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여성들은 평균 12세 전후로 첫 월경을 경험하곤 한다. 여러 원인에 의해 월경이 일시적으로 멈추기도 하지만, 폐경기가 다가오면 영구적으로 월경이 중단된다. 월경 현상이 멈추는 원인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건강 상태와 생활 스타일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방법 1
방법 1 의 3:

건강 요인 고려하기

PDF 다운로드
  1. 피임약 복용 중 생리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생리주기가 불규칙적이거나, 약을 복용하는 방법 및 약에 대한 몸의 반응에 따라 장기간 동안 생리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 경구 피임약은 보통 21일 동안 복용하며, 나머지 7일간은 효능이 없는 위약(플라시보약)을 복용하게끔 되어있으며, 위약을 복용하는 동안 생리가 나타난다. 이 위약 복용을 건너뛰고 바로 다음 21일 주기의 약을 복용하기 시작하면 생리주기를 건너 뛰게 된다. [1]
    • 새로 출시된 약 중에 24일 동안 복용하는 약으로 구성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약을 복용하면 보통 가벼운 출혈이 나타나거나, 혹은 출혈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 일부 피임약은 주기가 훨씬 길기 때문에 약을 복용하면 1년 동안 생리가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이와 같은 피임약을 복용 중인 경우, 복용을 중단할 때까지 생리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많은 여성들이 약을 제대로 복용하는 도중에도 비생리 출혈이나 갈색 분비물을 종종 경험하기도 한다. 피임 도중에 출혈을 경험하더라도 의약품의 부작용일 가능성이 높으니 너무 놀라지 말자. 하지만 이와 같은 증상이 지속된다면 산부인과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해보거나, 다른 종류의 피임약으로 변경해보자. [2]
    • 21일 주기의 약을 복용하고 위약도 복용하는 도중에도 생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임신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예정대로 모든 피임약을 복용하였는데도 월경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이는 단순한 부작용일 가능성이 높다. [3]
    • 21일 주기의 피임약 복용 중 중요한 날 생리를 피하기 위해 위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건강에 큰 이상은 없다. 하지만 매달 위약 복용을 건너뛰지 않도록 한다. 피임약 복용을 통해 월경을 피하고자 한다면, 병원을 찾아 지속적으로 생리가 나타나지 않는 의약품을 처방받아 보자. [4] 생리가 나타나지 않도록 제조된 의약품을 복용하는 것보다 위약을 복용하지 않음으로써 생리를 피하는 방법이 더 저렴한 방법이므로, 전문의가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라면 21일 혹은 24일 주기의 피임약을 복용하고 위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좋다.
    • 자궁 내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수개월 내에 생리주기가 멈출 수도 있다.
  2. 가끔 삶 속의 변화로 인해 생리가 나타나지 않기도 하지만, 장기간 동안 생리가 멈추는 것은 아니다.
    • 최근 운동 방식에 변화가 있었는가? 신체 운동이 더 격렬해졌다면, 생리주기를 담당하는 호르몬 수치에 변화가 일어나 생리가 지체되거나 아예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낮은 체지방, 스트레스, 높은 에너지 소비량 등도 생리가 나타나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다음 달에 생리주기가 제대로 돌아와야 하지만, 새로운 생활 방식에 적응하고 난 이후에도 생리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전문의를 찾아보자. [5]
    • 스트레스로 인해 월경 호르몬을 규제하는 뇌 영역인 시상하부의 기능이 변화될 수 있다. 최근 이사나 이직으로 인한 심한 스트레스를 겪었다면 생리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장기적인 변화는 아니지만, 스트레스로 인해 생리가 자주 나타나지 않는 편이라면 의사나 상담사의 도움을 받아보자. [6]
  3. 여러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해 오랜 기간 생리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예상치 않게 생리가 멈추었다면 병원 치료가 필요한 호르몬 불균형 현상일 수 있으니 전문의를 통해 확인해보자.
    • 다낭성난소증후군(PCOS)은 생리주기에 영향을 주는 일반 호르몬이 아닌 특정 호르몬을 과다 생성하는 증상이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있다면 생리주기가 더 불규칙적일 수 있지만, 폐경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장기간 동안 생리가 멈추지는 않는다. [7]
    • 갑상선의 기능이 항진되거나 저하되는 경우, 의약품 치료로 갑상선 수치가 정상화되지 않는 이상 생리가 불규칙하게 나타날 수 있다. 갑상선 관련 증상을 진단받았다면 생리가 오랜 기간 동안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8]
    • 비암성 종양이 가끔 뇌하수체에 나타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호르몬 수치에 영향을 주어 생리가 멈출 수 있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한다. 증상이 해결되고 나면 생리가 정상적으로 나타난다. [9]
  4. 가끔 생식기관에 발생한 문제로 인해 생리가 멈출 수 있으며, 문제에 따라 증상이 장기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 자궁 내 상처는 자궁 내의 상처난 조직이 쌓이는 증상으로, 생리 기간 동안 정상적으로 자궁 벽이 무너지지 않아 생기는 생리 불균형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처의 심각도에 따라 생리가 나타나지 않거나, 불규칙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10]
    • 태아 발육 동안 번식 기관의 결핍 문제가 발생하여 일부 신체기관을 갖추지 못한 여성들도 있다. 신체에 존재하지 않는 기관에 따라 장기간 동안 월경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11]
    • 질의 조직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 생리기간 동안 눈에 보이는 출혈이 발생하지 않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다거나, 생리 자체가 멈추었다는 의미는 아니다. 질의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의와 생리주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12]
  5. 식욕 부진이나 거식증과 같은 섭식 장애가 있는 경우, 장기적으로 영양분이 결핍되면서 호르몬 수치에 영향을 주어 생리주기가 멈출 수도 있다. [13]
    • 식욕 부진은 오랫동안 음식을 먹지 않거나 소량의 음식만 먹는 증상을 나타내는 반면, 거식증은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한 후 구토를 유발하거나 관장제를 사용해서 칼로리를 몸으로부터 배출하고자 하는 증상을 보인다. [14]
    • 무월경은 생리가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며 식욕 부진을 진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거식증 환자들의 경우, 보통 생리의 절반 정도만 나타난다. [15]
    • 섭식 장애가 있다고 판단되면 생명에 위협적일 수도 있으니 즉시 전문의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방법 2
방법 2 의 3:

폐경기인지 판단하기

PDF 다운로드
  1. 폐경기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폐경기의 바탕이 되는 생리적인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폐경기는 생리주기가 완전히 멈추는 시점이며, 난소에서 더 이상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이 생성되지 않는다. 폐경기를 앞둔 몇 년간 안면홍조와 같은 흔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에 폐경기로 착각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 폐경이행기라 일컫어지는 폐경기로 전환되는 기간이다. [16]
    • 보통 여성들은 40세에서 55세 사이, 평균 51세에 폐경기를 경험한다. 하지만 수술을 통해 생식기관를 제거한 경우 이보다 일찍 폐경기가 나타나기도 한다. [17]
    • 폐경기는 자연스러운 신체 현상이며 병원 치료가 필요치 않다. 하지만 많은 여성들이 폐경이행기간 동안 호르몬 대체 치료법을 통한 효과를 보기도 한다. 폐경기의 신체적, 그리고 감정적인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 전문의와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18]
  2. 마지막 생리가 나타난 시기가 언제인지에 따라 폐경기에 아직 다다른 것이 아닐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생리가 완전히 멈추기 전에 생리주기가 다시 나타날 수 있다.
    • 폐경이행기간 동안 불규칙한 생리주기가 흔히 발생한다. 몇 차례 생리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해서 폐경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니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자. 폐경기에 진입하기 전에 암과 같은 잠재적 건강 문제 여부도 확인해보자. [19]
    • 월별 생리주기를 관찰해두면 지체된 생리주기 확인이 가능하다. 40대 초반에 들어서면 폐경기가 곧 다가올 수 있으니, 생리주기를 추적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달력에 간단한 점을 표기해두면 언제 생리가 시작되었는지 확인 가능하다. [20]
    • 1년 동안 생리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폐경기로 간주해도 좋으며, 앞으로 더 이상 생리가 나타나지 않는다. [21]
    • 1년 뒤에 갑작스러운 출혈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보자. 폐경기 이후 나타나는 출혈이라면 최대한 빨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3. 폐경이행기 증상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 알아보려면 다른 증상들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폐경이행기를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폐경기 예측에 도움이 된다.
    • 폐경이행기에 안면홍조가 매우 흔히 발생한다. 안면홍조는 상체에 갑작스럽게 열기가 느껴지는 현상으로, 피부나 팔에 붉은 반점이 나타날 수 있다. [22]
    • 폐경이행기를 겪는 중 성관계에 대한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 호르몬 변화로 인해 성관계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거나 고조되기도 한다. 하지만 폐경기 이후 일부 여성들에게 질건조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성관계가 불편해지기도 한다. [23]
    • 폐경기가 가깝게 다가오면 질 감염이나 요도 감염이 쉽게 발생하기도 한다. [24]
    • 수면 장애, 감정 기복, 주의력 결핍, 복부 체중 증가는 폐경기의 다른 증상이기도 하다. [25]
방법 3
방법 3 의 3:

자연적인 요인 알아보기

PDF 다운로드
  1. 임신 기간 동안에는 생리가 나타나지 않는다. 작은 출혈 자국이 나타날 수는 있지만 임신 기간 동안 완전한 생리는 나타나지는 않는다. 갑자기 생리가 멈추었다면 임신이 원인일 수 있다.
    • 가정용 임신 테스트기는 생리 예정일인 첫날 생리가 나타나지 않았을 때 사용하면 가장 정확하다. 테스트 막대를 소변에 담갔다가 몇 분 기다리면 결과가 나타난다. 테스트기에 따라 임신인 경우 막대 기호, 혹은 색깔의 변화, “임신”이라는 글자가 나타난다. [26]
    • 가정용 임신 테스트기는 일반적으로 매우 정확한 편이다. 대부분 99% 정확하긴 하지만, 일부 정확하지 않은 테스트기도 있으니 다른 두 종류의 테스트기를 사용해보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7]
    • 병원을 방문해 혈액 검사로 최대한 빨리 임신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28]
  2. 보통 출산 후 생리가 돌아오지만, 모유 수유 중이라면 곧바로 규칙적인 생리가 나타나지 않거나, 출산 후 첫 달에 생리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보다 생리가 나타나는 시기가 더뎌진다면 병원을 찾아 다른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3. 출산 후 생리주기가 안정될 때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장기적으로 생리가 멈춘다는 의미는 아니다.
    • 보통 모유 수유를 중단하고 나면 가벼운 출혈 흔적이 나타난다. 출혈 흔적이 나타난 후 첫 몇 주 내에 정상적인 생리주기가 나타난다. [29]
    • 출산 후 첫 생리기간 도중 큰 응혈이 발견될 수도 있다. 보통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증상이긴 하지만, 출혈이 심하고 일주일 동안 응혈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방문해보자. [30]
    • 신체적으로 월경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출산 직후 가임 기간이 아니라는 의미는 아니다. 임신을 원치 않는다면 생리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피임 기구를 사용하도록 하자. [31]

  • 90일 이상 생리주기가 나타나지 않으며 생활 활동의 변화, 임신, 폐경기, 혹은 기타 요인으로도 증상을 설명할 수 없는 경우 병원을 찾도록 해보자.
  • 월경 부재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다. 원발성 무월경은 아직 첫 월경을 경험하지 않아 월경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이며, 속발성 무월경은 월경을 경험하였지만 더 이상 월경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이다. 원발성 무월경은 보통 구조적 이상 혹은 염색체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으나, 속발성 무월경의 주된 원인은 임신이다.
  1.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menorrhea/basics/causes/con-20031561
  2.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menorrhea/basics/causes/con-20031561
  3.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menorrhea/basics/causes/con-20031561
  4. http://www.aafp.org/afp/2001/0801/p445.html
  5. http://www.aafp.org/afp/2001/0801/p445.html
  6. http://www.aafp.org/afp/2001/0801/p445.html
  7.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8.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9.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10.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11.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12.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13.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14.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15.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16. http://www.womenshealth.gov/menopause/menopause-basics/index.html
  17.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getting-pregnant/in-depth/home-pregnancy-tests/art-20047940
  18.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getting-pregnant/in-depth/home-pregnancy-tests/art-20047940
  19.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getting-pregnant/in-depth/home-pregnancy-tests/art-20047940
  20. http://www.nhs.uk/chq/Pages/943.aspx?CategoryID=54#close
  21. http://www.nhs.uk/chq/Pages/943.aspx?CategoryID=54#close
  22. http://www.nhs.uk/chq/Pages/943.aspx?CategoryID=54#close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5,225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