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동물을 좋아해도 집에서 냄새가 나는 것은 싫을 것이다. 집에서 애완동물 냄새가 나면 온갖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사람들을 초대하기가 창피하게 느껴지거나 집에서 시간을 잘 보내지 않게 된다. 걱정할 필요없다. 몇 가지 간단한 방법과 변화을 통해 애완동물 냄새를 해결할 수 있다. 냄새가 나기 전에 냄새의 원인을 처리하는 것이 관건이다.

파트 1
파트 1 의 3:

냄새의 원인 제거하기

PDF 다운로드
  1. 애완동물이 집안을 돌아다니다가 냄새나는 흔적을 남길 수 있다. 털, 비듬, 진흙, 배설물의 흔적이 여기에 해당된다. 냄새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집안 전체를 진공 청소기로 청소한다. [1] 필요하면 전용 부착물을 사용한다. 잊지말고 다음과 같은 장소를 청소기로 청소한다.
    • 바닥
    • 걸레받이
    • 카펫, 러그, 깔개
    • 가구
    • 가구 아래
    • 쿠션
    • 애완동물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
  2. 숨겨져 있거나 제대로 청소하지 않은 애완동물의 흔적이 보통 애완동물 냄새의 주범이다. 최근에 생긴 애완동물의 흔적에 효소 세척제를 뿌린다. 세척제가 스며들도록 30분 동안 그대로 둔다. 그 다음에 깨끗한 천으로 닦아낸다. 이렇게 하면 성가신 애완동물 냄새가 없어진다.
    • 효소 세척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소변, 대변, 토사물, 기타 생물학적 얼룩의 단백질을 분해하기 때문이다 [2]
  3. 얼룩진 부분만 청소하면 특정 장소에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카펫 곳곳에 냄새나는 얼룩이 여러 개 있을 수 있다. 카펫를 철저히 청소해서 집안 전체에서 냄새를 없앤다. 시간이 걸릴 수도 있지만 참을성을 갖는다. 애완동물 냄새 나지 않는 집을 위해 노력을 기울일 가치가 있다. [3] 카펫 청소용 파우더나 샴푸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 물 없이 카펫 청소를 하기 위해 세척용 파우더를 카펫 전체에 뿌린다. 30분 이상 그대로 놓아둔다. 진공 청소기로 세척제, 먼지, 카펫의 냄새를 빨아들인다.
    • 카펫 청소기를 사용한다. 카펫 청소기의 급수칸에 물을 넣고 세제칸에 액체 세척제를 넣는다. 레버를 누르면서 카펫 전체를 청소한다. 24시간 이상 카펫을 말린다. 그 다음에 진공 청소기로 청소한다.
  4. 가구에는 알게모르게 애완동물의 냄새가 묻어 있기 쉽다. 고양이가 잘 올라가는 의자는 온갖 악취가 난다. 가구의 종류에 따라 가장 좋은 세척 방법을 선택한다. 하지만 세척 전에 드라이 클리닝을 해야하는 가구는 아닌지 관리 라벨을 확인한다. S는 물로 닦지 말라나는 뜻이고 X는 드라이 클리닝을 해야한다는 뜻이다.
    • 소파 등 천을 씌운 가구를 브러시로 문지른다. 양동이에 따뜻한 물을 채우고 주방세제 몇 방울을 떨어뜨린다. 거품이 일 때까지 물을 휘젓는다. 부드러운 브러시를 거품에 담갔다가 가구 표면 전체를 문지른다. 물기를 바짝 짠 천으로 닦고 저절로 마르게 놓아둔다.
    • 가죽이나 가죽과 비슷한 패브릭은 좀 더 섬세하지만 그래도 세척할 수 있다. 동량의 식초와 물을 섞어 세척제를 만든다. 천을 세척제에 적셔 물기가 거의 남아있지 않게 꽉 짠다. 그 다음에 악취가 물씬물씬 나는 패브릭 표면을 닦아낸다. [4]
  5. 애완동물은 노는 것을 좋아해서 주변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개와 페럿은 자주 목욕시키는 것이 좋고 다른 애완동물은 가끔 목욕시킨다. 애완동물을 욕조, 세면대, 양동이에 넣는다. 호스나 양동이로 애완동물의 털을 적신다. 애완동물용 샴푸를 털에 바르고 손으로 문질러 거품이 충분히 낸다. 샴푸를 꼼꼼히 헹구고 수건으로 털을 말려준다. 애완동물에게서 좋은 냄새가 나고 보기도 좋다.
    • 발, 엉덩이 부분, 애완동물이 무언가에 부비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씻어준다.
    • 애완동물을 부드럽게 다룬다. 얼굴, 눈, 귀는 물과 샴푸로 씻기지 않는다. 샴푸가 눈에 들어가면 따갑고 물이 귀에 들어가면 진균 감염이 생길 수 있다. [5]
  6. 애완동물의 침구에서 잘 없어지지 않는 악취가 날 수 있다. [6] 다행히 침구는 대개 세탁기의 일반 세탁 기능을 이용해 따뜻한 물이나 뜨거운 물로 세탁할 수 있다. 건조기로 침구를 건조시킨다.
    • 커다란 침구는 커버를 벗길 수 있다. 커버를 세탁기로 빤다. 속은 베이킹 소다를 뿌려 냄새를 잡는다. 베이킹 소다를 청소기로 빨아들인 다음, 새 커버를 씌운다. 애완동물 침구가 깨끗해지고 악취가 나지 않는다.
  7. 애완동물과 침대에서 뒹구는 것은 기쁜 일이다. 하지만 침구를 자주 세탁해야 한다. 애완동물의 냄새가 묻기 때문이다. 베갯잇, 시트, 침대 커버, 이불 커버, 담요를 침대에서 벗긴다. 모든 리넨과 담요를 세탁기로 세탁한다. 악취 제거를 위해 식초 1/4컵(59ml)를 넣는다. [7] 자연 건조시키거나 건조기로 건조시킨다.
    • 리넨을 세탁하는 동안 베이킹 소다를 매트리스에 뿌린다. 침대 정리를 하기 전에 베이킹 소다를 청소기로 빨아들인다.
  8. 장난감과 액세서리는 애완동물을 행복하게 한다. 하지만 장난감과 액세서리를 세척하지 않은 채 집안에 널부러져 있으면 악취가 난다. 천으로 만든 장난감, 끈, 수건, 칼라, 줄을 세탁기로 세탁한다. 단단한 장난감, 그릇, 고무로 만든 장난감은 싱크대에서 뜨거운 비눗물로 세척한다.
  9. 애완동물 화장실은 당연히 악취가 많이 난다. 내용물을 쓰레기 봉지에 비운 다음, 화장실을 비누와 물로 닦는다. 얼룩과 냄새를 없애기 위해 식초를 화장실에 붓고 30분 동안 그대로 둔다. 그 다음에 브러시로 문지르고 헹군 다음에 저절로 마르게 둔다.
    • 화장실이 완전히 마르면 새 모래를 채운다. 악취 방지를 위해 베이킹 소다를 약간 뿌린다. [8]
  10. 쥐, 생쥐, 게르빌루스쥐, 페릿, 토끼, 기타 애완동물을 잠자리가 깔려있는 케이지에서 기른다면 케이지 때문에 온 집안에 악취가 날 것이다. 부드럽게 애완동물을 꺼내서 다른 케이지 등 안전한 곳에 놓아둔다. 그 다음에 다음과 같이 케이지 청소를 한다.
    • 케이지의 내용물을 비우고 잠자리를 버린다.
    • 장난감과 그릇을 모두 세척한다.
    • 케이지 바닥을 비누와 물로 청소한다.
    • 케이지를 자연건조시킨다.
    • 케이지 바닥에 새로운 잠자리를 깔아준다.
    • 장난감과 그릇을 모두 새것으로 교환한다.
    • 애완동물을 다시 케이지에 넣는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집안의 냄새 제거하기

PDF 다운로드
  1. 악취를 몰아내는 데는 상쾌하고 신선한 공기만한 것이 없다. 봄, 여름, 가을에는 집안의 창문을 모두 열어 신선한 공기가 한쪽 창문으로 들어오고 악취가 반대쪽 창문으로 나가게 한다. [9]
    • 추운 겨울에는 창문을 한번에 하나씩 연다. 집안 공기가 밖으로 나가도록 2분만 열어둔다.
  2. 냄새나는 비듬, 털, 기타 악취의 원인물질이 공기 청정기에 장착된 헤파(HEPA) 필터에 낀다.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면 두 배로 좋다. 필터가 공기 중의 먼지와 알레르기 원인물질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 몇 달에 한 번 또는 제조사의 사용설명서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필터를 교환한다. [10]
  3. 애완동물의 냄새를 잡아주는 탈취제가 많다. 가게에서 탈취제를 구입하거나 솜씨가 좋거나 돈을 절약하고 싶으면 탈취제를 손수 만든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두 가지 탈취제는 베이킹 소다와 식초이다. 집 주위, 카펫, 침대, 냄새가 나는 곳에 베이킹 소다와 식초를 뿌린다. 손수 탈취제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분무기에 식초를 채운다. 레몬, 라벤더, 바닐라 등 좋아하는 에센셜 오일 10방울을 넣는다. 집에 식초를 뿌린다. [11]
    • 분무기에 베이킹 소다 1/4컵(55g)을 넣고 물을 채운다. 잘 흔들어서 넉넉하게 뿌린다. [12]
  4. 집에서 애완동물 냄새가 나건, 나지 않건 공기 청정제는 항상 집에서 향긋한 냄새가 나게 만들어준다. 시판 공기 청정제를 구입하거나 손수 만든다. 어느 쪽이건 부드러운 바닐라 향부터 상큼한 감귤류 향까지 선택의 폭이 넗다. 스프레이, 젤, 플러그 인 유형의 시판 공기 청정제를 사용할 때는 애완동물에게 안전한지 확인한다. [13] 집안에 공기 청정제를 뿌려 공기를 상큼하게 만든다.
    • 손수 공기 청정제를 만드려면 냄비에 물, 감귤류 껍질, 좋아하는 허브를 담는다. 가스레인지에 끓여서 집안에 향긋한 냄새가 퍼지게 한다.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애완동물 냄새 방지하기

PDF 다운로드
  1. 청소는 하기 싫은 일이다. 하지만 집에서 애완동물 냄새가 나지 않게 하려면 자주 청소를 하고 배설물을 치우는 것이 가장 좋다. 자주 진공 청소기로 청소하고 바닥을 닦고 빨래를 하고 먼지를 턴다. 집에서 좋은 냄새가 나도록 다음과 같이 한다. [14]
    • 일주일 세 번 진공 청소기로 청소한다.
    • 단단한 바닥은 일주일마다 식초물로 닦는다.
    • 일주일마다 먼지를 턴다.
    • 빨랫통이 가득 찰 때마다 빨래를 한다.
    • 두달마다 카펫 청소를 한다.
  2. 지저분한 배설물을 나중에 치우고 싶은 생각이 들겠지만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바로 치우도록 한다. 단단한 배설물은 주워서 쓰레기통에 버린다. 배설물이 남긴 물기를 닦아낸다. 효소 세척제를 뿌리고 30분 동안 그대로 둔다. 그 다음에 그 자리를 걸레나 천으로 닦아내고 자연 건조시킨다.
    • 소변, 대변, 토사물은 특히 냄새가 고약하다. 따라서 집에서 좋은 냄새가 나도록 하기 위해 이런 것들을 최우선적으로 치운다. [15]
  3.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애완동물 냄새가 난다. 따라서 청소와 세탁이 중요하다. 애완동물의 침구, 천으로 만든 장난감, 줄, 칼라를 매달 세탁기로 세탁한다. 단단한 장난감은 매달 비누와 물로 세면대에서 빤다. 물그릇은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매주 비누와 물로 세척한다. [16]
  4. 몸단장이 잘된 애완동물은 좋은 냄새가 날 뿐만 아니라 보기도 좋다. 자주 목욕을 시키고 발톱을 깎아주고 이빨을 닦아준다. 자주 몸단장을 해주면 집에서 나는 악취가 크게 개선된다. 털, 더러운 발톱, 입냄새 때문에 집에서 냄새가 난다.
    • 빠진 털과 흙을 제거하기 위해 매일 애완동물을 빗질해준다.
    • 구강 위생과 구취 제거를 위해 일주일에 세 번 이상 애완동물의 이빨을 닦아준다.
    • 한달에 한 번 이상 개를 목욕시킨다. 털에서 냄새가 나는 개는 더 자주 목욕을 시킨다. [17]
  5. 애완동물은 돌아다니기를 좋아한다. 이런 활동은 애완동물에게 많은 즐거움을 주지만 온갖 악취하는 것이 집안에 들어온다. 이런 일을 막기 위해 문 옆에 수건을 깔아두고 애완동물을 집안에 들이기 전에 발을 닦아준다. 비가 와서 땅이 질척거리는 날이나 애완동물이 바깥 산책을 한 날에는 더더욱 발을 잘 닦아주어야 한다. [18]
  6. 애완동물이 안락의자나 소파를 당당하게 차지고 있을 수도 있다. 애완동물이 머무는 특정 장소나 가구는 냄새를 없애기 위해 자주 닦아야 한다. 애완동물이 가구 위에서 많은시간을 보낸다면 덮개 등 세탁 가능한 커버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가구를 청소기로 청소하거나 문질러 닦느라 부산을 떨 필요가없다. 그냥 커버를 벗겨 세탁기에 넣으면 된다.
    • 극세사처럼 세탁이 쉬운 천을 씌운 가구를 산다. 이런 가구는 짜임이 굵은 천을 씌운 가구처럼 냄새를 흡수하고 얼룩이 생기지는 않는다. [19]
  7. 배설물을 치우는 부삽으로 매일 배설물을 치운다. 이렇게 하면 배설물 냄새가 잘 나지 않는다. 매달 배변판을 교환한다. [20]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1,782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