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가수 닐 세다카는 “헤어지는 것은 어려운 일(breaking up is hard to do)”라는 노래를 불러 많은 사람에게 완벽한 공감대를 얻은 적이 있다. 소중한 누군가와 헤어진다는 것은 양쪽 모두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속상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을 들여 이성적이고, 정중하게 매너를 갖고 헤어지는 올바른 단계에 대해 고심한다면, 고통을 최소화 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헤어질 수 있을 것이다.


파트 1
파트 1 의 2:

결정에 이르기

PDF 다운로드
  1. 감정이 상해있을 때 결정을 내리지 않고, 명확히 생각할 수 있을 때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당신이 후회하거나 상대방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충동적인 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1]
    • 감정이 상해있을 때는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우며,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2]
  2. 왜 헤어지고 싶은지에 대해 명확히 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는 연애 관계 중에 있을 수 있는 단순한 마찰과 보다 심각하고 해소할 수 없는 문제들을 구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3]
    • 오직 당신만이 해소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와 풀어나갈 수 있는 문제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다른 사람들에게 잘 대하지 않거나, 아기를 갖기 원치 않는 등의 문제들은 변할 수 없는 것들이다. 하지만, 집안일을 도와주지 않는 등의 문제는 상대방이 고쳐나갈 수 있는 문제들이다.
    • 모든 연인들은 다투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런 다툼이 되풀이되고, 험악하다면, 이는 아마도 더 깊은 문제가 있고, 둘이 잘 맞지 않는다는 뜻일 수 있다. [4]
    • 만약 관계가 감정적으로, 신체적으로 해롭다면 이는 보통 관계를 끝내야 한다는 명확한 신호이다. [5]
  3. 헤어지고 싶은 이유를 적은 목록을 만드는 것을 고려해본다. 또한, 상대방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서로 공유하는 공감대와 관계에 대한 것을 목록에 포함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6]
    • 목록에 적힌 현재 관계의 장점들을 보는 것은 당신이 현재 가지고 있는 감정에 따라오는 부정적인 감정들 대신에 긍정적인 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당신을 도와줄 것이다. [7]
    • 이런 목록은 “아마도 이게 최선일 것이다.”라는 감정에 근거해 헤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8]
    • 어떤 종류의 폭력이건 간에 폭력은 관계를 끝내야 할 명확한 사유라는 것을 기억한다. [9]
    • 목록을 보고 충분히 생각한다. 현재 관계가 당신의 인생을 풍요롭게 하고 있는지, 망치고 있는지를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10]
  4. 단순히 상대방에게 화나있는 상태라면, 관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를 생각해본다.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에, 이별을 우선적인 해결법으로 생각하지 말고,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만약 개선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대방 역시 변화를 주고 개선할 의지가 있는 지를 확인한다. [11]
    • 문제가 되는 부분에 대해 이미 상의하였으나 개선의 여지가 없고, 계속해서 불만스럽고, 아프거나 배신당한 기분이 든다면 헤어지는 것이 아마도 악순환을 끝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 수 있다. [12]
  5. 이별을 결정하기 전에, 당신의 불만과 생각을 상대방과 의논한다. 상대방에게 변화의 기회를 주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이별을 결정하였다면, 미리 당신의 불만 사항을 이야기함으로써 덜 갑작스럽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13]
    • 당신의 불만이나 감정들을 마음속에 담아두고만 있게 되면 당신의 감정들이 종종 부적절한 방식으로 폭발 혹은 표현될 수 있다. [14]
    • 상대방에게 당신의 불만이 무엇인지 정중하고 차분하게 이야기하도록 한다. 소리를 지르거나 모욕, 욕설 등은 삼간다.
    • 만약 상대방이 바람을 피웠거나, 당신을 다치게 했다면, 이는 해소할 수 없는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소통이나 개선의 기회를 주지 않을 수 있다.
  6. 상대방이 변하기를 원하기만 하고 결국 실망하는 것이 되풀이되는 것을 원치 않을 것이다. 상대방이 변하도록 기간의 한계를 정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이런 시간 제약에 대해 상대방에게 말을 해 줄 수도 있고, 안 해줄 수 도 있다. “다음달까지 담배를 끊는다면 우린 계속 같이 있을 수 있어” 와 같은 “최후의 통보”를 하는 것은 상대방이 다시 과거의 습관으로 돌아가기 전에 단기적으로 상대방의 동의를 구할 수 있다.
    • 이러한 최후의 통보가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대부분의 경우 최후의 통보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는 관계가 지속되기 위해서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당신이 우리 관계를 위해 담배를 끊거나 줄이도록 노력했으면 좋겠어요.” 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당신은 아기를 가지고 싶어 해야만 한다” 등의 최후의 통보는 도움이 되지 않을뿐더러 상처를 주고 죄책감을 갖게 한다. [15]
    • 몇몇 사람들은 오래된 습관을 바꾸는데 긴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어, 흡연자들은 담배를 끊기까지 몇 달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 상대방이 결연한 노력으로 그들의 습관을 고치기까지 시간을 주도록 한다.
  7. 만약 관계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믿을 만한 사람에게 당신의 감정과 생각을 이야기한다. 이는 당신의 감정에 대해 분석하고, 당신의 입장을 보다 명확히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사람이 당신의 파트너의 행동에 어느 정도 의견을 개진할 수도 있을 것이다. [16]
    • 믿을 만한 사람은 친구나 가족 혹은 상담사, 전문가 등이 될 수 있다.
    • 이 사람이 당신의 신뢰를 배신하거나 밖에서 당신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다니지 않도록 확실히 한다. 또한, 이 사람이 당신의 파트너를 당신과 다르지 않게 대하지 않는지도 확인해야 할 것이다. [17]
  8. 관계의 다양한 방향에 대해 고려하고, 이를 상대방과 상의하고, 만약 필요할 경우, 한 차례의 기회를 더 준 후라면 당신의 관계에 대한 최종의 결정을 내린다. [18] 이는 관계를 정리하고 정중하고 정직한 이별을 위한 계획을 세우기 시작하거나 혹은 관계를 회복하는데 초점을 맞추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19]
    • 당신의 결정은 다른 것이 아닌 오직 당신에게 최선의 방법이라는 것을 기억한다. [20]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관계를 끝내기

PDF 다운로드
  1. 직접 만나 이유를 이야기하며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가장 좋고, 정중한 방법이다. 이별의 과정을 보다 쉽게 하고, 방해를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조용하고 둘만이 있을 수 있는 장소에서 시간을 잡도록 한다. [21] .
    • 상대방이 이별 후 남들에게 얼굴을 곧장 보일 일이 없이, 혼자 슬퍼할 수 있도록 일이나 수업이 있지 않는 날에 약속을 잡는 것을 고려해본다. [22]
    • 상대방이 마음의 준비를 하고, 너무 갑작스럽지 않도록 이것이 이별에 관한 대화일 것이라고 어느 정도 눈치를 챌 수 있도록 한다. [23] 예를 들어, “우리 관계에 대해 어디서 조용히 이야기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할 수 있다.
  2. 자신과 상대방이 난처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사람이 없는 데서 대화를 나누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화가 오래 끌어지거나,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쉽게 떠날 수 있는 장소를 선택하도록 한다. [24]
    • 만약 상대방과 있는 것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되면, 공공장소에서 헤어지거나, 상대방을 마주하지 않고 당신을 도와줄 수 있는 사람과 동행한다.
    • 만약 상대방과 동거를 하고 있다면, 이별은 특히나 곤욕스럽고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당신이 이별 후 곧장 이사를 가는가 아니면 천천히 이사를 가는가는 당신에게 달려있다.
    • 만약 지금 상대방과 같이 사는 것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거나 불편하다면, 당분간 지낼 곳을 마련하도록 한다. 상대방이 없는 사이에 짐을 모두 옮겨두고, 상대방이 돌아왔을 때 헤어지거나 혹은 헤어진 후 짐을 일부 들고 떠난 후 조금 진정이 된 후에 돌아와 나머지 짐을 가져가도록 한다.
  3. 상대방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를 생각한다. 대화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기초적인 계획을 준비하는 것은 지나치게 감정적이게 되지 않도록 도와주고, 대화가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도와준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도와줄 것이다. [25]
    • 상대방과 헤어질 때 실제로 나누게 되는 대화는 생각보다 길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상대방이 당신의 결정에 충격을 받거나, 완전히 놀랐을 때 더욱 그렇다. 대화가 같은 내용이 반복될 수 있으므로, 시간 제한을 두는 것도 생각해 보도록 한다. [26]
    • 상대방에게 솔직하되, 나쁘고 잔인하지는 않도록 한다. 헤어지고 싶은 이유를 이야기하면서 동시에 상대방의 좋은 점과 당신이 처음 매력을 느꼈던 점 등을 이야기 해줄 수 있다. [27]
    • 예를 들어, “우리가 처음 만났을 때는 당신의 활발하고 착한 성격에 끌렸지만, 우리는 삶에 있어 서로 목표가 다르고, 연인으로써 계속 지속하기 힘들 것 같다”라고 말할 수 있다.
  4. 비록, 상대방의 눈을 직접 마주치지 않고 헤어지는 것이 더 쉽겠지만, 전화나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으로 이별을 통보하는 것은 너무 냉정하고 무례한 짓이다. 장거리 연애로 상대방을 다시 볼 때 까지 기다릴 수 없다거나, 상대방을 만나기가 두려운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접 만나도록 하여, 상대방—그리고 그 연애 관계—가 받을 만한 최소한의 존중을 표하도록 하자. [28]
    • 직접 만나서 헤어지는 것은 상대방에게 당신이 정말 진지하게 이별하고 싶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29]
  5. 상대방과 앉아 당신이 이별을 결심했다고 통보한다. 이별의 과정을 단호하면서도 최대한 차분하고 정중하게 접근한다면, 이 안 좋은 상황을 조금이나마 덜 부정적이고 덜 충격적이게 만들 수 있다. [30]
    • 상대방을 비방하거나 나중에 후회할 말을 하지 않도록 한다. 이런 것들은 결국 다시 돌아와 당신에게 해를 끼칠 것이다. [31] 예를 들어, “나는 너가 위생적으로 더럽고, 너와 같이 있으면 역겨워.” 라고 말하기 보단, “나는 우리의 생활 방식이 너무 달라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해.”라고 말할 수 있다.
    • 가능한 한 지나치게 감정적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당신이 갖고 있을 수 있는 죄책감을 최대한 줄여주고, 당신의 결정이 흔들리지 않도록 도와준다. [32]
    • “당신은 많은 장점이 있는 좋은 사람이고, 누군가를 분명 행복하게 만들어 줄 것이지만, 내가 원하는 관계와는 너무 달라 같이 갈 수 없다.”라고 말할 수 있다.
  6. 상대방의 잘못을 지적하기 보단, 관계에서 무엇이 문제였는지를 이야기하도록 한다. 상대방 개인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은 이러한 충격적인 이별의 과정을 보다 더 악화할 뿐이다. [33]
    • 예를 들어, “너는 너무 집착이 심하고 불안해 해,”라고 말하기 보단 “나는 연애 관계에서 보다 자유롭고 독립적이고 싶다”라고 말하도록 한다. [34]
    • 상대방에게 이별의 이유를 전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너는 더 좋은 사람을 만나야 해”와 같은 말은 상대방에게 당신이 충분히 좋은 사람이며 헤어질 이유가 없다고 말할 기회를 주게 된다. [35] 대신에 “우리는 삶에서 다른 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해. 나는 여행을 많이 하고,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한 커리어를 원해.”라고 말할 수 있다.
  7. 여지가 있을 수 있는 말이나 단어는 상대방에게 다시 만날 수 있다는 헛된 희망을 심어주게 된다. 상대방에게 이러한 헛된 희망을 심어주는 것은 그를 더 힘들게 만들 뿐이다. [36]
    • “나중에 더 이야기하자” “나는 친구로 남고 싶다/너를 내 삶에서 아예 잃고 싶지는 않다”와 같은 말들은 당신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더라도 상대방에게는 나중에 다시 회복할 수 있다는 여지를 준다. [37]
    • 상대방에게 앞으로 연락을 하지 않는 것이 둘 모두를 위해 최선의 방법일 것이라고 부드럽게 이야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8]
    • 만약, 상대방과 친구로 남고 싶다면, 대화할 때 이에 관한 한도를 정하도록 한다. 둘 다 헤어지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앞으로 친구로 지내는 것에 대한 기대와 필요성에 대해 명확하게 하도록 한다.
  8. [39] 상대방의 반박, 반응 그리고 감정의 표현에 대처할 것을 준비하도록 한다. 이는 당신의 결심을 유지하고, 상대방에 의해 결정이 바뀌는 일이 없도록 도와준다. 아래와 같은 것을 준비한다:
    • 질문. 상대방은 아마도 당신이 왜 그와 더 이상 같이 있고 싶지 않으며, 헤어지지 않기 위해 어떤 것을 할 수 있었는지를 물어볼 것이다. 최대한 정직하게 답하도록 한다. [40]
    • 울음. 상대방이 속상하고 슬픔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달래줄 수는 있지만, 당신의 결정을 바꾸지 않도록 한다. [41]
    • 반박. 이별의 과정에서 상대방이 당신이 이별의 이유로 내세웠던 것들을 분석하는 등 당신이 말하는 것에 반박할 수 있다. 크게 보았을 때 별일 아닌 작은 것을 이유로 논쟁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대방에게 반박을 하여도 당신의 결정이 변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게 한다. 만약 상대방이 계속해서 따지려고 하면, “나는 당신과 논쟁을 하지 않을 것이고, 계속 그러면 떠날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 타협 혹은 부탁. 상대방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변하겠다고 할 수 있다. 만약 과거에 이미 변하기로 했던 문제가 그대로라면, 상대방이 진정으로 변하기를 기대하기엔 너무 늦었다.
    • 질책. 상대방이 자신의 기분을 낫게 하고 당신을 화나게 하기 위해 상처 주는 말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당신에게 욕을 한다면, 인정하고 넘어간다. 당신은 “나는 너가 나에게 매우 화가 났다는 것은 알지만, 나는 이러한 욕설을 참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대화를 이제 끝내는 것이 좋겠다.”라고 말할 수 있다. 신체적인 위협이나 폭력은 매우 심각하다. 만약 그런 일이 생긴다면 곧장 떠난다.
  9. 이것이 아마도 이별의 과정에서 가장 어렵지만 중요한 부분일 것이다. 전 애인이나 그의 친구들에게 연락을 자제하도록 하여 죄책감을 최대한 줄이고, 헛된 희망을 심어주지 않도록 한다.
    • 만약 둘 사이에 자식이 있다면, 상대방과 거리를 두는 것이 불가능 할 수 있다. 둘간의 관계를 최대한 의무에 국한하고, 자식의 안녕을 우선으로 둔다.
    • 핸드폰과 컴퓨터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이메일을 지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 만약 같이 산다면, 최대한 빨리 이사 가도록 한다. 만약 영구적으로 이사할 수 없다면, 당신의 물건을 보관하고, 당신이 머물 수 있는 장소를 찾도록 한다. “물건”들이 뒤섞인 복잡한 관계를 끄는 것은 이 과정을 너무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 시간이 좀 지나면, 상대방과 다시 친구로 지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친구관계와 향후 관계의 명확한 한도를 정하도록 한다.
    전문가 팁

    Moshe Ratson, MFT, PCC

    결혼 & 가정 치료사
    모셰 랏슨은 뉴욕에 위치한 코칭 & 상담 클리닉인 spiral2grow Marriage & Family Therapy의 대표이사다. 이오나 칼리지에서 결혼 & 가정 상담학 석사를 받았으며 10년 이상 상담을 해왔다.
    Moshe Ratson, MFT, PCC
    결혼 & 가정 치료사

    전문가 조언: 무언가를 판단하려하지 말고 이별에 대한 슬픔을 그대로 받아들이세요. 더 빨리 감정을 받아들일수록 더 빨리 아픔을 이겨낼 수 있어요. 자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미, 목표, 배움을 찾고 새롭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광고

  • 정말로 상대방과 헤어지고 싶다면, 최대한 빨리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하지만, 상대방이 힘든 날을 보냈다면, 더 나을 때까지 기다려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상대방이 힘들 때 헤어지는 것은 이를 더 어렵게 만들 뿐이다.
  • 순간적인 감정에 의해 헤어지지 않는다. 만약 관계가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망가져있는 상태라면, 논쟁이 끝나고 화가 풀려도 이는 변하지 않을 것이다. 둘 다 모두 차분할 때 헤어지도록 하고, 차분하게 이야기하도록 한다. 그 때가 관계를 마무리하기에 가장 훌륭한 시간이다.
광고

주의사항

  • 연애 관계에서의 신체적 위협이나 폭력 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런 상황에서 빠져 나오도록 하고, 필요하다면 경찰에게 연락을 하도록 한다.


  1.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pieces-mind/201502/deciding-leave-relationship
  2.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pieces-mind/201502/deciding-leave-relationship
  3.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4.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pieces-mind/201502/deciding-leave-relationship
  5. https://docs.google.com/document/d/1I79TsZtWbACaCxi3jm2_2Efq0JfcrmrFE9heU7rwcN0/edit?usp=drivesdk
  6.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compassion-matters/201404/5-rules-more-trustworthy-relationship
  7.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8.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9.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10.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11.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pieces-mind/201502/deciding-leave-relationship
  12.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pieces-mind/201502/deciding-leave-relationship
  13.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14.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15.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16.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17.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18.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19.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20.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21.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22.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23.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24.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25.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26.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27.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28.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29. http://www.huffingtonpost.com/phoebe-fox/how-to-break-up-with-a-really-nice-guy_b_7615572.html
  30. http://cmhc.utexas.edu/fightingfair.html
  31.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32. http://kidshealth.org/teen/your_mind/problems/break-up.html#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52,95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