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황달은 고빌리루빈혈증이라고도 불리며, 영유아에게 자주 발생하지만, 성인에게도 나타나는 질병이다. 황달은 담즙 구성성분인 빌리루빈 수치가 높을 때 유발된다. [1] 이 질병에 걸리면 피부, 눈 흰자위 그리고 점막 등이 노랗게 변한다. [2] 황달이 위험한 질병은 아니지만, 치료가 요구되는 원질환의 징후일 가능성이 있다. [3]

파트 1
파트 1 의 2:

의학적 치료를 받기

PDF 다운로드
  1. 당신 또는 자녀에게 황달 증상이 나타난다면, 가능한 한 빨리 의사를 찾아가도록 하자. 황달 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을지도 모르지만, 그 증상을 일으키는 원질환이 있는 경우라면 반드시 치료가 요구된다. [4] 성인에게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황달 증상들은 다음과 같다.
  2. 어린이와 영유아도 황달을 앓을 수 있다. 황달은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데, 2주 이내에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6] 하지만, 영유아의 황달 증상이 심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7] [8]
    • 어린이 또는 영유아의 황달을 확인하려면 피부색과 눈 흰자위에 노르스름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본다.
    • 어린이 또는 영유아가 황달을 앓는다면 곧바로 의사에게 연락하도록 하자.
  3. 성인은 치료가 요구되는 원질환으로 인해서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의사가 황달 증세를 유발하는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 검사를 시행하고, 그에 따른 치료계획을 세울 것이다. 황달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CT촬영, 심지어 간 조직검사를 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일반적으로 황달을 일으키는 질환들은 다음과 같다.
    • A형 간염
    • 만성 B형 간염과 C형 간염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al) 감염 또는 전염성 단핵구증
    • 폭음
    • 자가면역 질환 또는 유전자 질환
    • 담석증
    • 쓸개 염증
    • 쓸개암
    • 췌장염
    • 아세트아미노펜, 페니실린, 경구 피임약, 스테로이드와 같은 특정한 의약품에 의해서도 황달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9]
    • 의사는 타박상, 거미혈관종, 수장홍반과 같은 간질환의 징후를 살펴보고, 빌리루빈 수치를 알아보기 위한 소변검사를 통해서 황달을 진단한다. 확진하기 위해 촬영이나 간 조직검사를 할 가능성도 있다. [10]
  4. 의사가 황달을 유발하는 원질환을 확인했다면, 관련이 있는 다른 건강문제들이 사라지는 살펴보기 위해서 원질환을 치료할 것이다. 원질환과 합병증을 치료하면 황달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11]
  5. 대부분의 경우, 치료를 받지 않아도 황달은 사라질 것이다. 특히, 원질환으로 인해 황달이 발생한 경우라면, 앞서 말한 치료가 당신에게 가장 좋은 선택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반드시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12]
  6. 황달에 걸리고 가려움 증상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가려움이 심해서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그 증상을 가라앉히기 위해 콜레스티라민과 같은 약을 복용해야 한다. [13]
    • 콜레스타민은 간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함으로써 효과를 나타낸다. [14]
    • 이 약의 부작용으로는 복통, 소화불량, 메스꺼움, 고창, 변비 등이 있다. [15]
  7. 황달은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며, 성인과 마찬가지로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다. [16] 하지만, 의사가 아기에게 황달 진단을 내렸다면, 증상을 가라앉히기 위해서 다음 치료방법들 중 한 가지를 제안할 것이다.
    • 광선을 이용하여 과도한 빌리루빈 수치를 낮추는 광선요법
    • 황달을 일으키는 항체를 감소시키는 정맥 면역글로블린 치료
    • 소량의 혈액을 빼내고 빌리루빈 수치를 낮추는 교환수혈. 교환수혈 방법은 신생아 황달이 매우 심한 경우에만 사용된다. [17]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황달 예방하기

PDF 다운로드
  1. 성인에게 있어서 황달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들 중 하나는 바로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이다. 가능한 한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간염뿐만 아니라, 황달에 걸릴 위험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18]
  2. 간은 알코올을 분해하고 황달을 일으키는 근원이므로, 일일 권장 음주량을 지켜야 한다. 이것은 황달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간경화증과 같은 술로 인한 간질환도 예방할 수 있다. [26]
    • 여성의 일일 권장 음주량은 2~3잔이고, 남성은 3~4잔 정도 마시는 것이 적당하다. [27]
    • 참고로 와인 한 병의 분량은 9~10잔이다. [28]
  3. 전반적인 건강이 증진되도록 정상범위의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면 간 건강을 지키는데도 도움이 되며, 결과적으로 황달을 예방할 수 있다. [29]
    •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면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기 쉽다. 영양소가 풍부하고 적당한 지방과 복합 탄수화물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 활동량에 따라서 매일 약 1,800~2,200 칼로리의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통곡물, 과일, 야채, 유제품, 단백질 식품과 같은 영양소가 풍부한 자연식품에서 칼로리를 섭취해야 한다. [30]
    • 운동은 체중 유지와 전반적인 건강 증진을 위해서 중요하다.
    • 충격이 적고 적당한 강도의 심혈관 건강을 위한 활동들에 매일 참여한다. [31] 일주일에 거의 매일 적어도 30분 동안 운동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32]
  4. 적정수준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유지하면 황달 예방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을 지키는데도 도움이 된다.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또는 약 처방을 통해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할 수 있다. [33]
    • 수용성 식이섬유, 건강한 지방,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식품들을 더 많이 섭취하면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살코기, 저지방 유제품, 올리브 오일, 연어, 아몬드, 오트밀, 렌틸콩, 야채와 같은 식품들은 이 세가지 영양소들을 함유하고 있다. [34]
    • 식단에서 트랜스지방 함유량을 줄이거나 없앤다. 트랜스지방은 건강에 해로운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증가시킨다. 튀긴 음식과 제빵식품, 쿠키, 크래커 등 가공식품들의 섭취량을 제한하거나 중단하는 것이 콜레스테롤 수치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35]
    • 하루에 30분 동안 운동을 하면 몸에 좋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한다. [36]
    • 금연하면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한다는 근거들이 있다. [37]
  5. 하루 동안 아기가 충분한 양의 음식물을 섭취했는지 확인하도록 하자. 이것은 영유아 황달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38]
  6. [39]
    광고
  1.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_conditions/hic-Adult-Jaundice-Hyperbilirubinemia
  2.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_conditions/hic-Adult-Jaundice-Hyperbilirubinemia
  3.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_conditions/hic-Adult-Jaundice-Hyperbilirubinemia
  4.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_conditions/hic-Adult-Jaundice-Hyperbilirubinemia
  5. http://livertox.nih.gov/Cholestyramine.htm
  6. http://livertox.nih.gov/Cholestyramine.htm
  7.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nfant-jaundice/basics/definition/con-20019637
  8.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nfant-jaundice/basics/definition/con-20019637
  9.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_conditions/hic-Adult-Jaundice-Hyperbilirubinemia
  10.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patitis-a/basics/prevention/con-20022163
  11.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patitis-a/basics/causes/con-20022163
  12.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patitis-a/basics/causes/con-20022163
  13.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patitis-a/basics/prevention/con-20022163
  14.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patitis-a/basics/prevention/con-20022163
  15.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patitis-a/basics/prevention/con-20022163
  16.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patitis-a/basics/prevention/con-20022163
  17.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_conditions/hic-Adult-Jaundice-Hyperbilirubinemia
  18. http://www.drinksmarter.org/what-is-sensible-drinking
  19. http://www.drinksmarter.org/what-is-sensible-drinking/it-all-adds-up
  20.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_conditions/hic-Adult-Jaundice-Hyperbilirubinemia
  21. http://www.eatright.org/resource/food/nutrition/dietary-guidelines-and-myplate/healthy-eating-for-women
  22.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_conditions/hic-Adult-Jaundice-Hyperbilirubinemia
  23. http://orthoinfo.aaos.org/topic.cfm?topic=a00531
  24.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_conditions/hic-Adult-Jaundice-Hyperbilirubinemia
  25.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igh-blood-cholesterol/in-depth/reduce-cholesterol/art-20045935
  26.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igh-blood-cholesterol/in-depth/reduce-cholesterol/art-20045935
  27.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igh-blood-cholesterol/in-depth/reduce-cholesterol/art-20045935
  28.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igh-blood-cholesterol/in-depth/reduce-cholesterol/art-20045935
  29.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nfant-jaundice/basics/prevention/con-20019637
  30.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nfant-jaundice/basics/prevention/con-20019637
  31.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nfant-jaundice/basics/prevention/con-20019637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81,798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