 정보나 자원을 독차지하거나 관계가 평등하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다. [5]
    전문가 팁

    Allen Wagner, MFT, MA

    결혼 & 가정 치료사
    알렌은 LA의 결혼 & 가정 치료사다. 2004년 페퍼다인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를 받았다. 관계 개선 향상에 대해 조언을 해왔으며 Married Roommates를 저술했다.
    Allen Wagner, MFT, MA
    결혼 & 가정 치료사

    바쁜 일상이 종종 관계 문제의 주범이 되곤 합니다. 결혼 가족 전문 테라피스트 엘런 와그너는 말합니다.:"삶을 함께 하기로 시작한 후부터 많은 시간 동안 파트너와 연결되기 힘들다 느낍니다. 가정일, 직장일을 돌봐야 하고 가끔은 아이들도 신경 써야 하죠. 아이들 학교일도 신경 써야하고, 아이들이 입는 옷, 아이들 친구와 만나 놀게 해주는 것, 생일 파티와 그 외 활동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일들 말입니다. 그리고 그 위에는 나와 나의 파트너를 케어하고픈 내가 있고, 여기엔 많은 정리가 필요하죠. 서로에게 긍정적인 응원과 기운을 주면서 함께 꿈꾸고, 계획을 세우고, 미래를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보세요 ."

  2. 관계에 뭔가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이야기를 하자. [6] 문제가 무엇인지 최대한 구체적으로 이야기한다. 또한 절대로 그 이야기를 할 때 화를 내서는 안 된다. 차분한 목소리로, 관계에서 뭔가 잘못되고 있는 것을 이야기해 보자.
    • 예를 들어, "자기, 우리 사이에 대해 조금 이야기를 하고 싶어. 우리 요즘 서로 이야기도 잘 안하고 있고. 어떻게 그것을 고칠지 이야기하자."
    • 정기적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지 이야기하는 것이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데 좋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작은 문제를 큰 문제로 키우지 않기 때문이다. [7]
  3. 문제 때문에 서로를 비난하기 쉽다. "싱크대에 더러운 접시를 남겨 두고 가지 말라고! 짜증난다고!"같은 이야기하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될 것이다. 이것은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것이다. 그 대신에 문제의 유형을 보자.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에서 그릇을 꺼내지 않았을 때, 자주 더러운 접시를 싱크대에 놓더라고. 그러면 더러운 접시가 쌓여서 나중에 씻기 어려워. 도대체 이걸 어떻게 해야 할까?"라고 말해 보자. [8]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4:

좀 더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법 배우기

PDF 다운로드
  1. 작은 일들 때문에 불편하고 그것을 마음에 담아 두면, 안 좋을 때 그것이 폭발할 수 있다. 그런 일이 있을 때마다 대처를 하면 큰 일로 번지지 않을 것이다. [9]
  2. 화가 난 상태이거나 말을 하다가 화가 치밀어 오르면 진정할 시간이 필요하다. 어떻게 자신을 진정시킬 수 있는지 알고 있을 것이다. 잠깐 걷거나, 음악을 듣거나 샤워를 할 수도 있다. 10까지 세거나 숨을 깊게 쉴 수도 있다. 무엇을 하든 대화를 지속하기 전에 몇 분 정도 자신을 진정시키는 시간을 갖자. [10]
    • 경고 신호를 눈치 채자. 말싸움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면 쉬어야 할 시간이다. 그런 순간에는 나중에 후회할 말을 할 수도 있다. 또한 그런 경우에는 말싸움을 끝내야 할 때 그러지 못하고 질질 끌고 갈 가능성도 있다. [11]
  3. 화가 났을 때에는 자신이 받은 피해만 생각한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무슨 일을 겪고 있는지 생각을 해 보면 피해 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공감하려는 태도를 가지면 분노가 가라앉을 것이다. [12]
    • 상대방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들 역시 어떤 감정이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권리가 있기 때문이다. 상대방이 옳다고 생각하든 아니든, 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야 한다. [13]
  4. 상대방이 하는 말을 집중해서 들으면 그들의 감정에 대해 공감할 수 있게 된다. 한 귀로 듣고 다른 귀로 흘려 버리지 말자. 그 사람이 무슨 말을 하는지 생각하고, 의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자. [14]
    • 말하고 있는 것을 요약해 주면 듣고 있다는 것을 상대방에게 보여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니까 당신이 자기 몫보다 많은 집안일을 하고 있어서 화가 난다는 거지?"라고 이야기해 보자.
    • 또 다른 방법은 상대방이 말하고 있는 것과 관련된 질문을 던져 보는 것이다.
  5. 자신의 감정 및 생각을 이야기할 권리도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차분함이다. 또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대해 명확하게 이야기하는 것도 중요하다.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읽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자. [15]
    • 상대방 탓하지 말고 문제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이야기하자. 다시 말해 상대방을 지칭하는 표현("당신", "너" 같은 단어)를 쓰지 말고 나를 지칭하는 표현("나", "저") 등을 많이 쓰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당신은 왜 도대체 청소를 안 하는 건데?"같은 말 대신에 "집이 깨끗하지 않으면 불안해져. 우리 집 청소 일정을 만들어서 집을 조금 깨끗하게 할 수 있을까?"라고 이야기해 보자. [16]
  6. 어떤 관계에서든 중요한 것은 타협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어떤 말싸움에서든 항상 이길 것을 기대해서는 안 된다. 인간 관계에서는 주고 받는 것이 있어야 한다. 타협이란 공통점을 찾고, 서로 약간 양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는 것이다. [17]
    •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자. [18] 서로 필요한 것들을 전부 충족시키려고 노력하고, 원하는 것들을 약간 양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자신에게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결정하고 대화를 시작해야 하며 덜 중요한 부분은 어느 정도 포기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 화장실 청소가 정말 싫은데, 배우자는 집 청소를 좀 더 도와주었으면 한다면, 집안일을 나눌 때 자신이 좀 더 할만한 것을 더 하고 상대방은 상대방이 할만해 하는 것을 더 하는 방향으로 가면 된다.
  7. 말싸움을 할 때, 과거에 있었던 불공평한 일을 꺼내고 싶을 때가 있다. 상대방에 대해 잘 알기 때문에 어떻게 압박할 수 있는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더 화가 날 뿐이다. 관계를 회복 불가능한 수준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 지금 해야 할 일에만 집중하자. [19]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4:

다시 가까이 지내기

PDF 다운로드
  1. 무관심이 문제일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 인간 관계에 익숙해진 나머지 과거 하던대로 노력을 기울이지 않을 수 있다. 문제가 뭔지 알았다면 바꾸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20]
  2. 상대방에게 나쁘게 대하는 것은 인간 관계를 더 많이 망가뜨릴 수 있다. 서로 친절하고 다정하게 대하려고 노력한다면, 다시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21]
  3. 새로운 사람을 사귈 때에는 서로에게 이야기를 하고 상대방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아 간다. 싫어하는 것, 좋아하는 것, 무서워하는 것, 흥미를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관계가 지속되면 이런 대화를 잘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매일 시간을 들여 대화하는 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둘만 있는 시간을 만들고 함께 시간을 보낼 때, 서로에 대해 더욱 깊이 알아가도록 하자. [22]
  4. 다시 가까이 지내는 좋은 방법은 데이트 일정을 잡는 것이다. 함께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시간을 보낼 계획을 세우자. 또한 그 사람과만 보낼 특별한 시간을 따로 마련하자. [23]
  5. 스킨십은 인간 관계에서 중요하다. 꼭 잠자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키스, 손 잡기, 상대방의 팔 잡기, 껴안기 같은 친밀함을 나타내는 행위는 중요하다. 상대방과의 스킨십을 통해 좀 더 가까워질 수 있다. [24]
    광고
파트 4
파트 4 의 4:

앞으로 나아가기

PDF 다운로드
  1. 함께 문제가 무엇인지 생각을 해 보았다면, 해결책도 함께 이야기해 보자. 서로 만족스러워할 해결책은 무엇일까? 다시 말하면, 공통점을 찾아야 한다. [25]
    • 합의한 곳부터 시작하자. 적어도 문제가 무엇인지 정도는 또는 해결책의 첫 단계에 대해서는 합의가 되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서로 멀어진 느낌을 받는다는 것에 동의를 했다면, 거기에서 좀 더 나아가 시간을 같이 보내기로 함께 결정했을 수도 있다. [26]
  2. 해결책에 동의했다면, 좀 더 구체적인 것들을 만들어내야 한다. 예를 들어,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했다면, 매주 한 번 정도는 데이트를 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27]
  3. 모든 사람은 상황에 다르게 대응한다. 다시 말해 모든 사람들은 각자 자신에게 맞는 감정적으로 필요한 것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원하는 것이 힘든 시간 후에 좀 더 함께 있어 주는 것일 수 있다. 그렇다면 함께 더 있어 주자. [28]
  4. 상대방에게 화를 내야 할 것 같다면, 자신의 감정을 우선 살피자. 화내기 보다는 어떤 기분이 들었고 왜 그랬는지 이야기를 하자.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거나 느끼는지 추측할 수 없기 때문에 꾸준히 상대방과 대화하는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29]
    • 예를 들어, 배우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식당에서 저녁 식사를 하기 원하는데 돈이 없다면, 그것 때문에 화를 낼 수 있다. 그 대신, "지금 돈이 별로 없는데 월급날까지 많이 남았잖아. 그래서 돈 쓰는 것이 걱정이 돼. 거기 가지 말고 다른 곳에 갈 수는 없을까?"
  5. 인간 관계에만 시간을 쏟고 싶을 수 있지만, 자신의 관심사에도 꾸준히 시간을 써야 한다. 좀 더 자신다워질수록 인간 관계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진다. 따라서 함께 보내지 않는 시간도 중요하다. [30]
  6. 상대방이 함께 받고 싶어하지 않더라도 상담 받는 것은 인간 관계에 도움이 많이 된다. 자신을 바꾸고 상대방을 대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함께 하고 싶어 한다면 그것도 좋다. [31]
    광고

경고

  • 서로 상처만 주는 관계라면 끝내는 것이 좋다. 상대방이 신체적 피해를 주거나 계속 자신을 못살게 군다면, 그 관계는 고치려고 하지 말자.


광고
  1. http://psychcentral.com/blog/archives/2009/04/14/9-steps-to-better-communication-today/?all=1
  2. https://www.psychologytoday.com/articles/200604/how-fight-and-how-not
  3.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the-mindful-self-express/201304/four-steps-relationship-repair-the-h-e-l-technique
  4. http://www.cmhc.utexas.edu/vav/vav_healthyrelationships.html
  5. http://psychcentral.com/blog/archives/2009/04/14/9-steps-to-better-communication-today/
  6. http://strongermarriage.org/files/uploads/Married/FY04400.pdf
  7. http://strongermarriage.org/files/uploads/Married/FY04400.pdf
  8. http://strongermarriage.org/files/uploads/Married/FY04700.pdf
  9. http://www.cmhc.utexas.edu/vav/vav_healthyrelationships.html
  10. http://psychcentral.com/blog/archives/2009/04/14/9-steps-to-better-communication-today/?all=1
  11.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tech-support/201410/6-steps-repairing-your-relationship
  12. http://www.healthymarriageinfo.org/couples/resources-for-couples/download.aspx?id=280
  13.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tech-support/201410/6-steps-repairing-your-relationship
  14. http://www.healthymarriageinfo.org/couples/resources-for-couples/download.aspx?id=280
  15.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tech-support/201410/6-steps-repairing-your-relationship
  16. http://strongermarriage.org/files/uploads/Married/FY04700.pdf
  17. http://strongermarriage.org/files/uploads/Married/FY04700.pdf
  18. http://strongermarriage.org/files/uploads/Married/FY04700.pdf
  19. http://www.cmhc.utexas.edu/vav/vav_healthyrelationships.html
  20. http://www.healthymarriageinfo.org/couples/resources-for-couples/download.aspx?id=280
  21. http://www.healthymarriageinfo.org/couples/resources-for-couples/download.aspx?id=280
  22. http://divorce.usu.edu/files/uploads/ShouldIKeepTryingtoWorkItOut.pdf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7,537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