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입술의 베인 상처는 고통스러운 경험이다. 제대로 치료되지 않으면, 염증에서 더 심각한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먼지나 다른 이물질이 아직 아물지 않은 상처에 닿으면 부상이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아래의 기사를 읽고 짧은 시간 내 지혈을 하는 방법과 흉터가 남거나 감염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자.

파트 1
파트 1 의 3:

상처 깨끗이 씻기

PDF 다운로드
  1. 어떤 종류의 상처든 치료하기 전에는 가능한 손을 깨끗하게 씻는다. 이렇게 하여 손의 피부에 남아 있을 수도 있는 세균 등을 옮지 않도록 해 감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뜻한 물로 가능하다면 향균 기능이 있는 손 세정제로 손을 씻는다. 손을 씻은 후 향균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1]
    • 구비되어 있다면 비닐장갑을 사용한다. 라텍스 장갑 또한 사용가능하다. 하지만 치료를 하고자 하는 사람이 라텍스에 알레르기 반응이 없는지 꼭 사전에 확인하도록 한다. 중요한 점은 깨끗하고 소독된 도구를 사용해 손과 사용하는 도구 사이 세균이 옮길 수 없도록 장벽을 만드는 것이다. [2]
  2. 상처가 있는 부분에 호흡, 기침, 재채기 등을 하지 않도록 한다. [3]
  3. 입에 피가 나는 사람을 바른 자세로 앉게 하고 앞으로 당겨 그의 턱이 가슴 쪽으로 향하게 한다. 입술 밖으로 피가 흐를 수 있게 하여 구토나 질식의 위험이 없도록 부상자가 피를 삼키지 않게 한다. [4]
  4. 보통 입술에 부상을 입은 경우, 처음의 충격때문에 다른 곳에서도 부상이 발견된다. 만약 다른 부상이 발견되면 즉시 구급대를 부른다. 입술 부상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부상으로는 다음과 같다.
    • 빠진 이 [5]
    • 얼굴 및 턱의 골절 [6]
    • 삼키거나 호흡에 어려움 [7]
  5. 만약 부상에 의한 상처가 금속이나 기타 더러운 물건의 표면에 노출되었다면, 파상풍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 [8]
    • 신생아나 어린 아이들의 경우 2개월, 4개월, 그리고 6개월이 되었을 때 파상풍 예방 접종을 해야한다. 그리고 15개월에서 18개월이 되었을 때와 4세에서 6세가 되었을 때 파상풍 예방 주사를 다시 맞는다. [9]
    • 부상자에게 지저분한 상처가 있다면, 최근 5년 내 파상풍 예방 접종을 했어야 안전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 즉시 파상풍 예방 주사를 맞도록 한다. [10]
    • 10대 청소년의 경우 11세에서 18세 사이 파상풍 예방 접종을 맞는다. [11]
    • 파상풍 예방 접종은 성인 역시 10년에 한번씩 맞는 필수 예방 접종이다. [12]
  6. 혀나 입술을 다치게 할 수 있는 주변 악세사리 등은 부상자로 하여금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껌이나 입 속 음식을 뱉게 하여 부상이 일어났을 때 입 속을 깨끗하게 한다. [13]
  7. 이 단계는 감염을 예방하고 흉터가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 아주 중요한 작업이다. [14]
    • 만약 상처 주변에 무언가가 있다면(가령 먼지나 모래같은), 그것을 흐르는 수돗물에 씻어낼 수 있도록 부상자를 수도꼭지 근처에 데려간다. [15]
    • 만약 흐르는 물로 상처 주변을 세척하는 것이 부상자에게 큰 불편함을 준다면, 컵에 물을 담아와 상처 주위에 붓는다. 충분히 부상 부위가 세척될 때까지 반복한다.
    • 과산화수소에 담근 면봉을 상처 소독에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부상자가 실수로 과산화수소나 면봉을 삼키지 않게 주의한다. [16]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지혈하기

PDF 다운로드
  1. 부상자가 직접 입술 부상 부위를 압박하는 것이 좋으나, 도움을 받아야하는 상황이라면 깨끗한 고무 장갑을 끼고 지혈한다. [17]
    • 깨끗한 수건이나 거즈, 밴드 등을 이용해 부드럽게 눌러준다. 15분간 꾸준히 압박을 해주어야 한다. 만약 수건, 거즈 그리고 밴드를 사용한다면, 이를 갈아주어야 할 때 새로 교체하지 말고 그 위에 새 것을 덧대어 지혈한다. [18]
  2. 최대 45분간 상처의 피가 조금씩 날 수는 있으나 출혈이 15분이 지나도 멈추지 않는다면 구급대에 도움을 요청 해야한다. [19]
    • 잇몸, 혀, 입술 등을 포함한 입 주변은 혈관이 많고 혈액 공급이 많은 부위이기 때문에 다른 부상보다 출혈이 더 많다. [20]
    • 입 안쪽으로 압박을 가하고 치아, 아래턱, 그리고 잇몸을 향해 지혈한다.
    • 부상자에게 이러한 지혈이 불편하다면, 거즈나 깨끗한 천을 이와 입술 사이에 대어 지혈한다. [21]
  3. 꾸준한 지혈에도 15분 이내 출혈이 멈추지 않거나 부상자가 호흡 및 연하 곤란을 겪는 경우, 그리고 이가 빠지거나 이가 원래 자리에서 벗어난 경우, 입 속 물질들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혹은 부상자가 얼굴에 부상을 입은 것 같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부상 부위를 꿰매야 하거나 다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니 전문 의료진에게 진찰을 받는 것이 현명하다. 의료진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은 가능한 빨리 하도록 한다. 상처에 출혈이 있고 닫히지 않은 채로 오랜 시간 방치할 수록 감염의 가능성이 더 커지기 때문이다. 의심이나 걱정이 든다면, 즉시 전문 의료진을 찾도록 하자.
    • 만약 입 속 부상이 너무 크다면, 즉시 구조대를 불러야 한다. [22] 만약 입술의 붉은 부분, 입술 위의 피부 부분, 혹은 입술 아래 (입술을 가로지르는) 부위에 부상을 입었다면 상처를 꿰매기 위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할 수 있다. 상처를 꿰매는 것은 감염의 위험을 낮추고 미용적으로도 흉이 남지 않고 잘 아물도록 돕는다.
    • 의사들은 부상이 깊고 크게 갈라졌다면 봉합을 추천한다. 상처의 양 끝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거나 살짝만 건들어도 상처가 벌어진다면 봉합해야 한다. [23]
    • 상처 부위의 피부 조직이 들려 봉합하기 쉬울 때에도 의사가 봉합을 추천할 수도 있다 [24]
    • 봉합이 필요한 깊은 부상은 안전한 치료를 위해서 최대 8시간 안에 치료가 되어야 한다. [25]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상처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입 속 작은 상처는 3-4일 안에 아문다. 하지만 더 심각한 부상이나 깊은 상처는 치유되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특히 상처가 먹거나 마실 때마다 많이 움직이는 입술 부위에 있다면 더욱 그렇다. [26]
    • 만약 부상자가 의사의 진찰을 받았다면, 항생제와 같은 약 복용과 상처 회복을 위한 기타 지시 사항을 잘 지켜야한다.
  2. 아이스팩이나 아이스 큐브 몇 개를 깨끗한 수건이나 샌드위치 백에 싸서 찜질하면 통증을 가라 앉히고 감염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27]
  3. 지혈을 했다면 이제 깨끗하게 상처가 낫기 위해 치료를 해야 한다. 국소 부위 소독제의 사용에 대해 의학계에서 말이 많은데 특히 사용량이 많으면 되려 좋지 않을 수 있다. [29] 하지만 몇몇의 연구들은 국소 부위 소독제가 알맞은 양으로 올바르게 사용된다면 치유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 국소 부위 소독제를 사용하길 원한다면, 약국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잘 모르겠다면 약사나 의사에게 조언을 구해 본인의 상처에 가장 좋을 약을 추천 받아보자. 너무 많은 양이나 너무 잦은 빈도로 약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국소 부위 소독제의 대안으로써 꿀이나 설탕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설탕은 상처의 진물을 마르게 해주고 박테리아 감염을 예방한다. 꿀 역시 항박테리아 성분이 있다. [30] 상처를 드레싱 하기 전 꿀이나 설탕을 상처 부위에 바르는 것이 통증과 감염을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31]
  4. [32] 부상을 입은 사람이 하품, 웃음, 식사 등을 위해 입을 너무 크게 벌린다면 불편함을 주고 상처를 다시 열리게 하여 덧나게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다시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다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5. [33] 부상자가 덜 씹고 입을 덜 움직일수록, 상처가 다시 덧날 가능성 역시 줄어든다. 또한 가능한 많은 물을 마셔 몸과 조직들이 수분 보충이 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면 상처가 다시 열리지 않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 소금, 감귤류 과일 등은 상처에 닿으면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34]
    • 감자나 토틸라와 같은 딱딱하고, 바삭바삭하거나 날카로운 음식은 피한다.
    • 식사 후에는 따뜻한 물로 상처를 씻어내어 상처 부근에 남는 이물질이나 음식물이 없도록 청결을 유지한다. [35]
    • 식사를 하거나 음료를 마시는데 불편함이 있다면 의사에게 상담한다.
  6. 비록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조치는 다 취했더라도 만일 감염이 되었을 경우, 의사에게 즉시 알려야 한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보이면 바로 병원을 찾도록 한다.
    • 38ºC 이상의 체온 [36]
    • 비정상적으로 낮은 체온 [37]
    • 상처의 온도가 올라가거나 통증이 심해지는 증상 및 붉은 발진, 부어오름, 고름 등 [38]
    • 줄어든 소변의 양 [39]
    • 빠른 맥박 [40]
    • 빠른 호흡 [41]
    • 메스꺼움이나 구토 [42]
    • 설사 [43]
    • 입을 벌리기 힘듬
    • 상처 주변의 붉은 발진, 무르거나 부어오르는 피부
    광고

  • 수분 보충을 위해 가능한 많은 물로 자주 마신다.
광고

경고

  • 치료할 때를 제외하고는 상처 부위에 손을 대지 않도록 한다. 손에 있던 이물질이나 세균, 박테리아 등이 옮길 수 있어 오히려 치료를 더디게 할 수 있다.
  • 충분히 조심하지 않으면 혈행성 감염질환은 쉽게 퍼질 수 있다. 누군가의 상처를 치료하기 전후에는 항상 손을 씻고 의료용 고무 장갑을 낀다.
  • 만약 상처가 더 심해지면 즉시 병원을 찾는다.
  • 만일 개나 고양이와 같은 동물에 의한 상처를 입은 경우 즉시 병원을 찾아야한다. 동물에 의해 물리거나 다친 경우 감염에 더욱 취약하기 때문이다.
광고
  1. https://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615.htm
  2. http://www.cdc.gov/features/tetanus/
  3. http://www.cdc.gov/features/tetanus/
  4. http://www.emedicinehealth.com/mouth_wounds_how_to_stop_bleeding-health/article_em.htm
  5. https://www.urmc.rochester.edu/encyclopedia/content.aspx?ContentTypeID=90&ContentID=P02836
  6. https://www.urmc.rochester.edu/encyclopedia/content.aspx?ContentTypeID=90&ContentID=P02836
  7.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8. http://www.emedicinehealth.com/mouth_wounds_how_to_stop_bleeding-health/article_em.htm
  9. http://www.emedicinehealth.com/mouth_wounds_how_to_stop_bleeding-health/article_em.htm
  10. http://www.emedicinehealth.com/mouth_wounds_how_to_stop_bleeding-health/article_em.htm
  11. http://www.urmc.rochester.edu/encyclopedia/content.aspx?ContentTypeID=90&ContentID=P02836
  12. http://www.emedicinehealth.com/mouth_wounds_how_to_stop_bleeding-health/article_em.htm
  13. http://www.everydayhealth.com/kids-health/stitches.aspx
  14. http://www.everydayhealth.com/kids-health/stitches.aspx
  15. http://www.everydayhealth.com/kids-health/stitches.aspx
  16. http://www.uofmhealth.org/health-library/sig240490
  17.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mouth-injury/
  18. http://www.simplestepsdental.com/SS/ihtSS/r.==/st.32219/t.32774/pr.3.html
  19. https://www.urmc.rochester.edu/encyclopedia/content.aspx?ContentTypeID=1&ContentID=4483
  20. http://www.ncbi.nlm.nih.gov/pubmed/20051094
  21.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609166/
  22. http://www.ncbi.nlm.nih.gov/pubmed/17708384
  23.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24.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mouth-injury/
  25.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mouth-injury/
  26.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mouth-injury/
  27.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28.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29.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30.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31.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32.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33.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34. http://www.uofmmedicalcenter.org/healthlibrary/Article/116249EN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8,067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