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건전지는 모양, 크기,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이렇게 여러 종류의 건전지를 집에 보관하면 필요할 때 크게 도움이 된다. 또한 적절하게 보관하면 건전지 수명을 늘리고 안전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급할 때 쉽게 찾을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2:

건전지 보관

PDF 다운로드
  1. 포장이 밀봉된 상태로 두면 습기 등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사용한 건전지와 혼동할 염려가 없으며 단자가 다른 금속에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 형태와 제조사가 다를 경우 건전지 간에 반응이 일어나 액체가 새어 나오거나 그 밖의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일회용 (충전 불가) 건전지를 보관할 때는 새 것과 사용한 것을 분리시켜야 한다. [1] 각각 다른 통에 담는 것이 가장 좋다. 만일 같은 통에 넣을 때는 형태별로 분리해 각각 다른 비닐봉지나 지퍼백에 담아 놓는다.
  3. 많은 충전지가 충전되지 않은 상태로 계속 보관하면 영구손상된다. 종류에 따라 적절한 충전 수준이 다르다:
    납 축전지
    수명을 줄이는 황산화를 막으려면 완전히 충전된 상태로 보관해야 한다.
    리튬 이온 (Li-ion)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려면 30-50%까지 충전한다. [2]
    만일 몇 달 내에 충전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완전충전 상태로 보관한다. [3] [4]
    니켈 사용 건전지 (니켈 수소, 니켈 아연, 니켈 카드뮴)
    어느 충전 수준에서나 보관할 수 있다. [5]
  4. 대부분의 경우, 직사광선이 없는 시원한 곳이면 된다. 비교적 따뜻한25ºC 정도에서도 연간 충전 손실은 매우 적다. 냉장고 (또는1–15ºC 온도의 공간)에 보관해도 큰 차이는 없기 때문에 마땅한 보관장소가 없거나 최상의 상태가 반드시 유지되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굳이 냉장고에 보관할 필요는 없다. 물기로 인한 손상을 감수할 가치가 없으며 바로 사용하지 못하고 건전지가 따뜻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6] [7]
    • 제조사에서 권장하지 않는 한은 냉동보관은 하지 말자. [8]
      기존의니켈 기반 건전지는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방전됐었다. 이 건전지는 낮은 온도에서 빠르게 충전은 되지만 일반 소비자용 충전지는 10°C 보다 높아야 한다. [9]
      최근 제품인 낮은 자가방전(LSD) 수소 충전지는 실온에서도 방전되지 않도록 제작됐다.
  5. 습도가 높은 환경이나 냉장고를 포함해 물기가 맺히는 장소에 보관할 경우에는 건전지를 방습 용기에 보관하자. 알카라인 건전지는 약간의 습기 (상대습도 35-65%)가 있는 곳에서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10] 그러나 다른 종류의 건전지는 대부분 건조한 환경이 안전하다. [11]
  6. 건전지는 금속에 접촉하면 전기 전도를 시작할 수 있어 빠르게 방전되면서 열을 생성시킨다. 이 같은 문제를 예방하고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음 방법을 이용해보자: [12] [13]
    • 건전지를 금속용기에 보관하지 말자.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또는 건전지 보관함을 사용해야 한다.
    • 동전이나 그 밖의 금속물체를 건전지와 함께 담아 두지 말자.
    • 건전지의 양극 단자가 다른 건전지의 음극 단자와 접촉되지 않도록 정렬하자.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충전지 관리

PDF 다운로드
  1. 납 축전지의 충전 수준이 낮은 상태로 보관하면 수명을 줄이는 영구적인 황산화의 원인이 된다. [14] 리튬 이온 충전지의 충전 수준이 낮으면 수명을 줄이는 구리조직이 형성되며 그대로 사용하면 위험할 수도 있다. [15] 정확한 충전 지침은 제품에 따라 다르다. 제조사의 설명서가 없다면 다음의 가이드라인을 따라 보자:
    납 축전지
    전압이2.07 V/cell (12 볼트 전지에는 12.42V) 아래로 떨어질 때마다 완전 충전한다. [16]
    대개 6개월에 한 번씩 충전한다. [17]
    리튬 이온
    전압이2.5 V/cell 아래로 떨어질 때마다 30-50% 충전한다. [18] 전압이1.5V/cell 아래로 떨어졌을 때는 충전하면 안된다. [19]
    대개 몇 달에 한 번 정도 충전한다.
  2. 충전지가 며칠 동안 충전이 거의 되지 않은 상태였다면 다시 사용하기 전에 특별 처리를 해야한다:
    납 축전지
    보통 재충전은 되지만 수명은 영구적으로 단축된다. 작은 납 축전지가 충전되지 않는다면 두 시간 동안 아주 소량의 높은 전류 (최고 5 볼트까지)를 통하게 한다. [20]
    작동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항 황산화 기기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21]
    리튬 이온
    충전지가 “수면 모드”로 들어가 충전이 안된다. 이 때 충전기의 “촉진” 기능을 사용하고 극성에 맞게 전압을 걸어 준다.
    1주일 이상 1.5V/cell 이하로 떨어져 있었다면 절대로 촉진기능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영구손상을 가져오고 사용할 때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22]
    니켈 기반 충전지 (니켈 수소, 니켈 아연, 니켈 카드뮴)
    심각한 문제점은 없다. 수명을 완전복원하기 위해 완전 충전과 완전 방전을 두 세번 반복해야 하는 제품도 있다. [23]
    대규모로 사용하는 경우는 충전지 재생이 가능한 건진지 분석기 사용도 고려해보자. [24]
    광고

  • 자주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은 건전지를 빼놓자. 전자기기에 끼워져 있으면 따로 보관할 때보다 훨씬 빠르게 방전되기 때문이다.
광고

경고

  • 납 축전지는 젖은 상태에서 오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런 경우는 부식방지를 위해 정기적으로 수면 위로 올려 관리해야 한다.
광고

필요한 것

  • 건전지
  • 비닐봉투 (선택사항)
  • 건전지 보관함 (선택사항)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71,59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