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를 가진 아이를 양육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다른 아이들을 양육할 때와는 분명 다른 훈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하게 아이의 행동을 사과하며 돌아다니거나, 아이들에게 심한 벌을 주는 양극단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지난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이 분야 전문가들도 ADHD아이들을 훈육하는 것은 도전이라고 밝힌다. 그러나 부모, 보육자, 교사와 주변 사람들이 인내를 가지고 일관되게 ADHD아이들을 훈육할 수 있다. [1]

파트 1
파트 1 의 4:

일과 정하고 정돈하기

PDF 다운로드
  1. ADHD 아이들은 계획하고, 과정을 생각하고, 시간을 관리하고, 다른 일상 생활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가족의 일상 생활을 치밀하게 구성하고 체계화된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다시 말하자면, 일상적인 일과를 정해 놓으면 아이가 사고를 칠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처음부터 아이를 훈육할 기회를 차단할 수 있다.
    • 대다수 아이 행동이 혼란을 일으키게끔 정돈되지 않아서 벌어진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DHD아이와 부모 사이의 가장 큰 문제는 집안일, 방 치우기와 숙제하기와 연관이 있다. 아이가 성공할 수 있는 능력의 기초가 되는 좋은 습관을 기르도록 잘 짜여진 시스템과 정돈된 환경이라면, 이런 사단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아침 일과, 숙제하는 시간, 잠자는 시간과 같은 규칙을 정해주고 비디오 게임을 할 때의 규칙들도 정한다.
    • 기대하는 행동을 “분명하게” 말해준다. "네 방을 치워"라는 말은 불분명해서, ADHD 아이는 주의 집중이 흐려지기 전에 어디서부터 시작하고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혼동한다. 짧고 명확한 작은 과제로 나눠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장난감들을 주워", "카페트 좀 진공 청소기로 청소해줘", "햄스터 집 좀 치워줄래?", "옷은 옷장에 넣어줘!".
  2. 모든 가족과 집안일에 명확한 규칙과 기대하는 바가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ADHD아동은 미묘한 힌트는 잘 이해하지 못한다. 매일 분명하고 정확하게 부모가 기대하는 것이 무엇이고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이야기 나눈다.
    • 예를 들어, 일단 한 주의 가정 일과가 정해졌으면, 아이 방에 일정을 붙여 놓는다. 화이트보드를 색깔 마커, 스티커와 다른 장식으로 재미있게 꾸며 준다. 일정에 있는 모든 것을 설명하고 가르쳐줘서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ADHD아이들 대부분이 어려워하는 일인 숙제를 포함한 모든 하루 일과를 정해 놓는다. 아이가 매일 알림장에 숙제를 받아 적도록 하고,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숙제를 하게 한다. 숙제를 시작하기 전에 무엇을 해야하는지 같이 보고 끝마친 뒤 같이 숙제를 검토한다. [2]
  3. ADHD 아동이 정리정돈을 잘 못하는 것은 흔히 시각적으로 압도된 결과라고 한다. [3] 그 결과, ADHD아이에게는 자기 방 청소하기나 빨래를 개서 옷장에 넣는 큰 과제를 작은 과제로 나누어서 한 번에 하나씩 줄 필요가 있다.
    • 예를 들어, 빨래의 경우, 아이가 모든 양말을 찾아 놓는 것으로 시작한다. 일종의 게임처럼 음악을 틀어놓고 아이가 첫 번째 노래가 끝날 때까지 모든 양말을 찾아서 서랍에 갖다 넣도록 하는 과제를 줄 수 있다. 일단 과제가 완성되면, 정확하게 완수한 것을 칭찬해준다. 그런 다음, 임무가 끝날 때까지 아이에게 속옷, 잠옷 등등 모든 세탁물을 차례로 다 골라서 제자리에 정리하도록 부탁한다.
    • 시간을 들여 작은 과제로 나누어 주면 아이가 당황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부모 역시 아이가 성공을 경험할 때마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다. 더 많은 성공을 경험할 수록, 아이가 스스로에 대해서 자신감을 갖기 시작한다. 즉,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고 실제로도 향후 더 성공하게 된다. 결국, 성공이 성공을 낳게 된다! [4]
    • 그래도 아이의 일과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ADHD아동은 산만해지지 않고 집중하거나, 지루한 과제를 지속하는 걸 어려워한다. 그렇다고 해야할 일을 열외시켜줘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아이가 독립적으로 그 과제를 마치기를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모든 아이마다 다르다. 수용적인 자세로 과제를 함께 하고 아이가 긍정적인 경험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대치가 너무 높아서 아이를 좌절하게 만들거나 아이와 싸우는 것 보다는 말이다.
  4. 일정 세우기는 일생 동안 지속될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그러나 일정을 소화하도록 제자리에 정리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 아이가 방을 정리하도록 도와준다. ADHD아동은 모든 것을 한번에 파악하므로, 항상 압도된다는 것을 명심하자. 그러므로 아이들의 소지품을 더 잘 분류해 놓을 수록, 아이들이 과잉 자극을 다루기가 더 쉬워진다. [5] [6]
    • ADHD아이는 각 소지품들을 따로 떼어 분류하고 복잡한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난감 정리함, 책장, 벽걸이와 같은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7] [8]
    • 색깔별로 분류하거나 사진 및 선반 라벨을 사용해서 시각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ADHD아동은 모든 것을 한 번에 파악해서 당황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소지품들을 더 분류할 수록 아이들이 과잉 자극에 대처하기가 더 쉽다. [9] [10]
    • 방의 물건을 정리한다. 전반적인 정리와 더불어, 아이를 산만하게 하는 "물건"을 치워 주변 환경을 좀 더 안정적으로 꾸며준다. 그렇다고 방이 텅텅 비도록 모두 치울 필요는 없다. 그러나 더 이상 갖고 놀지 않는 장난감, 안 입는 옷, 아이들이 별로 신경 안쓰는 장식장을 정리하고 없애주면 보다 조화로운 환경을 만들어 줄 수있다.
  5. 어른이 아이에게 요구를 하거나, 지시하거나, 또는 명령하기 전에 우선 아이가 주의 집중하도록 해야한다. 아이가 본인한테 "주의 집중"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일단 아이가 과제를 하기 시작하면, 다른 요구를 덧붙이거나 주의를 흐트러뜨리는 토론을 해서 주의를 산만하게 하지 않는다. [11]
    • 아이가 자신을 쳐다보고 눈을 마주치게 한다. 이런다고 온전하게 주의 집중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본인의 메세지를 전달할 확률이 높아진다.
    • 화나고, 좌절하거나, 다른 부정적인 말은 쉽게 "걸러진다". 이는 자기 방어기제로 ADHD아동은 사람들을 화나게 하거나, 자신들이 통제할 수 없는 일로 비난 받는것을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고함을 질러서는 아이의 주의를 끌 수 "없다".
    • ADHD아동은 재미있고, 예상 밖의 기발한 것에 반응한다. 특히 무엇을 요청하기에 앞서 공을 던지고 받는다면, 공던지기에 주의 집중할 수 있다. "똑똑?"하고 말하거나 농담을 하면 효과가 있다. 부르고 답하는 상호활동이나 박수치기도 괜챦다. 앞의 예들이 "안개 속을 헤쳐 나올 수" 있는, 전형적인 아이의 주의를 끌어내는 재미있는 방법이다.
    • ADHD아동은 집중하기 힘들어 한다, 그러므로 아이들이 집중할 때, 방해하거나 아이가 하고 있는 과제를 가져가지 말고, 아이가 주의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6. ADHD아동은 다른 물리적 방법으로 몸을 사용할 때, 보다 잘 해낸다. 신체활동은 아이들이 갈구하는 자극에 두뇌를 활용하게 한다.
    • ADHD아동은 일주일에 적어도 3-4일은 신체활동에 참여해야 한다. 가장 좋은 선택으로는 무술, 수영, 춤, 체조, 또는 다양한 몸동작을 하는 기타 스포츠를 들 수 있다.
    • 심지어 운동을 하지 않는 날에도 그네타기, 자전거 타기, 공원에서 놀기 등과 같은 신체활동을 하도록 한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4:

긍정적 방법으로 접근하기

PDF 다운로드
  1. 성공적으로 일을 완수할 때마다 가시적인 보상(스티커, 아이스 바, 작은 장난감들)으로 시작할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적으로 간헐적인 칭찬("잘했어!" 또는 포옹)으로 줄여나갈 수 있다. 하지만 아이가 지속적인 성공을 거둔 결과로 인해 좋은 습관을 형성한 후에도, 긍정적인 피드백은 지속해준다. [12] [13]
    • 아이가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좋은 기분을 갖는 것이 아예 처음부터 훈육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중요 전략이다.
  2. 훈육할 때는 낮고 강한 어조로 말한다. 지시를 할 때는 확고하지만 감정이 드러나지 않는 목소리로, 가능한 짧고 간결하게 말한다. 길게 말할 수록 아이들은 더 조금만 기억할 뿐이다.
    • 한 전문가는 부모들에게 "행동하되, 잔소리는 늘어놓지 말 것!"을 당부한다. 강력한 마무리로 모든 것이 분명해지는데 반해, ADHD아동을 훈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4]
    • 아이 행동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 본인이 화를 내거나 소리지르면 아이가 더 긴장해서, 자신은 바른 일은 절대 못하는 나쁜 아이라는 믿음만 주게 된다. 게다가 부모가 마음의 평정을 잃게되어, 아이가 상황을 통제한다고 느낄 수도 있다. [15]
  3. ADHD아동은 보통 아이들보다 더 많은 훈육이 필요하다. 아이가 ADHD라는 이유로 훈육을 봐주고 싶은 마음이 들지만, 사실 이로 인해 문제 행동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 일상 생활에서 대부분의 일이 그렇듯이, 이를 무시하면, 문제 행동은 늘어나고 더 악화될 것이다. 그러므로 가장 좋은 방법은 처음 문제 행동 발생 즉시, 곧바로 그 문제를 대처하는 것이다. 아이가 문제 행동을 하면 그 즉시 훈육을 해서 아이가 행동과 훈계 그리고 부모의 반응을 연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런 방법으로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가 이 행동에는 결과가 따른다는 것을 학습하고, 바라건대 문제 행동을 멈출 것이다.
    • ADHD아동은 충동적이고 보통 자신들의 행동에 대한 결과는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신들이 잘못된 행동을 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기도 한다. 행동에 대한 반응이 없다면, 이 문제가 더 악화되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 따라서 어른들은 아이가 이러한 점을 깨닫고, 잘못된 행동을 계속 했을 때 어떠한 결과가 뒤따르는 지를 배우도록 도와줘야 한다.
    • ADHD아동은 단지 인내와 안내와 연습이 좀 더 필요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인다. 만약 ADHD아동과 "전형적인" 아이를 비교한다면, 극도로 좌절하게 된다. 이런 아이와 지내는 데는 좀 더 많은 시간, 에너지와 생각이 필요하다. 아이를 "쉬운" 아이와 비교하지 말자. 보다 긍정적이고 그래서 보다 생산적인 상호작용과 결과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4. ADHD아동의 부모들은 나쁜 행동을 벌주기 보다는 바람직한 행동에 보상하는 것이 성공적이다. 아이들이 잘못한 것을 비판하기 보다 오히려 잘한 행동을 칭찬해주자. [16]
    • 많은 부모들이 식사시간에서의 나쁜 예절 같은 행동을 변화 시킬때, 오히려 아이가 바른 행동을 했을 때 긍정적인 격려와 칭찬을 해줌으로써 행동 변화에 성공을 거둔다. 아이가 어떻게 식탁에 앉느냐, 어떻게 입에 음식을 넣느냐를 비판하는 대신, 아이가 수저를 바르게 사용하고 말을 잘 들었을 때 칭찬해주도록 하자. 이렇게 하면 아이가 칭찬을 받기 위해 자신이 하는 일에 보다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 부모의 피드백 비율을 점검한다. 아이에게 부정적인 것 보다는 긍정적인 이야기를 해준다. 때로는 "좋은 점을 찾느라" 진땀을 빼겠지만 벌 보다 칭찬의 장점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17]
  5. 보다 바람직한 행동으로 이끄는 비법은 많다. 당근을 주는 것이 채찍으로 위협하는 것 보다 더 효과를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정해진 시간까지 아이가 옷을 입고 아침 식사를 하려고 식탁에 앉아 있으면, 아이는 아침 식사로 시리얼 대신 와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자. 아이가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는 것은 긍정적 강화의 한 방법이다.
    • 아이가 보너스 용돈, 특별한 외출 또는 이와 비슷한 특권을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행동 체계를 고려해본다. 같은 방법으로, 부적절한 행동은 감점을 받게 한다. 하지만 추가 심부름이나 다른 활동으로 점수를 만회할 수 있다. [18]
    • 점수제를 통해 아이들은 규칙을 따르도록 동기 부여가 된다. 아들이 잠자기 전에 장난감을 주으려고 하지 않는다고 하자. 이때, 아이에게 장난감을 주으면 점수를 딸 수 있다고 알려주면 아이는 바닥에 놓여 있는 장난감을 주을 것이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아이가 특권을 얻지 못해도 적어도 부모가 더 이상 나쁜 사람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이의 운명은 자기 손에 달렸고, 자신들의 선택에 스스로 책임을 져야한다.
    • 아이들에게 체크리스트, 일정과 마감일 등을 분명하게 구분시켜 알려주면, 점수제는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자. [19] [20]
    • 체크리스트와 일정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심지어 동기부여된 아이들도 ADHD로 인해 한 과제를 지속하기 어렵다. 또한 기대가 너무 높거나 적절하지 않으면, 아이는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점수제는 아무 쓸모가 없게 된다.
      • 일례: 글쓰기 숙제로 고전하던 아이가 그 숙제에만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다가, 바이올린 연습하는 시간까지 놓쳐 버리면 엄청난 곤경에 처할 수 있다.
      • 또 다른 예: 아이가 행동 체크리스트를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으면, 그 아이는 보상을 받을 만큼 충분한 수의 "금별" 스티커를 절대 받지 못할 것이다. 긍정적 강화효과가 없다면, 아이는 그 룰을 "따르기" 보다 오히려 겉돌게 된다.
  6. ADHD아이에게 나쁜 행동을 그만두라고 하기 보다, "아이가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말해준다. 일반적으로, ADHD 아이들은 나쁜 행동을 대체할 바람직한 행동을 즉각적으로 떠올리지 못한다. 그러므로 나쁜 행동을 멈추기 어렵다. 안내자로서 부모의 역할은 어떤 것이 바른 행동인지를 아이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또한 ADHD아이는 부모가 말하는 "--하지마"를 온전히 듣지 못해, 부모가 말하는 것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 “소파에서 뛰지마.”라고 말하는 대신, “소파에 앉자.”고 말한다.
    • "고양이 꼬리 잡아 당기지 마.”라고 말하는 대신, “고양이는 살살 다뤄.”라고 한다.
    • "자꾸 일어나지마.” 라고 말하는 대신, “아빠다리!"라고 한다.
    • 가족 규칙을 정할 때에도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집 안에서는 공을 갖고 놀지 않기" 대신에 "공은 바깥에서 갖고 노는 놀이감"으로 표현한다. "뛰지 않기!" 보다는 "거실에서는 천천히 걷기"로 아이가 실내에서 걷도록 한다. [21]
  7. 좋은 의미던 나쁜 의미던 관심은 ADHD아이에게는 보상이 된다. 그러므로, 아이가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에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주지만, 아이에게는 관심도 보상이 될 수 있으므로, 아이가 나쁜 행동을 했을 때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22]
    • 예를 들어, 딸아이가 밤에 놀기위해 침대에서 나왔다면, 안아주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말고 조용하지만 엄하게 아이를 침대에 다시 눕힌다. 장난감을 뺏어도 되지만 그에 대해서는 아이와 아무 얘기도 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는 엄마의 관심을 받는 것을 보상으로 여기거나 그 규칙에 대해서 말싸움하려 할 것이다. 부모가 지속적으로 나쁜 행동에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 아이의 나쁜 행동은 점차 사라진다.
    • 아이가 색칠하기 책을 가위로 잘라 내면, 단순히 가위와 책을 뺏는다. 조용하게 “책을 자르는 게 아니라 종이를 자르는 거야”라고 한 마디 해주면 된다.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4:

인과응보와 일관성 유지하기

PDF 다운로드
  1. 부모가 상황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보통은 아이의 고집에 부모의 의지가 꺽이곤 한다. [23]
    • 엄마가 전화를 받거나, 어린 동생을 돌보거나, 저녁식사를 준비하고 있는데 3분의 시간동안 콜라를 달라고 대여섯 번씩이나 보채는 어린 여자아이를 생각해 보자. 때로는 그냥 "좋아! 가서 먹고 엄마는 좀 놔둬!"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다. 하지만, 그러면 아이는 고집을 부리면 자기가 이기고, 엄마가 아닌 자기가 칼자루를 쥐었다는 메세지를 받는다.
    • 너무 관대하면 ADHD아이들을 제대로 훈육할 수 없다. 부모는 확고한 애정을 가지고 아이들에게 자세히 알려주고, 한계를 정해 줄 필요가 있다. 아이에게 규칙을 설명하고 왜 규칙이 있어야하는 지에 대해 아이와 긴 토론을 벌이면서 훈육할 수는 없다. 몇몇 부모들에게는 이런 방법이 처음엔 다소 불편할 것이다. 그러나 엄격하게 지속적으로 규칙을 준수하며 사랑하는 것은 전혀 심하지도, 가혹하지도 않다.
  2. 가장 중요한 규칙은 일관되고, 즉각적이고 강력하게 훈육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이가 받는 벌은 아이가 잘못한 행동을 반영해야 한다. [24]
    • 벌칙으로 아이를 자기 방에 보내지 않는다. ADHD아동은 장난감이나 다른 물건에 쉽게 관심을 보이므로, 곧 산만해져서 오히려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벌칙"이 보상으로 끝을 맺는다. 더구나, 아이를 방으로 보내면, 아이는 대개 그 상황에서 빠지게 되어 더 이상 구체적인 연관성을 잃게 된다. 결국 잘못된 행동과 그것을 반복하지 않도록 하는 벌을 연결짓지 못하게 된다.
    • 또한 댓가는 즉각적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아이에게 자전거를 들여 놓고 안으로 들어오라고 했음에도 아이가 계속 자전거를 타고 있을때, 아이에게 내일은 자전거를 못 탄다고 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지연된 댓가는 ADHD아이에게는 거의 또는 아무 의미가 없다. "지금 여기"에만 사는 경향이 있고, 내일 일어나는 일은 실제 오늘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 결과, 다음 날 아이에게 댓가를 치르게할 때, 아이는 실제 아무런 인과관계를 연관짓지 못해 도로아미타불이 되고만다. 대신, 그 즉시 자전거를 빼앗고, 자전거를 다시 탈 수 있는 조건은 나중에 논의할 것이라고 말해준다.
  3. 부모가 일관되게 반응하면, 아이들의 행동은 점차 나아진다. 예를 들어, 점수제를 이용한다면, 점수는 사리에 맞고 일관성 있게 주거나 감점한다. 특히 본인이 화가 나거나 짜증날 때, 독단적인 행동은 삼가한다. 아이는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학습과 강화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을 배우게 된다. [25] [26]
    • 항상 본인이 한 말이나 아이에게 위협한 것을 되새겨 본다. 지나치게 많은 경고나 의미없는 위협은 지양하자. 아이에게 여러 차례 기회를 주거나 경고를 준다면 매 번 최종적으로, 혹은 두 번째, 세 번째마다 정해 놓은 벌을 주거나 훈육을 해서, 아이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댓가를 치르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들은 이번엔 몇 번의 기회를 주는지 보려고 매번 부모를 시험할 것이다.
    • 부모 두 사람 모두 이 훈육 기조를 지키도록 한다. 아이의 행동 변화를 위해, 양쪽 부모 모두가 아이에게 일관되게 반응해 줄 필요가 있다. [27]
    • 또한 일관된 훈육이란 아이가 어느 장소에서든 나쁜 행동을 했을 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안다는 것을 뜻한다. 때로 부모는 공공장소에서 아이를 혼내는 것을 꺼려한다.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지를 염려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가 어디에 있든지 나쁜 행동을 하면 댓가가 따름을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자녀의 학교, 어린이집이나 주일학교에서도 아이를 일관되고, 즉각적이고 강력한 결과로 훈육하는 것을 잊지 말자. 아이가 엇갈린 메세지를 받지 않도록 유의한다.
  4. 아이와 논쟁에 휘말리거나 우유부단하게 행동하지 않도록 하자. [28] [29] 아이에게 부모가 보스이고, 그게 전부임을 알도록 한다.
    • 부모가 논쟁에 휘말리거나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는 순간, 아이는 부모가 자신을 논쟁 상대로 대한다는 메세지를 받는다. 그러므로 아이는 부모와 밀고 당기며 싸워가며 논쟁을 하려고 한다.
    • 항상 구체적으로 지시하고 아이들이 따르도록 엄격하게 한다.
  5. 타임아웃하는 동안 아이는 스스로 진정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서로 맞서고 누가 더 화를 내는지를 지켜보는 대신, 아이가 마음을 가라앉히고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할 준비가 될 때까지, 아이가 앉거나 서 있을 공간을 마련한다. 아이가 서 있는 곳에서 잔소리하지 않는다. 아이가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준다. 타임아웃은 벌이 아니라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기회라는 것을 강조한다. [30]
    • ADHD아이에게는 타임아웃이 효과적인 벌칙이다. 아이가 즉각적으로 자신의 행동과 타임아웃을 연관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ADHD 아이들은 가만히 있거나 조용히 있는 것을 싫어해서, 아이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아주 효과적이다.
  6. 아이와 자신이 우려하는 부분을 이야기하고 함께 성공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특히 공공장소에서 아이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정 상황에 적용할 당근(보상)과 채찍(댓가)을 아이와 함께 의논해서 결정하고, 그 계획을 아이가 반복해서 크게 읽도록 한다. [31] [32]
    • 예를 들어, 가족끼리 외식을 한다면, 잘못한 행동에 대한 댓가는 집에 돌아가는 즉시 침실로 곧장 가야만 하고,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보상은 아이가 디저트를 주문할 수 있는 특권을 얻는 것이다. 식당에서 아이가 과잉 행동을 하기 시작하면, 조용하게 상기 ("오늘 밤 행동 잘하면 뭘 얻게 되더라?")시켜주고, 필요하다면 보다 강한 두 번째 경고 ("오늘 밤 잠자리에 일찍 들어야 되겠니?")를 해서 아이가 제자리에 오도록 해야한다.
  7. 무슨 일이 있어도 항상 부모는 아이에게 사랑을 표현한다. 좋은 아이이지만, 부적절한 행동에는 댓가가 따른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광고
파트 4
파트 4 의 4:

ADHD 이해하고 대처하기

PDF 다운로드
  1. ADHD아이들은 반항적이고, 공격적이고, 훈육엔 저항적이며, 무질서하고, 지나치게 감정적이고, 열정적이고, 자제력이 부족할 수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의사들은 이런 아이들이 가난한 부모들의 피해자일 뿐이라는 가정을 해왔었지만, 20세기초, 연구자들은 ADHD의 원인을 두뇌에서 찾기 시작하였다. [33]
    • ADHD아이들의 두뇌 구조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정상아동의 두뇌에 비해 ADHD아동의 두뇌 일부분이 더 작다고 보고한다. 이 중 하나가 근육 운동을 조절하는 기저핵인데, 근육이 활동을 해야할 때와 쉬어야할 때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가 앉으면 손과 발은 움직일 필요가 없지만, ADHD아이는 비효율적인 기저핵 기능으로 과도한 활동을 저지하지 못한다. 그래서 아이는 가만히 앉아 있지를 못한다. [34]
    • 즉, ADHD아이들은 뇌에 자극이 부족하여 충동 억제가 잘 안되어, 필요한 자극을 얻기 위해 더 열심히 움직이거나 "과잉 행동"을 하게 된다. [35]
    • 일단 부모도 자신의 아이가 고의로 또는 배려가 없어서가 아니라, ADHD로 인해서 아이의 두뇌 활동이 다르다는 것 뿐임을 알게 되면, 부모들도 이런 행동을 다루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이해를 통한 공감으로 부모는 인내와 보다 강한 의지를 갖고 자신의 아이를 어떻게 훈육할지 구상할 수 있다. [36]
  2. 흔히 다른 장애가 ADHD와 같이 나타나므로, ADHD 진단을 받은 아이들의 부모는 다른 문제들도 복합적으로 직면하게 된다.
    • 예를 들면, ADHD아이들의 33% 이상이 품행장애나 반항장애를 가진 반면, ADHD아이들의 대략 20% 정도는 조울증이나 우울증도 앓고 있다. [37] 많은 ADHD 아이들은 학습장애를 안거나 정서불안을 겪는다. [38]
    • ADHD와 더불어 다른 장애나 문제가 있다면, 아이를 훈육하는 게 더욱 어려워진다. 아이 행동을 관리할 때, 여러 종류의 약을 복용해서 다른 부작용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면 특히나 더 어려울 수 있다.
  3. 어떤 것이 "정상"인지 실측할 방법은 없고, "정상 행동" 개념 자체도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것이다. ADHD는 장애일 뿐, 자신의 아이는 주의를 더 자주 주어야하고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뿐이다. [39] 시력 저하가 있는 사람이 안경을 써야하고, 난청인 사람이 보청기를 껴야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 자신의 ADHD아이도 그 아이의 기준에서 “정상”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애이니, 자신의 아이도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자.
    광고

현실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

  • 몇 가지 전략을 시도해 보면, 아이가 성질부리는 것이 줄어 들거나, 부모가 부탁할 때 아이가 작은 일을 완수해내는 등, 아이의 행동이 점차 나아질 것이다.
  • 앞서 소개한 전략으로, 주의 산만이나 과다한 에너지와 같은 ADHD 진단과 관련한 특이 행동이 없어지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 한동안은 어떤 훈육 전략이 자신의 아이에게 가장 효과적인지 시험해 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아이는 타임아웃에 잘 반응하지 않는 반면, 어떤 아이는 타임아웃에 잘 반응한다.

  • ADHD아이를 다루는 성공불패의 핵심은 아이의 삶에 다음과 같은 강력한 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연민, 이해와 용서; 부적절한 행동에도 불구하고 아이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는 것; 규칙을 준수하는 것을 장려하기; 아이의 두뇌 활동 방법에 따른 조직적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일관되고, 즉각적이고 강력한 댓가를 치르게 하도록 훈육하기.
광고

출처

  1.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2. Putting On The Brakes: Young People’s Guide to Understand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by Patricia O. Quinn & Judith M. Stern (1991).
  3. Why Is My Child’s ADHD Not Better Yet? Recognizing The Undiagnosed Secondary Conditions That May Be Affecting Your Child’s Treatment by David Gottlieb, Thomas Shoaf, and Risa Graff (2006).
  4. Organize Your ADD/ADHD Child: A Practical Guide For Parents by Cheryl R. Carter (2011).
  5. Putting On The Brakes: Young People’s Guide to Understand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by Patricia O. Quinn & Judith M. Stern (1991).
  6.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7. Putting On The Brakes: Young People’s Guide to Understand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by Patricia O. Quinn & Judith M. Stern (1991).
  8.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9. Putting On The Brakes: Young People’s Guide to Understand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by Patricia O. Quinn & Judith M. Stern (1991).
  1.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2.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3. Organize Your ADD/ADHD Child: A Practical Guide For Parents by Cheryl R. Carter (2011).
  4.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5.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6. Dr. Larry’s Silver’s Advice to Parents on ADHD by Larry N. Silver (1999).
  7. Dr. Larry’s Silver’s Advice to Parents on ADHD by Larry N. Silver (1999)
  8. Dr. Larry’s Silver’s Advice to Parents on ADHD by Larry N. Silver (1999)
  9.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10. Organize Your ADD/ADHD Child: A Practical Guide For Parents by Cheryl R. Carter (2011).
  11. Why Is My Child’s ADHD Not Better Yet? Recognizing The Undiagnosed Secondary Conditions That May Be Affecting Your Child’s Treatment by David Gottlieb, Thomas Shoaf, and Risa Graff (2006).
  12. Organize Your ADD/ADHD Child: A Practical Guide For Parents by Cheryl R. Carter (2011).
  13.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14. Dr. Larry’s Silver’s Advice to Parents on ADHD by Larry N. Silver (1999).
  15. Dr. Larry’s Silver’s Advice to Parents on ADHD by Larry N. Silver (1999)
  16. Dr. Larry’s Silver’s Advice to Parents on ADHD by Larry N. Silver (1999)
  17.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18. Dr. Larry’s Silver’s Advice to Parents on ADHD by Larry N. Silver (1999).
  19. Organize Your ADD/ADHD Child: A Practical Guide For Parents by Cheryl R. Carter (2011).
  20.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21.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22. Taking Charge of ADHD: The Complete, Authoritative Guide For Parents by Russell A. Barkley (2005).
  23. Why Is My Child’s ADHD Not Better Yet? Recognizing The Undiagnosed Secondary Conditions That May Be Affecting Your Child’s Treatment by David Gottlieb, Thomas Shoaf, and Risa Graff (2006)
  24. The ADHD Update: Understand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y Alvin and Virginia Silverstein and Laura Silverstein Nunn (2008)
  25. Why Is My Child’s ADHD Not Better Yet? Recognizing The Undiagnosed Secondary Conditions That May Be Affecting Your Child’s Treatment by David Gottlieb, Thomas Shoaf, and Risa Graff (2006).
  26. 2. The ADHD Update: Understand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y Alvin and Virginia Silverstein and Laura Silverstein Nunn (2008).
  27. Brainstorms: Understanding and Treating the Emotional Stor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by H. Joseph Horacek, Jr. (1998).
  28. Why Is My Child’s ADHD Not Better Yet? Recognizing The Undiagnosed Secondary Conditions That May Be Affecting Your Child’s Treatment by David Gottlieb, Thomas Shoaf, and Risa Graff (2006).
  29. The ADHD Update: Understand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y Alvin and Virginia Silverstein and Laura Silverstein Nunn (2008).
  30. Brainstorms: Understanding and Treating the Emotional Stor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by H. Joseph Horacek, Jr. (1998).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42,886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