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발가락이 부러진 것 같은데 확실하지 않은가? 발가락에 금이 가는 것은 발 위에 뭐가 떨어지거나, 다치거나, 어디에 세게 부딪히거나 했을 때 흔하게 일어나는 부상이다. 웬만한 금은 약간의 치료만으로도 저절로 낫지만, 어떤 경우에는 의사를 찾아가야 할 수도 있다.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자가진단을 해보면 병원에 가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2:

발가락 진단

PDF 다운로드
  1. 만약 발가락에 금이 갔다면, 그 부분에 체중이 실리거나 눌렀을 때 아플 것이다. 걸어 다닐 수는 있지만 돌아다니면 통증의 정도가 더 심해진다. 통증이 있다고 해서 꼭 골절인 것은 아니지만, 계속되는 통증은 금이나 골절의 신호일 수 있다. [1]
    • 발가락에 체중이 실렸을 때 통증이 극도로 심하다면, 골절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바로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경미한 금은 통증이 이렇게 심하지 않고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 통증 이외에 욱신거리거나 쑤시는 느낌이 있으면 금보다는 골절의 신호일 수 있다.
  2.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부어있는가? 금이 갔을 경우에 흔하게 보이는 증상이다. 그냥 발가락을 세게 부딪친 것이라면, 잠시 욱신거리다가 붓기 없이 통증이 사라진다. 하지만 금이 간 발가락은 부을 확률이 높다.
    • 다친 발가락을 반대쪽 같은 발가락과 비교해 본다. 다친 쪽 발가락이 반대쪽 발가락보다 훨씬 크다면, 금이 간 것 일 수 있다. [2]
  3.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반대쪽의 같은 발가락과 비교했을 때 다친 쪽 발가락의 모양이 이상하거나 탈골되어 보이지 않는가? 만약 그렇다면, 심한 골절일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금이 간 경우에는 발가락의 모양이 변하지는 않는다.
  4.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금 간 발가락은 부딪혀 다친 발가락과는 다르게 멍이 들고 색이 변한다. 발가락이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피가 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증상 모두는 발가락이 골절되었을 수 있다는 신호다.
    • 피부 밖에서도 발가락뼈가 부러진 것처럼 보인다면, 확실히 골절이므로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5.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뼈가 속에서 움직이는 게 느껴지거나, 통증 이외에 발가락이 이상하게 움직이는 느낌이 난다면 부러졌을 확률이 높다.
  6.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통증, 멍, 붓기가 2~3일 이상 지속된다면 병원에 가보는게 좋다. 골절을 확인하기 위해서 엑스레이를 찍을 것이고 대부분의 경우 의사가 발가락을 디디지 말고 아물도록 두라는 말을 해줄 것이다. 하지만 골절이 심한 경우에는 그 외의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 통증이 너무 심해 다친 발가락을 디디고 걷지 못할 정도라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 발가락이 틀어져 있거나 모양이 망가져 있다면 바로 병원으로 가야 한다.
    • 발가락이 차거나 얼얼하고 산소 부족으로 인해 색이 파랗게 변한다면 응급실로 간다. [3]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부러진 발가락 관리

PDF 다운로드
  1.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지퍼백에 얼음을 담아 천이나 수건으로 감싼 후 다친 발가락 위에 올려준다. 병원에 가기 전까지 20분씩 얼음찜질을 한다. 얼음은 붓기를 가라앉히고 발가락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발을 최대한 높인 채로 두고 다친 발로 걸으려고 하지 않는다. [4]
    • 얼음에 피부가 상할 수 있으므로 20분 이상 올려두지 않는다.
    • 이부프로펜이나 아스피린 같은 진통제로 통증을 가라앉힌다.
  2.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병원에 가면 엑스레이를 찍고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설명해 줄 것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뼈를 맞춰야 할 수도 있다. 심하면 수술로 핀이나 나사를 부러진 발가락에 박아 뼈를 고정해야 할 수도 있다.
  3.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부상을 일으킨 활동은 물론 하면 안 되고 발가락에 힘이 들어가게 하는 일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벼운 걷기, 수영, 자전거 등은 괜찮을 수 있지만 달리기나 몸싸움이 있는 운동은 몇 주 동안 피해야 한다. 의사가 말한 기간만큼 발가락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집에 있을 때는 발을 올려 붓기를 가라앉힌다.
    • 몇 주 동안 회복을 한 후 천천히 발가락 사용을 시작한다. 하지만 무리하지 않는다. 통증이나 압박이 느껴지면, 무리하지 말고 더 휴식을 취한다.
  4.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대부분의 발가락 부상은 깁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신에 다친 발가락과 옆 발가락을 같이 묶어주는 치료를 한다. 이 방법은 다친 발가락을 제자리에 고정해 더 큰 상처를 입지 않도록 보호해준다. 의사나 간호사에게 테이프와 거즈를 어떻게 교체하는지 물어보시고 며칠에 한 번씩은 교체해 부상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한다.
    • 테이프에 감겨 있는 발가락의 감각이 없어지거나 색이 변한다면 너무 세게 감긴 것이다. 바로 떼어내고 다시 테이핑하는 법을 의사에게 물어본다.
    • 당뇨가 있는 경우에는 발가락에 테이프를 감아 놓으면 안 된다. 대신에, 의사가 처방해주는 바닥이 평평한 정형용 신발을 착용한다. [5]
  5. Watermark wikiHow to 발가락이 부러졌는지 아는 법
    깁스, 보호대, 정형용 신발 등이 필요할 정도로 골절의 정도가 심하면 6주에서 8주 동안은 전혀 쓰지 말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수술이 필요한 골절은 회복 기간이 더 길 수도 있다. 중간에 몇 번 병원을 방문해 부상이 잘 아물고 있는지도 체크한다.
    • 심한 부상인 경우 꼭 의사의 처방을 따른다. 의사 처방을 무시하면 회복 기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질 수 있다.
    광고

필요한 것

  • 아이스팩
  • 테이프와 거즈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95,40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