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조용한 사람이 되는 것에는 우여곡절이 있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을 지나치게 수줍어하거나 매사에 무관심한 사람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좀 더 조용하고 내성적으로 바뀌는 것은 개인의 선택이지 사회성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조금 연습하고 이해하면 주변 친구들도 유지하고 자기다움을 유지하면서 내성적이고 차분한 성격을 형성할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2:

내성적이고 차분해지기

PDF 다운로드
  1. 조용하거나 내성적인 사람에 대해 흔히 갖는 오해는 친구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 실제,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깊은 우정을 쌓는다. 잡담만 하거나 자기 이야기만 하는 대신, 다른 사람을 알아가는데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 [1]
    • 꼭 조용하고 내성적인 친구를 찾을 필요는 없지만, 주변에 있는 사람이 자신의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을 이해해야한다.
    • 다른 사람을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을 찾는다. 만약 자신의 인간관계에서 누가 이해를 잘 해주고 수용적인지 모른다면, 사람들과 대화를 나눠보고 알아가도록 노력해보자.
  2.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들은 성격상 자기 고유 감정에 충실하는 경향이 있다. [2] 자신이 어떤 사람, 생각 또는 주제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를 알아보고 이해하는 것은 인지력을 키우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는 세상을 헤쳐나가는데 도움이 된다.
    • 자신의 하루를 되돌아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자신이 좀 더 조용하고 내성적인면을 유지하려 노력한다면, 자기 자신과 자신의 하루를 돌아보는 시간을 마련해야한다. [3]
    • 살아오면서 가장 의미있었던 경험이나 뭔가를 깨우치게 된 계기가 있었는지 알아보고, 그러한 경험들로 인해 자신이 어떻게 변화되었고 왜 그랬는지를 검토해보자. [4]
    • 자신과 친한 사람과 이야기 나눌 때, 자신의 행동과 생각에 대한 진솔한 피드백을 부탁해보자. 자기 자신은 물론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알고 싶고, 다른 사람이 보는 관점이 스스로를 좀 더 알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친구에게 말해보자. [5]
  3. 많은 내성적 성격의 소유자들은 자신이 열정을 보이는 것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 붓는다. [6]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 모두가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 점은 공통된 기질로 자신의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을 기반으로 마음을 편히 갖는데 도움이 된다.
    • 어린 시절을 되돌아 본다. 어떤 활동을 가장 좋아했었는가? 자신이 그리기나 손가락 페인팅을 좋아했었다면, 아마 그림을 그려봐도 될 것이다. 만약 글을 읽고 쓰는 것을 좋아했었다면, 글쓰기 강좌를 들어보자. 한창 자라나는 어린 시절에 자신에게 가장 의미있었던 것이 자신의 마음 속에 아직 자리잡고 있을지도 모른다. [7]
    • 자신의 열정이 어디에 있는지 아직 잘 모르겠으면, 본인 삶에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을 생각해보자. 매일의 일상 생활에서 자신의 마음을 들뜨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8]
  4. 자신이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이면, 많은 사회적 상황에 당황하거나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쇼핑을 할 때 낯선 사람과 이야기해야 하는 상황도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다행히 스트레스를 줄이고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다음은 사회적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 걷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상점에서 어슬렁거리는 동안 헤드폰 쓰기 [9]
    • 화를 내거나 짜증내는 사람은 피하기 [10]
    • 낯선 사람과는 잡담을 정중히 거절하거나 피하기 [11]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기

PDF 다운로드
  1. 본인이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이면, 쇼핑몰이나 학교 식당 한가운데서 개인적인 대화를 나누는 게 불편할 수도 있다. 내성적 성향의 사람은 조용하고 좀 더 안락한 분위기에서 대화를 나누는 것이 더 수월하고 스트레스도 덜 받게 된다. 가능하면, 대화를 나누기 전에 대화하기 편안한 장소를 찾아보자. [12]
    • 시끄럽고 소란스러운 환경은 대개 깊이 생각하고 사색적인 대화를 나누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소음으로 두 사람 모두 목소리를 높여야하고 좀 더 직설적으로 이야기 하게 되어, 어떤 사람에게는 그 자체만으로 힘들 수 있다. [13]
    • 지나치게 따뜻한 곳도 어떤 사람은 사색적인 성찰을 하기엔 방해가 된다고 여긴다. [14]
    • 자신이 가장 편안한 곳이 어디인지 알아보고, 가능한 최대한 그와 비슷한 환경에서 대화할 수 있도록 조정해보자.
  2.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은 잘 들어주는 편이다. [15] 이런 성격의 사람은 말하기 전에 정보를 종합하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16] 흔히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문제가 생겨 도움을 청하거나 조언을 해 줄 사람이 필요할 때, 내성적 성향의 사람을 찾는다. [17]
    • 다른 사람이 하는 모든 말을 주의를 기울여 들어보자. [18]
    • 언제 응답하고 무슨 말을 해야할 지 결정한다. 응답은 간결하고 짧게 하도록 하자. [19]
    • 어떠한 응답을 하기 전에 생각을 해보자. [20]
    • 응답하기 전에 자신의 생각을 좀 더 가다듬을 시간이 필요하면, “음, 그 문제에 대해 할 말이 있는데, 좀 더 생각할 시간을 줘.” 식으로 말한다. [21]
  3.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이 다른 사람을 알아가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질문을 하는 것이다. 거부감이 들거나 관심이 없는 잡담을 끊임없이 해야한다는 부담 없이, 상대에게 질문을 하면서 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22]
    • 가장 좋은 질문 방법은 개방적인 질문을 하는 것이다. 단순한 예/아니오로 답해야 하는 질문은 지양하도록 하자. 대신, 다른 사람이 이야기 하는 것을 주의깊게 듣고, 이야기에 관심을 보이면서도 상대방을 더 잘 알고자 하는 마음으로 진솔하게 부가 질문을 하도록 한다. [23]
    • ”플로리다에서 자라는 게 좋았나요?”와 같은 예/아니오로 답해야 하는 질문대신, “플로리다에서 자랄 땐 어땠나요? 그 곳에서 자라면서 가장 좋은 점/안좋은 점은 뭐였나요?”와 같이 이야기를 이어갈 수 있는 개방된 질문을 한다.
  4. 조용하고 내성적인 것을 전혀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음을 기억하자. 사실 조용한 것을 바람직한 미덕으로 여기는 나라도 있다! [24] 그리고 자신의 말은 적게 하면서 상대방의 말을 더 많이 들을 때, 말실수로 다른 사람에게 무심코 상처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25] 더욱이, 본인이 좋아하는 사람들과 만나 대화할 때, 서로 나누는 대화가 좀 더 의미있는 상호작용이 될 것이다.
    광고

  • 항상 자기 자신다워지도록 하자.
  • 자신만의 안전지대를 찾아보자. 특히 본인의 업무나 학교 환경 때문에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조용한 자세의 균형을 맞춰야 할 때도 있다. 스스로 자기 자신다워지면서 자신도 편안하게 대화하는 방법을 찾아보자.


광고
  1.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fulfillment-any-age/201403/nine-signs-you-re-really-introvert
  2.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fulfillment-any-age/201403/nine-signs-you-re-really-introvert
  3.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communication-success/201410/confident-communication-skills-introverts
  4.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communication-success/201410/confident-communication-skills-introverts
  5.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communication-success/201410/confident-communication-skills-introverts
  6.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shyness-is-nice/201108/quiet-is-not-four-letter-word
  7.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wired-success/201205/why-it-s-time-quiet-introverted-leaders
  8.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shyness-is-nice/201108/quiet-is-not-four-letter-word
  9.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how-do-life/201405/how-become-better-listener
  10.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how-do-life/201405/how-become-better-listener
  11.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how-do-life/201405/how-become-better-listener
  12.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communication-success/201410/confident-communication-skills-introverts
  13.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communication-success/201410/confident-communication-skills-introverts
  14.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communication-success/201410/confident-communication-skills-introverts
  15.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shyness-is-nice/201108/quiet-is-not-four-letter-word
  16.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fulfillment-any-age/201403/nine-signs-you-re-really-introvert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1,850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