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자스민은 집 안이나 정원을 더욱 아름답게 해준다. 꽃을 피울 때는 섬세하고, 향긋한 꽃봉오리를 맺는다. 자스민은 건강한 화초로부터 꺾꽂이를 하면 쉽게 키울 수 있다. 먼저 기존의 자스민 나무에서 가지를 자른 다음 뿌리를 내리도록 관리해야 한다. 그 다음에 꺾꽂이를 심어 키울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4:

자스민 줄기 자르기

PDF 다운로드
  1. 녹색에 싹이 트고 있는 줄기를 찾아보자. 줄기가 유연해야 한다. [1]
    • 한 나무에서 꺾꽂이를 한 개 이상 해도 된다. 나무의 1/3을 넘지만 않으면 된다.
    • 자스민 줄기를 여러 개 꺾꽂이하면 성공적으로 키울 확률이 높아진다.
  2. 잎 바로 아래에서 자르는 게 가장 좋다. 잎이 있는 마디 바로 아래를 자르면 줄기에서 건강한 뿌리를 내릴 가능성이 커진다. [2]
    • 마디는 줄기에서 잎이 나오는 지점이다.
    • 자를 때는 잘 드는 칼이나 일반 가위를 사용해도 된다.
  3. 영양토에 심었을 때 흙 속으로 들어가는 잎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줄기 윗부분에는 잎이 남아 있어야 꺾꽂이에서 뿌리를 내릴 가능성이 커진다. [3]
    • 줄기 아랫부분에 대부분의 잎을 제거하면서 위에는 몇 개의 잎을 남겨 놓는다.
    • 잎은 잘라내거나 손으로 따면 된다.
    • 대부분의 잎을 제거하면 뿌리와 잎이 균형있게 성장할 수 있다.
  4. 이렇게 하면 줄기가 보다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꽃은 자연적으로 씨를 맺으려 하고 그 과정에서 식물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시들은 꽃은 곰팡이가 생기고 줄기 전체를 손상시킬 수 있다. [4]
    • 꽃은 잘라내거나 손으로 따면 된다.
    • 꺾꽂이 할 때는 꽃이 활짝 핀 줄기는 피하자. 꽃을 잘라낸다고 해도 여전히 그 줄기는 꽃을 피우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4:

뿌리성장 촉진하기

PDF 다운로드
  1. 화분을 혼합된 비옥한 영양토로 채운다. 뿌리가 자라면 옮겨 심을 것이기 때문에 한 화분에 꺾꽂이를 여러 개 해도 된다. [5]
    • 15-20cm 정도의 작은 화분이면 충분하다.
    • 배수구멍이 있는 화분을 사용하자.
  2. 아직 줄기에서 뿌리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흙에 심은 다음에 물을 주면 안되며 미리 흙을 적셔놓아야 한다. [6]
    • 흙 위로 물을 부어 화분 바닥의 배수구멍으로 물이 빠져나가게 하면 된다.
  3. 줄기의 1/3이 흙 속으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연필을 꽂아 구멍을 만든다. 구멍은 줄기가 흙에 쓸리지 않을 만큼 충분히 넓어야 한다.
  4. 줄기 끝 부분을 뿌리배양 호르몬에 빠르게 살짝 담갔다가 뺀다. 담가둘 필요는 없다. [8]
    • 뿌리배양 호르몬은 분말과 젤 형태로 나온다.
    • 뿌리배양 호르몬은 뿌리의 빠르고 튼튼한 성장을 돕는다.
    • 줄기를 담그기 전에 뿌리배양 호르몬을 깨끗한 용기에 붓고 사용 후에는 버린다. 뿌리배양 호르몬이 포장에 담겨 있는 상태에서 줄기를 담그면 제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9]
  5. 뿌리배양 호르몬이 쓸려나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연필로 만든 구멍에 심는다. 줄기 주변을 흙으로 덮어 고정시킬 때까지 줄기를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한다. [10]
  6. 줄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흙을 줄기 쪽으로 밀어준다. 이 과정이 끝나면 화분 윗부분의 흙이 줄기를 단단히 잡아 줄 수 있어야 한다. [11]
  7. 백을 비틀어 잠근다. 이렇게 하면 꺾꽂이에 뿌리가 자라는 동안 수분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비닐백이 자스민 줄기에 직접 닿으면 안된다.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
    • 물을 줄 때는 잠근 비닐백을 열 수 있다. 물을 준 다음에 공기를 채우고 다시 잠근다.
  8. 햇볕이 잘 드는 창틀이 좋다. 자스민이 성장하려면 많은 햇볕이 필요하다. 자스민은 매일 6-8시간 동안 햇볕을 받아야 한다. [13]
    • 꺽꽂이는 실내에 두는 게 가장 좋다.
  9. 뿌리가 형성되면 꺾꽂이를 새로운 화분으로 옮겨 심을 수 있다.
    • 6주가 지난 후에도 뿌리가 나오지 않는다면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새로운 줄기를 잘라 다시 시작해야 한다.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4:

꺾꽂이 옮겨심기

PDF 다운로드
  1. 적절하게 햇볕을 받을 수만 있다면 자스민은 실내나 실외 어디에나 놓을 수 있는 화분에 심는 게 가장 좋다. [14]
  2. 화분 중앙에 자스민을 꽂을 자리를 남긴다. 뿌리를 배양할 때와 마찬가지로 줄기의 아랫부분이 흙 속으로 들어가게 심어야 한다. [16]
    • 영양토는 원예점이나 온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다.
  3. 뿌리를 배양할 때 흙 속에 묻혔던 부분을 다시 묻으면 된다. 자스민을 잘 받쳐줄 수 있도록 주변 흙을 가볍게 토닥토닥 눌러준다. [17]
    • 심을 때 잎이 흙 속으로 들어가면 안된다.
  4. 흙의 수분을 유지하려면 충분한 물을 주어야 한다. 초과된 물은 뿌리에서 흘러나가 화분 밑바닥의 배수구멍으로 빠져나간다. [18]
    • 흙을 만졌을 때 마른 느낌이 들면 자스민에 물을 줄 때가 됐다는 뜻이다.
  5. 자스민은 특히 봄과 여름에 햇볕을 충분히 받아야 잘 자란다. 하루 중 서로 다른 시간에 햇빛이 어떻게 비추는지 관찰함으로 자스민을 놓으려는 자리에 햇빛이 충분히 드는지 확인하자.
    • 겨울철은 휴면기간이기 때문에 자스민이 햇볕을 덜 받아도 괜찮다. [19]
    • 연속해서 6시간 동안 햇볕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오전에 3시간, 오후에 3시간으로 나눠서 햇볕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광고
파트 4
파트 4 의 4:

자스민 관리하기

PDF 다운로드
  1. 자스민은 여름철에 충분한 햇볕을 받아야 잘 자라지만 햇볕으로 인해 건조하게 될 수 있다. 자스민에 매일 아침 물을 주어 흙이 수분을 유지하게 해야 한다. [20]
    • 아침에 물을 주어야 초과된 물이 하루 종일 증발할 수 있다.
    • 물을 주기 전까지 흙이 마르는 게 가장 좋다. 손가락으로 만져보면 흙이 말랐는지 확인할 수 있다. 흙이 마르면 느슨해진다. 매일 흙이 마르지 않으면 물 주는 횟수를 이틀에 한 번 또는 한 주에 두 번 정도로 줄여보자. [21]
  2. 휴면기간에는 자스민이 마르게 놔둬도 괜찮다. 겨울에는 햇빛과 열을 적게 받기 때문에 물을 줄여야 한다. [22]
  3. 취향에 따라 액상 또는 입상을 사용하면 된다. 토마토 비료, 해초 비료, 또는 나무 재 등이 좋다. [23]
    • 비료는 원예점이나 온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다.
  4. 자스민은 뿌리썩음 병에 잘 걸린다. [24] 뿌리썩음 병의 초기 징조에는 성장부진, 시들어가는 잎, 검고 흐늘거리는 뿌리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징후가 보이면 뿌리썩음 병에 걸렸다고 볼 수 있다. 이 병은 살진균제로 치료가 가능하다. [25]
    • 식물 살진균제는 원예점이나 온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다.
    • 뿌리썩음 병을 예방하려면 물을 지나치게 많이 주지 말자.
  5. 님 오일, 원예 오일, 또는 살충 비누를 매주 뿌리는 게 가장 좋다. 자스민은 식물을 갉아먹는 벚나무깍지 벌레에 취약하다. [26]
    • 실외에서 키우는 자스민에 벚나무깍지 벌레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당벌레와 거미의 개체 수를 늘리는 것이다.
    • 자스민에서 벚나무깍지 벌레를 발견했을 때 벌레를 죽이는 70%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직접 벌레에 바르면 된다. [27]
  6. 이 시기는 꽃을 피운 직후이다. 이 때 원하는 모양으로 자스민을 다듬어주면서 약하거나 교차된 가지를 잘라낸다. [28]
    • 한 번에 식물의 1/3에 해당하는 가지를 쳐내면 안된다.
    • 자연 그대로의 모양을 선호한다면 굳이 가지를 칠 필요 없다.
  7. 원하는 모양으로 자스민을 다음어주면 된다. 이 때 가늘거나 약한 가지와 교차된 가지들을 제거한다. [29]
    • 한 번에 식물의 1/3에 해당하는 가지를 쳐내면 안된다.
    광고

  • 자스민은 실외 화분에서 가장 잘 자란다.
  • 자스민은 감각적인 향으로 인기가 있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3,958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