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PDF(피디에프, Portable Document Format)은 전자식 오픈형 일반 서류 전달 방식이다. 윈도우나 맥OS, 리눅스 등 어떤 가상 웹 플랫폼에서도 호환이 가능한 PDF는 서류, 그래픽, 표 등 어느 형태의 문서도 보이는 화면 그대로 프린트가 된다. 때로는 이러한 PDF는 압축이 되어야 웹 사이트 상에 올릴 수 있거나, 이메일로 상대방에게 보낼 수가 있는데, PDF 압축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이 중 몇 가지를 아래 소개해 보려고 한다.

방법 1
방법 1 의 4:

온라인 압축 툴

PDF 다운로드
  1. 선호하는 웹 브라우저에 ‘무료 온라인 PDF 압축’ 이라는 용어로 검색을 하면 찾기 쉽다. 찾는 서비스가 반드시 무료여야 하며 규모가 어느 정도 되고 잘 알려진 컴퓨터나 프린터 관련 또는 온라인 출판 관련 회사에서 추천하는 툴이어야 한다. (분명 웹 상에 사람들 사이에 잘 알려진 또는 명성이 자자한 사이트를 알려주는 인터넷 배너 등이 잘 보일 것이다.)
  2. 압축하고 싶은 파일을 선택하거나 해당 파일을 끌고와서 해당 툴에 떨어뜨려 업로드 할 준비를 한다. 해당 툴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는 광고를 보여주거나, 컴퓨터 테스트(captcha code)를 할 수도 있다.
  3. 압축이 완료되면, 다운로드가 가능하다고 알림이 뜰 것이다. 어떤 서비스들은 압축된 문서를 메일로 보내주기도 하고, 아니면 사이트에서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4:

프리뷰(Preview)기능 이용하기(맥OS 용)

PDF 다운로드
    • 일반적으로 PDF파일은 어도비 리더나 전용 PDF파일 뷰어가 없으면 미리보기로 열린다. 따로 아크로뱃 리더나 뷰어가 따로 없다면, 해당 PDF파일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 후 ‘함께 열기(Open With)에서 미리보기(Preview)를 선택한다.
  1. 대화 상자가 뜰 것이다.
  2. 만약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할 예정이면, 기존 문서를 대체해 새롭게 저장할 것인지 묻는 대화 상자가 뜰 것이다. 대체하기를 선택하면 현재의 문제 위에 덧입혀져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이 될 것이다. [2]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4:

어도비 아크로뱃의 PDF 옵티마이저 기능 이용하기

PDF 다운로드
  1. PDF 옵티마이저 창이 뜬 뒤 파일 압축과 관련된 몇 가지 옵션을 제시할 것이다.
  2. 윈도우 창 오른쪽 위에 있는 ‘저장 공간 검사하기(Audit space usage)’ 버튼을 클릭한다. 이 메뉴에서 문서에 사용된 글꼴이나 색깔 등의 요소나 사용된 바이크 크기, 각 요소 별로 차지하고 있는 저장 공간의 퍼센티지 등을 체크해 볼 수 있다. 어떤 요소들을 조정할 수 있는지 결정하고 화면에서 왼쪽을 클릭해 호환되는 패널을 맞출 수 있다.
  3. 이 곳에서 색깔이나 명도, 단색 압축 등을 조정할 수 있다.
    • 인치 당 픽셀(Pixels per Inch, PPI)이 높을수록, 그림이 선명해진다. 프린트를 할 예정이 아니라면,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PPI를 작게 맞춘다. 화면용으로만 보려면, PPI가 72면 된다.
    • 기존의 픽셀 색깔을 큰 픽셀로 병합시켜 픽셀의 수를 줄임으로써 이미지의 선명도를 낮출 수 있다. 메뉴를 눌러 아래로 내리면 선택할 수 있는 옵션들이 있다. ‘평균 다운샘플링(Average Downsampling to)’를 고르면 그림 중앙에서 픽셀을 골라 해당 픽셀 색깔을 더 큰 면적에 적용시킨다. ‘바이큐빅 다운샘플링(Bicubic Downsampling to)’를 고르면 결정된 픽셀 색깔의 가중 평균 값을 사용하게 된다. 이 옵션의 경우 더 부드러운 그라데이션(명도)을 줄 수 있다.
  4. 기존 문서에서 해당 글꼴을 삽입해 새로 맞추면 다른 컴퓨터에서 같은 문서를 열었을 때 기존 PDF에서 맞춘 글꼴은, 바뀐 컴퓨터가 해당 글꼴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그대로 유지되고 프린트도 그 글꼴 그대로 된다.
    • 해당 PDF문서에서 특별히 요구되는 글꼴이 없다면, 관련 글꼴을 삽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를 더 작게 만들 수 있다. 다른 컴퓨터에서 해당 글꼴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글꼴을 대체해서 문서를 열 것이다. 이 패널에서 ‘삽입된 폰트(Embedded Fonts)’ 또는 ‘폰트 삽입(Font to Embed)’을 선택해 조정할 수 있다.
  5. ’투명도 설정 패널(Transparency Setting Panel)’을 선택해 문서에 포함된 그림의 투명도를 조정한다. 해당 패널 메뉴를 아래로 내리면 ‘낮은 선명도(Low Resolution)’, ‘중간 선명도(Medium Resolution)’, ‘높은 선명도(High Resolution)’ 중 선택을 할 수 있는데, 각 선명도 옵션에 따라 기울기나 투명도 등이 조정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여기서 투명도 조절을 하면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다.
  6. ’버리기 설정 패널(Discard Objects Panel)’을 통해 문서에서 필요하지 않은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 패널을 열게 되면, 버리기 설정에 나타나는 목록들과 체크리스트를 볼 수 있다. 이 리스트에는 ‘모두 제거하기(Discard all form submissions)’, ‘문서 태그 버리기(Discard documents tags)’, ‘북마크 버리기(Discard bookmarks)’ 등이 있다. 리스트 중 제거할 옵션을 선택하는데, 이는 기존 원래 문서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7. ‘버리기 설정 패널(Discard Objects Panel)’과 같이 이 패널 역시 체크리스트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개인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모든 정보 지우기(Discard all comments)’, ‘양식과 멀티미디어(Forms and multimedia)’,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개인 정보 지우기(Discard private data of other application)’ 등을 선택할 수 있다.
    • 개인 정보는 숨겨져 있을 수도 있다. 이를 찾기 위해 ‘문서 검사(Examine Document)’ 기능을 이용한다.(Document -> Examine Document 차례로 클릭)
  8. ’클린업 설정(Clean up Settings)’을 클릭 해 관련 문서에서 관련이 없고 쓸모가 없는 데이터를 지운다. 반드시 ‘오브젝트 압축(Object compression)’ 메뉴 바 아래에서 ‘문서 구조 압축하기(Compress document structure)’를 선택하도록 한다.
    • 기본 설정 값으로 실제 PDF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소들만 선택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만약 기본 설정 값에서 벗어난 옵션을 선택하게 되면 기존 문서의 기능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결과에 대해 확실하지 않다면 기본 설정 값은 절대로 건드리지 않는다.
  9. ‘변경된 결과로 저장하기(Save Optimised As)’라는 창이 바로 뜰 것이다.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할 장소와 파일 포맷(여기에선 PDF)을 선택한 뒤 저장한다. [3]
    광고

  • 문서에서 하나의 글꼴만 사용하면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글꼴의 경우 파일 내에 하나의 정보로 저장이 되기 때문이다.
  • 투명도는 파일이 한 번 저장되면 변경할 수 없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49,719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