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주식을 매입하는 것은 기업의 일부를 매입하는 것과 같다. 20년 전에는 주식 매입이 주로 주식 중개인의 조언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요즘에는 컴퓨터만 있으면 증권 회사를 통해 주식을 사거나 팔 수 있다. 주식을 매입하는 게 처음이라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약간의 지식만 있으면 주식을 사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3:

투자 계획 세우기

PDF 다운로드
  1. 주식 투자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시간을 갖고 생각해 본다.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비상금을 만들기 위해서, 주택을 구매하기 위해서, 또는 대학 등록금을 내기 위해서 주식 투자를 하는 것인가 아니면 은퇴를 대비해 투자를 하는 것인가 생각해 본다.
    • 주식 투자 동기에 대해 적어 본다. 목표 달성에 얼마가 필요할지 생각해 본 후 이를 금액으로 적어본다.
    • 예를 들어 주택을 구매하는 데에는 계약금과 4,000만 원에 달하는 클로징 비용(closing cost-입주에 필요한 비용)이 필요할 수 있다. 은퇴자금으로는 10억 원이나 그 이상이 필요할 수도 있다.
    • 사람들 대부분은 한 가지 이상의 투자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목표는 중요도와 시간별로 다양하다. 예를 들면, 3년 후에는 집을 마련하고 15년 후에는 자녀의 학자금을 지불하고 35년 후에는 은퇴 할 계획이 있을 것이다. 투자 목표를 문서로 작성하면 생각이 정리되어 목표 집중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투자 목표의 기간을 설정하고 그 기간 동안 투자금을 유지한다. 투자 기간이 길수록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가능성도 커진다.
    • 3년 후에 집을 구매하는 것이 목표라면 그 목표의 기간, 즉 “투자 수평선”은 비교적 짧을 것이다. 반면, 지금부터 30년 후에 있을 퇴직에 대비해 투자하는 것이라면 투자 수평선은 훨씬 길다.
    • S&P 500은 가장 널리 보유되는 주식 500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S&P 500이 1926년~2011년 사이 10년 간 전체적으로 손실을 본 때는 단 4번뿐이었다. 15년 이상의 보유 기간 동안에는 손실이 전혀 없었다. [1] 따라서 S&P 500 주식을 구매해 장기간 보유했다면 분명 수익을 올렸을 것이다.
    •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S&P 500의 주식을 1년 동안 보유했을 경우, 1926년~2014년 동안 85년 간 보유했을 때보다 24배나 많은 손실을 입었을 것이다. [2] 주식은 단기적으로는 매우 변동이 심하다. [3] 그 때문에 단기 투자는 장기 투자보다 훨씬 더 위험하다. 투자를 잘 하면 소득을 올리고 투자를 잘 못 하면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
  3.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른다. 투자금을 일부 또는 모두 잃을 가능성은 항상 있기 마련이다. 주식도 마찬가지이다. 투자에 대한 수익뿐만 아니라 투자 원금 또한 보장되지 않는다. 위험을 얼마나 감내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위험 감내 수준”이다. [4]
    • 투자에 앞서 “일이 잘 안 풀릴 경우 얼마까지 잃을 수 있는가”에 대해 자문해 본다.
    • 대부분의 경우, 위험이 클수록 얻을 수 있는 수익도 크지만 손해를 입을 가능성은 더 크다.
    • 예를 들면, 한 달 사이에 두 배로 가격이 오를 거라 예상하는 주식은 10년 안에 두 배로 오를 거라 예상되는 주식보다 위험성이 더 크다.
    • 불면증이 생길 만큼의 가치 있는 투자란 없다. 투자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불안해지게 만드는 투자라면 목표를 검토한 뒤 목표 기간이나 목표 자체를 조정한다.
    • 예를 들면, 3년 후 2억 5천만 원의 주택을 구매하는데 4천만 원의 계약금을 마련하기 위해 돈을 충분히 모으는 것이 목표라고 생각해 보자. 목표를 3년 후 2억 원의 주택에 대해 3천만 원 계약금으로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니면 기간을 더 늘리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5년 후 2억 5천만 원의 주택에 4천만 원 계약금이 훨씬 더 이루기 쉬운 목표일 수 있다. 혹은 목표 수치는 낮추고 기간을 더 늘리는 것도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
    • 투자의 첫 번째 규칙 중 하나는 가능하면 손해를 피하는 것이다. 목표 달성에 필요치 않은 투자 위험은 피하도록 한다.
  4. 인터넷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투자금 계산기나 은퇴자금 계산기를 이용한다. [5] 반드시 벌어 들어야 할 수익률과 목표 달성에 필요한 투자액을 계산한다.
    • 예를 들면, 3년 후에 3천만 원이 필요한데 매달 50만 원만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해 보자. 3천만 원 목표를 달성하려면 3년 동안 매해 투자액에 대해 자그마치 38.2%의 수익률이 필요할 것이다. 이 말은 엄청난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그러한 투자가 현명하지 못한 결정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 조금 더 현명한 선택은 기간을 4년 반으로 늘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훨씬 더 현실적이고 안전한 4.8%라는 수익률이 필요하게 된다.
    • 월 투자액을 50만 원에서 77만 5천 원으로 늘리는 방법도 있다. 이렇게 하면 5.037%라는 현실적인 수익률로 3천만 원을 모을 수 있다.
    • 매달 50만 원씩 투자액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3년 후 목표액을 3천만 원에서 19,621,000원으로 낮출 수도 있다. 19,621,000원을 모으려면 연 6%의 수익만 내면 된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투자 상품 선택하기

PDF 다운로드
  1. 그런 뒤 어떤 투자가 가장 적합한지 선택한다. 첫 번째로 가장 중요한 단계는 여러 종류의 투자 상품을 파악하는 것이다.
    • 특정 기업의 주식을 살 수 있다. 개별 기업의 주식을 산다는 것은 그 기업의 소유주가 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매입한 주식의 수익은 다른 기업 소유주의 수익과도 같다. [6] 그 기업의 매출, 수익,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면 기업의 가치도 보통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나 장기간에 걸쳐 더더욱 그렇다.
    • 단기적으로 기업의 시장 가격은 기업의 미래에 대해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느냐에 달려있다. 감정, 소문, 인식으로 인해 기업 가치에 변화가 생긴다. [7]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하는 가격에 따라 수익 발생 여부가 결정된다.
    • 뮤추얼 펀드에 투자할 수도 있다. 뮤추얼 펀드를 통해 다양한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단기적으로는 위험 요소를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수익률도 낮아진다. [8]
    • 최근에는 상장지수펀드가 인기를 끌었다. 많은 사람들은 이 펀드를 “지수연동펀드”라고 부른다. 상장지수펀드는 뮤추얼 펀드와 같다. 기본적으로 전문가의 관리가 필요 없는 주식들로 이루어져있다. 대부분 S&P 500, 뱅가드 토털 스톡 마켓(Vanguard Total Stock Market), 아이쉐어 러셀 2000(iShares Russell 2000)과 같은 지수의 가격 변동과 연동된다. [9]
    • 개별 주식과 마찬가지로 상장지수펀드도 주식 시장에서 거래된다. 상장지수펀드 가치는 하루 사이에도 바뀔 수 있다. [10]
    • 특정 업종, 선물, 채권, 환율만을 주시하는 상장지수펀드도 있다.
    • 지수연동펀드의 장점 중 하나는 다양한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지수연동펀드란 지수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11] 수수료가 아예 없거나 매우 미미한 지수연동펀드도 있다. 이 덕분에 투자할 만한 대상이 된다. [12]
  2. 많은 사람들이 각기 다른 주식 정보나 시장의 전반적인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금융 소식에 의지한다. 이러한 정보를 십분 활용하려면 몇 가지 핵심 용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주당 순이익: 기업 순이익의 일부로 기업 주주들에게 배당된다. 주식 배당금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용어이다. [13]
    • 시가총액("시총"): 기업 주식의 총 가치를 뜻하는 용어로써 기업의 전체 가치를 나타낸다. [14]
    • 자기자본이익률: 주주들이 투자하는 금액 대비 기업이 창출하는 이익을 뜻한다. 이 개념은 동일 업종에서 어느 기업이 가장 많은 수익을 창출하는지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15]
    • 베타 지수: 전체 시장 대비 주식의 변동성을 측정한 값이다. 위험 요소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수이다. [16] 대략 베타 지수가 1 미만이라면 이는 주식 변동률이 낮다는 뜻이고 1 이상이라면 변동률이 높다는 뜻이다.
    • 이동평균: 특정 기간 동안 기업의 주식 한 주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현재 주식 가격이 거래하기 좋은지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17]
  3. 주식을 분석하는 일은 특히나 초보자들에게 있어 시간 소요가 많고 혼란스러운 작업이다. 따라서 주식 분석가들의 주식 조사 내용을 이용한다. 대개, 분석가는 기업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특정 기업들을 주시한다.
    • 기업 분석 자료에 대한 개요를 무료로 제공하는 유명한 사이트들이 있다. [18] [19]
    • 분석가들은 종종 특정 주식에 대해 한 두 마디의 형태로 조언을 하는 경우가 많다. 즉 “매매”, “매도”, “보류”와 같이 이해하기 쉬운 단어들도 있고 “업종 평균하회”와 같이 금방 이해하기가 어려운 용어들도 있다. [20]
    • 분석 업체에 따라 각기 다른 용어로 조언한다. 금융 웹사이트들이 각 분석 회사별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가이드를 제공해서 설명해 주고 있다. [21]
  4. 정보를 수집했으면 이제는 투자 전략에 대해 고민해 볼 차례이다. 투자자들마다 각기 다른 투자 전략을 세우는데 몇 가지 고려해 볼 요소가 있다.
    • 투자를 다양하게 한다. 다양화란 투자금을 각기 다른 투자처로 투자하는 정도를 뜻한다. 소수의 기업에 돈을 모두 투자할 경우, 그 기업들의 성과가 좋으면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지만 대신 훨씬 더 많은 위험이 따른다. [22] 투자를 다양하게 할수록 위험 요소도 낮아진다.
    • 복리 효과. 거둔 수익을 꾸준히 재투자해서 얻는 결과이다. 수익을 재투자하게 되면 처음 수익에 대해 더 많은 소득을 창출할 수 있다. [23] .이러한 복리 효과를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회사들이 있다. [24]
    • 투자 대 거래. 투자란 장기적인 수익률에 기반해 돈을 버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장기적인 전략이다. 가격이 오르락 내리락 하지만 분명 장기적으로는 오른다. 거래는 훨씬 더 적극적인 과정이다. 단기간에 가격이 오를 주식을 고른 뒤 재빨리 파는 과정이다. [25] ”낮을 때 사고 높을 때 파는” 이러한 전략은 큰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더 큰 위험 요소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주식 거래 업체들은 기업의 역대 가격 변동을 분석하여 그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감정을 측정한다. 이들의 목표는 가격이 오르기 시작할 때 주식을 사고 가격이 떨어지기 전에 파는 것이다. 단기 매매는 위험이 커서 초보 투자자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26]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주식 처음 매입하기

PDF 다운로드
  1. 주식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은 많으며 모든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다. 주식을 사본 경험이 적거나 아예 없다면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회사를 고려해 본다.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 회사들은 수수료가 비싸지만 대신 전문적인 조언을 제공해준다. [27]
    • 예를 들면 증권회사는 주식 매입 과정에 대해 종합적으로 안내해 준다. 또한 늘 질문에 대해 대답해 줄 수 있다. “내 위험 감내 수준에 맞는 주식을 추천해 줄 수 있는가?” 라든가 “내가 사고 싶은 주식에 대한 조사 자료가 있는가?”라는 질문을 증권 회사에 할 수 있다.
    •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 회사들이 많으므로 추천 받을 수 있는 회사가 있는지 주변에 물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나 가족이 장기간 신뢰하거나 이용한 증권 회사가 있을 것이다. 아니면 규모가 큰 유명 증권회사를 스스로 찾아 볼 수도 있다. 에드워드 존스, 메릴 린치, 모건 스탠리, 레이몬드 제임스, UBS 같은 회사들이 대표적이다.
    •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 회사를 이용할 경우 수수료가 비싸다는 점을 명심한다. 수수료란 주식을 사고 팔 때 지불해야 하는 요금이다. [28]
    • 예를 들면, 디즈니 주식을 500만 원어치 샀을 경우 증권회사는 거래 수수료로15만 원을 부과할 것이다.
  2. 주식 거래 시 비싼 수수료를 내고 싶지 않다면 수수료가 저렴한 증권 회사나 온라인 증권 회사를 이용한다. [29]
    • 수수료가 저렴한 증권회사들의 단점은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회사와 달리 주식에 대한 조언을 얻을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수수료를 적게 내고 온라인으로 주식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0]
    • 찰스 슈왑, TD 어메리트레이드,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E*트레이드 등이 수수료가 싼 유명 회사들이다.
  3. 투자자들은 자신이 선택한 기업에게서 주식을 직접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직접주식매입(DIP)과 자동재투자매입(DRIP)이 있다. [31]
    • 위의 두 방법을 통해 증권 회사의 도움 없이 주식을 매입할 수 있다.
    • 두 방법은 정기적으로 소액을 투자하여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저렴하고도 쉬운 방법이다. 그러나 모든 기업이 이러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 예를 들면, 존이라는 사람이 재동재투자매입 프로그램에 가입하여 2주마다 코라콜라 일반주에 5만 원씩 투자하기로 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렇게 되면 연말에 수수료 없이 120만 원을 코카콜라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
    • 직접주식매입과 자동재투자매입을 통한 투자의 단점은 서류 작성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여러 기업에 투자를 할 경우 각 기업 별로 서류를 작성하고 명세서를 검토해야 한다.
    • 예를 들면, 20개의 자동재투자매입이나 직접주식매입으로 투자할 경우 분기별로 20개의 명세서를 받게 된다. 하지만 2주 마다 100만 원씩 투자한다고 가정할 경우, 많은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다.
  4. 어떤 투자를 선택하든 상관없이 다음에 할 일은 계좌를 개설하는 것이다. 신청서를 작성한 뒤 돈을 예치해야 한다. [32] 주식 매입을 위해 어떤 계좌를 선택했는지에 따라 세부 사항이 달라진다.
    •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 회사를 이용할 경우, 개인적인 금융 정보를 공개해도 안심이 되는 직원을 선택한다. 가능하면 직접 대면해야 원하는 바와 목표를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직원에게 정보를 더 많이 제공 할수록 직원이 원하는 바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수수료가 저렴한 증권 회사를 이용할 경우, 온라인으로 서류 작성을 해야 한다. [33] 서명이 필요한 서류를 우편으로 발송해야 하며 첫 거래 금액에 따라 예금을 예치해야 한다.
    • 직접주식매입이나 자동재투자매입을 통해 투자를 할 경우, 주식을 처음 매입하기에 앞서 온라인 상의 문서나 실물 문서를 작성해야 한다. 또한 거래에 앞서 예금을 예치해야 한다.
  5. 일단 계좌를 개설하고 나면 첫 매입은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그러나 앞서도 언급했듯이, 매입하는 방법에 따라 세부 사항이 달라진다.
    •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 회사의 경우, 직원에게 전화를 걸면 직원이 알아서 주식을 매입해 줄 것이다. 계좌를 이미 신설했으니 직원에게 계좌 번호를 알려주면 된다. 직원은 계좌의 당사자임을 확인한 후 주문을 시스템에 입력하기 전에 주문 내용을 확인 받을 것이다. 직원도 사람이므로 주문할 때 실수할 수 있으니 주의 깊게 들어야 한다.
    • 수수료가 저렴한 증권 회사를 이용할 경우, 주식 거래는 온라인 상에서 일어날 것이다. [34] 온라인 상에서 거래할 때 설명대로 했는지 주의한다. 투자하려는 금액과 주식 가격을 혼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45,000원으로 거래되는 주식에 500만 원을 투자하고 싶다면 주식 수량에 500주라고 주문을 넣어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되면 500만원이 아닌 2,250만 원을 지불하게 될 것이다.
    • 자동재투자매입이나 직접주식매입을 이용한다면 기업 웹사이트에서 등록 서류를 찾을 수 있다. 못 찾을 경우에는 기업 주주 담당 부서로 전화해서 서류를 보내달라고 요청한다.
  6. 주식과 주식 시장은 전체적으로 변동이 심하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격은 특히 단기적으로 오르락 내리락 한다. 매입한 주식 중 하나가 계속 성과가 좋지 않다면 주식 자산 구성에 변화를 고려해 볼 때이다.
    • 주식 가격은 사람의 감정을 반영한다.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소문, 잘못된 정보, 기대감, 우려 등이 주식 가격에 반영된다. [35] 투자 기간을 1년이나 그 이상으로 계획했다면 주식 가격의 변동을 매일 또는 매주 지켜보는 것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너무 주의 깊게 지켜볼 경우 충동적인 결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니 주식의 추이를 장기적으로 지켜본다.
    • 이와 동시에 주식을 매입한 기업 중 하나가 잘못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예를 들면, 기업이 큰 소송에서 지거나 시장에 새로 진출한 신생 기업과 경쟁해야 한다면 주식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식 매도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광고

  • 주식과 주식 시장에 대해 도움이 되는 책, 잡지, 웹사이트가 많다. 주식을 매입하기 전에 직접 조사해 보는 것도 좋은 생각이다.
  • 주식을 매입하기에 앞서 한동안 모의 거래를 시도해 볼 수 있다. 이는 시뮬레이션 주식 거래이다. 거래를 하게 되면 주식 가격을 예의 주시하고 주식 매입과 매도 결정을 기록해 놓는다. 투자 결정이 성과를 낼 수 있었을 지 확인한다. 주식 시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게 되어 안심이 되면 실제로 주식을 거래해 본다. [36]
광고

경고

  • 투자는 모두 위험이 따른다. 손실을 감수할 수 없을 정도로 투자를 해서는 안된다.



광고
  1. http://www.investopedia.com/terms/e/etf.asp
  2. http://www.investopedia.com/terms/e/etf.asp
  3. http://www.investopedia.com/terms/e/etf.asp
  4. http://www.investopedia.com/terms/e/eps.asp
  5. http://www.investopedia.com/ask/answers/133.asp
  6. http://www.investopedia.com/terms/r/returnonequity.asp
  7. http://www.investopedia.com/terms/b/beta.asp
  8. http://www.timothysykes.com/2013/06/trading-terms-you-need-to-know/
  9. http://finance.yahoo.com/
  10. http://www.nasdaq.com/quotes/
  11. https://secure.marketwatch.com/tools/guide.asp
  12. https://secure.marketwatch.com/tools/guide.asp
  13. http://www.investopedia.com/terms/d/diversification.asp
  14. http://www.investopedia.com/terms/c/compounding.asp
  15. http://www.investopedia.com/terms/d/dividendreinvestmentplan.asp
  16. http://www.updown.com/education/article/Investing-vs.-Trading
  17. http://investingwell.com/investing-basics/day-trading-not-for-the-beginner-investor/
  18. http://www.kiplinger.com/article/investing/T038-C000-S002-should-i-use-a-discount-broker-or-a-full-service-b.html
  19. http://www.kiplinger.com/article/investing/T038-C000-S002-should-i-use-a-discount-broker-or-a-full-service-b.html
  20. http://www.kiplinger.com/article/investing/T038-C000-S002-should-i-use-a-discount-broker-or-a-full-service-b.html
  21. http://www.kiplinger.com/article/investing/T038-C000-S002-should-i-use-a-discount-broker-or-a-full-service-b.html
  22. http://www2.thestockmarketwatch.com/learn-stock-market/stocks-basics-buying-stocks/
  23. http://www.thestreet.com/story/10356979/3/getting-started-how-to-open-a-brokerage-account.html
  24. http://www.thestreet.com/story/10356979/3/getting-started-how-to-open-a-brokerage-account.html
  25. http://www.scotiabank.com/itrade/en/0,,3971,00.html
  26. http://www.advisorperspectives.com/newsletters13/pdfs/The_Evidence_that_Emotion_Dominates_Market_Pricing.pdf
  27. http://www.investopedia.com/terms/p/papertrade.asp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48,47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