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고양이가 필요한 체내 수분보다 더 적게 섭취하게 되면 탈수 증상이 나타난다. 충분히 사료나 물을 섭취하지 않거나 과열, 구토, 설사 등 다양한 이유로 탈수에 이르게 된다. [1] 고양이의 채내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체온을 유지하고 배변 활동을 하거나 체내 혈액 순환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받게 되므로 탈수 증상은 매우 위험하다. 초기 탈수 증상을 알아 두어 빠르게 조치를 취할수록 고양이가 더 빠르고 쉽게 건강 회복할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2:

고양이의 탈수 증상 확인하기

PDF 다운로드
  1. 증상에 따라 고양이의 나이와 건강 상태에 상관없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내출혈이 의심되거나 화상, 중상 및 경상, 심각하거나 오랜 구토 및 설사,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식욕부진 (성묘 혹은 12개월 이상의 고양이), 구강 호흡, 심한 열 등의 증상이 보이면 바로 병원을 찾도록 한다. [2]
  2. 탈수 초기에는 사실 눈에 띄는 증상이 업어 탈수 증상을 못 보고 지나칠 수 있다. 그리고 고양이가 최소 4-5%의 체내 수분을 잃는 탈수가 오기 전까지는 신체적인 증상이나 특징들을 감지하기가 어렵다. [3] 증상이 애매모호하기 때문에 매일 고양이가 섭취하는 물의 양을 관찰해보자. 만약 전혀 물을 먹지 않거나 물의 섭취량이 줄어들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 직장이나 여행 등의 이유로 오래 집을 비워야 한다면 고양이가 물을 쉽게 마실 수 있도록 주변에 충분한 물을 두고 집을 나서야 한다.
  3. 고양이가 탈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한 가지 방법은 잇몸을 확인하는 것이다. 손가락으로 고양이의 윗입술 살짝 들어올려 잇몸을 확인한다. 수분 보충이 잘 된 고양이라면 잇몸이 마르지 않고 촉촉하고, 탈수가 진행되었다면 잇몸이 마르기 시작한다. 만약 고양이의 잇몸이 촉촉하지 않고 끈적인다면 탈수가 진행되었다는 뜻이다.
    • 잇몸이 마른 것처럼 느껴진다면, 다른 증상에 따라 어느 정도 탈수가 진행된 상태거나 심각한 상태이다. 대개 6-7% 까지 탈수가 진행되지 않는 이상 잇몸이 건조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4]
    • 고양이의 잇몸을 확인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들어 올려 잇몸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금방 마르기 때문에 빠르게 잇몸을 바로 확인해야 한다.
    • 잇몸이 마르고 끈적이거나 진단이 힘들 때는 좀 더 면밀하게 진단해야 탈수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
  4. 모세혈관 재 충만 시간은 잇몸의 위치한 작은 모세 혈관에 다시 혈액이 들어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한다. 탈수는 혈액의 양을 줄여 탈수 증상이 있는 고양이의 경우 이 시간이 더욱 길다. [5] 모세 혈관 재 충만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손가락으로 고양이의 잇몸을 꾹 누른다. 그러면 손가락으로 누른 부분만 하얗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만약 이런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면 좀 더 세게 눌러본다. 다시 손가락을 떼고 하얗게 변했던 부분에 다시 혈기가 돌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재면 된다.
    • 건강하고 수분 섭취가 잘 된 고양이라면 2초 이내 색이 원래대로 돌아온다.
    • 경미한 탈수 증상이 있는 고양이는 그보다 조금 더 오래 걸리며 심각한 탈수 증상이 있는 경우 잇몸의 색이 다시 돌아오기까지 눈에 띄게 오랜 시간이 걸린다.
    • 모세 혈관 재 충만 시간을 확인하는 것은 경미한 탈수 증상의 경우 거의 눈에 띄는 차이가 보이지 않으므로, 잇몸의 색이 다시 돌아오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 이미 중간 정도나 심각한 정도의 탈수가 진행되었다는 뜻으로 병원 진료를 받도록 한다.
    • 이미 손가락을 누르기도 전에 잇몸의 색이 창백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색이 하얗거나 창백한 잇몸은 탈수보다 더욱 심각한 건강의 이상이 있을 수도 있어 위험하다. [6]
  5. 초기 탈수 증상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피부가 탄력을 조금 잃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고양이의 등이나 가슴 쪽의 피부 탄력을 확인해보자. 이 때 목 뒤쪽의 피부는 두꺼워 확인이 힘드니 피한다. 두 손가락으로 피부를 잡았다가 손가락을 다시 풀고, 손가락으로 잡았던 피부가 다시 돌아오는 탄력이 어떤지 확인한다.
    • 건강하고 수분 섭취가 잘 된 고양이는 그렇지 않은 고양이에 비해 피부의 탄력이 좋아 손가락으로 잡았던 피부가 즉시 원래대로 회복된다.
    • 중간 정도 혹은 심각한 탈수가 진행된 고양이는 피부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는 것이 눈에 띄게 느리고 그 정도가 극심한 경우 피부가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고 손가락으로 잡았던 모양이 그대로 남을 수도 있다. [7]
    • 이러한 방법들로 진단했을 때 결과가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꼭 명심한다. 고령의 혹은 쇠약한 동물들은 나이가 어린 동물들에 비해 피부 탄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양이의 나이에 따라 수분 섭취가 잘 되었더라도 노화로 인해 탄력이 떨어져 피부가 금새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 [8] Kittens under 6 weeks of age have less skin elasticity than adult cats. [9] 과체중인 동물들은 피하 지방이 많아 눈에 띄는 탄력의 저하가 보이지 않더라도 탈수가 진행되고 있을 수도 있다. [10]
  6. 고양이의 눈은 수분 섭취 상태가 어떤지에 관해 많은 것을 알려준다. 건강은 양호하나 눈이 움푹 들어가거나 퀭한 상태라면 중간 정도의 탈수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하지만 알아두어야 할 점은 살이 없고 마른 고양이, 특히 나이가 많거나 만성적인 질병이 있는 고양이는 일반적으로 눈이 움푹 꺼질 수 있다. [11]
    • 심각할 정도로 눈이 움푹 꺼지고 말라보이는 눈은 심각한 탈수를 나타내는 중상일 수도 있다. 탈수가 심하면 눈꺼풀이 순막 (새, 악어 등의 눈꺼풀 안쪽에 있는 제3의 눈꺼풀)이 보이기도 한다. [12]
    • 눈이 건조해 보이거나, 퀭하게 꺼지거나 혹은 순막이 돌출되어 보이면 병원을 찾아 수의사의 진찰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7. 고양이의 발바닥을 만졌을 때 차갑다면 중간 정도 및 심각한 탈수를 뜻한다. [13] 발바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양이를 조심스럽게 들어올려 손바닥에 고양이 발을 올리고 온도를 체크해본다. 일반적인 온도로 느껴진다면 경미하거나 심각하지 않은 정도의 탈수일 수 있다. 반대로 발바닥의 온도가 시원한 정도에서 차갑기까지 하다면 심각한 탈수 증상이므로 즉시 병원에 데려간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진단 및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고양이가 탈수 증상을 보인다면 동물 병원을 찾아야 한다. 고양이가 탈수 증상을 보이면 최대한 빨리 수의사에게 진찰을 받게 하도록 하며 초기에 빨리 병원을 찾을수록 치료가 수월해진다. 중간 정도 및 심각한 탈수가 진행이 된 것으로 의심되거나 고양이가 무엇에도 반응이 없고 무기력하다면 즉시 병원에 데려간다.
    • 수의사에게 응급 상황이라고 알려 진찰을 좀 더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심각한 탈수 증상은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험하다.
    • 고양이의 신체 검사 및 병원 진료 기록과 함께 탈수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의사는 고양이를 검진을 하고 결과에 따른 치료를 진행할 것이다.
  2. 신체 검사 뿐만 아니라 고양이의 탈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혈액을 검사하는 농축세포용적 (PCV) 등 기본적인 검진을 할 것이다. 만약 농축세포용적이 일반 수치보다 더 높으면 탈수가 진행되었다고 진단을 내린다. [14]
    • 수의사는 또한 소변 검사를 하여 농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대개 동물들이 탈수가 오면 신장에서 수분의 배출을 막기 위해 소변의 농도를 진하게 만든다. 만약 고양이가 신장 관련 질병이 있거나 호르몬의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면, 탈수 증세가 있다고 할지라도 소변이 제대로 농축되지 않아 확인이 힘들 수도 있다. [15]
    • 탈수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것에 따라 그 외 다른 검사들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3. 수의사에게 진찰을 받은 후에는 대략 탈수의 진행 정도와 치료에 대해 안내를 받는다. 심각하거나 어느 정도 진행된 탈수의 경우 가장 좋은 방법은 정맥 주사를 맞는 것이다. 그리고 탈수의 원인을 파악하여 다시 탈수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 정도가 심각한 탈수의 경우 즉각적이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회복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4. 탈수 초기에는 증상이 눈에 띄지 않아 알아차리기 힘들 수 있어 다시 탈수가 재발하지 않도록 탈수와 관련된 위험 요소들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잘 먹지 않거나 물을 마시지 않는 것, 소변의 양이 지나치게 많거나, 구토 및 설사 증상, 화상 및 기타 피부 손상, 내부 및 외부의 출혈, 과열, 내출혈 및 혈관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유체의 변화 등은 탈수를 유발할 수 있다.
    • 아프거나 쇠약한 고양이 그리고 어린 고양이들은 특히 위와 같은 원인에 취약하다. 만약 고양이가 쇠약 하거나 어리다면 위와 같이 탈수를 야기하는 증상들이 나타나지 않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이들은 항상 조심해야 하는 증상들이며 바로 병원을 찾아 전문의의 진찰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16]
  5. 탈수는 특정한 의학적 그리고 환경적 조건에 따라 더 잘 발생할 수 있 있어 위와 같은 문제가 있는 고양이는 탈수의 가능성이 더욱 크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탈수 초기 증상들이 보이지 않는지 고양이를 세밀히 관찰해봐야 한다. 신장의 문제, 당뇨, 갑상선 기능 항진증, 심장 문제, 장염, 위장의 기생충, 각종 전염병 및 소모성 열사병을 포함한 문제가 있는 고양이들은 탈수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지 추가로 잘 살펴보도록 한다.
    광고

  • 고양이가 항상 깨끗하고 신선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한다.
  • 건사료는 충분한 수분이 부족하므로 캔 사료나 신선한 사료를 준비해 먹인다. [17]
광고

출처

  1. Helio A. de Morias, Dennis J. Chew, Catherine W. Cohn and Stephen P. DiBartola, "Disorders of Fluid Balance, Fluid Therapy and Transfusion Therapy." In Quick Reference to Veterinary Medicine, Edited by William R. Fenner.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2. Helio A. de Morias, Dennis J. Chew, Catherine W. Cohn and Stephen P. DiBartola, "Disorders of Fluid Balance, Fluid Therapy and Transfusion Therapy." In Quick Reference to Veterinary Medicine, Edited by William R. Fenner.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3. http://www.merckvetmanual.com/mvm/emergency_medicine_and_critical_care/fluid_therapy/the_fluid_resuscitation_plan.html
  4. http://www.merckvetmanual.com/mvm/emergency_medicine_and_critical_care/fluid_therapy/the_fluid_resuscitation_plan.html
  5. Victoria Aspinall and Richard Aspinall. Clinical Procedures in Small Animal Veterinary Practice. Gloucester, UK: 2013.
  6. Victoria Aspinall and Richard Aspinall. Clinical Procedures in Small Animal Veterinary Practice. Gloucester, UK: 2013.
  7. http://www.veterinarypartner.com/Content.plx?P=A&A=292&S=0&EVetID=0
  8. Victoria Aspinall and Richard Aspinall. Clinical Procedures in Small Animal Veterinary Practice. Gloucester, UK: 2013.
  9. https://www.vetlearn.com/_preview?_cms.fe.previewId=308c2f60-d966-11e0-9094-0050568d3693
  1. Victoria Aspinall and Richard Aspinall. Clinical Procedures in Small Animal Veterinary Practice. Gloucester, UK: 2013.
  2. http://www.merckvetmanual.com/mvm/emergency_medicine_and_critical_care/fluid_therapy/the_fluid_resuscitation_plan.html
  3. Victoria Aspinall and Richard Aspinall. Clinical Procedures in Small Animal Veterinary Practice. Gloucester, UK: 2013.
  4. Victoria Aspinall and Richard Aspinall. Clinical Procedures in Small Animal Veterinary Practice. Gloucester, UK: 2013.
  5. Victoria Aspinall and Richard Aspinall. Clinical Procedures in Small Animal Veterinary Practice. Gloucester, UK: 2013.
  6. Victoria Aspinall and Richard Aspinall. Clinical Procedures in Small Animal Veterinary Practice. Gloucester, UK: 2013.
  7. Helio A. de Morias, Dennis J. Chew, Catherine W. Cohn and Stephen P. DiBartola, "Disorders of Fluid Balance, Fluid Therapy and Transfusion Therapy." In Quick Reference to Veterinary Medicine, Edited by William R. Fenner.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8. http://www.veterinarypartner.com/Content.plx?A=3041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32,415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