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이 위키하우에서는 레딧(Reddit)에 글과 답글을 통해 업보트(upvote)를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다른 레딧 유저들이 나의 글에 업보트를 눌러주면, 카르마를 받을 수 있다. 특정 서브레딧에 접근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카르마가 필요한 경우도 있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카르마는 자부심 포인트 정도의 역할만 하는 편이다.

  1. 1
    카르마 알아보기. 카르마는 페이스북의 "좋아요"와 비슷한 기능인 업보트를 받았을 때 생기는 포인트이다. 하나의 업보트마다 대략 하나의 카르마가 생성되며, 다운보트를 받으면 카르마 포인트가 깎인다. [1]
  2. 글의 종류에 따라서 카르마의 종류도 달라진다: [2]
    • 포스트 카르마 – 외부 링크나 텍스트만 있는 글을 올린 후, 업보트를 받으면 "포스트" 카르마를 받을 수 있다.
    • 코멘트 카르마 – 존재하는 글이나 링크에 작성한 코멘트에 업보트를 받으면, "코멘트" 카르마를 받을 수 있다.
  3. 3
    r/AskReddit, r/pics, 혹은 r/funny처럼 백만명 이상의 구독자가 있는 큰 규모의 서브레딧을 이용하기. 시간별 탑 포스트, 인기 상승 포스트, 새로운 포스트에 답글을 남겨보자. 이렇게 하면 나의 글이 묻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4. 처음 시작할 때 나의 코멘트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다른 유저가 남긴 글에 생각을 자극하는 코멘트나 이미지를 남기는 것이다. 재치있는 말로 코멘트를 남겼을 때 카르마를 많이 받을 수 있지만, 일반 상식이나 이야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이 방법으로 한 번에 많은 카르마 포인트를 얻기는 힘들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카르마가 많이 쌓이는 동시에 참여도가 높은 유저 지위를 얻을 수 있다.
  5. 레딧의 전반적인 콘텐츠 베이스에 가치를 더해주는 링크나 코멘트를 더할 수 있도록 한다. 레딧의 규칙("레디켓"이라고도 알려져 있다)에 어긋나는 글을 올리면, 다운보트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3]
    • 또한 레딧의 이용 약관을 위반하면 다운보트 외에도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이용 약관은 위반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매너 있는 태도를 유지한다면, 비평을 하는 것도 괜찮다. 하지만 매우 정중한 글일지라도 유머 글이라면 비평 코멘트 달아도 무방하다.
  6. 레딧은 주제에 관계없이 주제를 확장시켜서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는 커뮤니티이다. 충분히 연구되고 짜여진 내용의 글을 올리면, 업보트를 아주 많이 받지 않더라도, 다른 유저들이 들여다볼만한 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 더 많은 유저들이 나의 포스트 내용을 가치있게 생각할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글을 읽게 되기 때문에, 업보트를 받을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진다.
  7. 대화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가면, 대화의 내용도 방대해지고, 나의 답변에 따라 업보트도 받을 수 있다. 다만,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다른 사람들과 의견 차이가 보여도 괜찮지만, 정중한 태도로 현명한 반대 의견을 펼치도록 하자.
    • 아무리 옳은 의견일지라도 부정적이거나 도발적인 코멘트를 다는 행동도 다운보트로 이어질 수 있다.
  8. 탑 코멘트가 될 것 같은 코멘트가 생성된 직후, 해당 코멘트에 나의 코멘트를 달면 "카르마 폭탄"을 생성할 수 있다. 내가 코멘트를 달은 상위 코멘트가 많은 업보트를 받으면, 이 코멘트와 근접한 나의 코멘트도 업보트를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
    • 이 전략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 어떤 코멘트가 유저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구분하는 능력은 시간과 연습이 뒷받침되면 점차적으로 향상된다.
    • 위험률이 높지만, 그만큼 결과도 큰 전략이다: 코멘트에 부정적인 의견이 달리고, 다운보트를 받으면 이 여파가 나의 코멘트에까지도 미칠 수 있다.
  9. 링크에 내가 직접 이름을 붙일 수 있기 때문에, 제목 내용이 글의 분위기를 좌우할 수 있다.
    • 제목에 유머를 활용해보자. 재치 있고 놀라움을 줄 수 있는 포스트가 업보트를 더 많이 받는다.
  10. 다른 SNS 플랫폼과 마찬가지로, 유저들은 시각 자료를 선호한다. 창의적이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제목을 선정하고, 여기에 시각 자료들을 더해주면, 유저들의 관심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런 관심이 업보트로 이어질 수 있다.
    광고

  • 포스트 아이디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다면, 현재 일어난 현상을 새롭고 다양한 각도에서, 또는 나만의 눈으로 바라보자.
  • 레딧은 주로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유저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 레딧의 분위기가 나의 관심사에 대한 포스트 게시를 주저하도록 만드는 방해물이 되지 않아야겠지만, 성별이나 성 정체성, 혹은 종교와 같은 주제를 다룰 때 글의 어조에 주의해야 할 수 있다.
  • 사이트에 익숙해지자. 레딧 유저들은 종종 이전 포스트 자료를 링크하거나 인용하는데, 인용하는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면 다운보트를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빈(Kevin); "오늘은 너, 내일은 나(Today you, tomorrow me)"; 감자를 모르는 척하는 이야기 등이 자주 반복되는 대상으로 활용된다.
  • 업보트나 다운보트 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보트 퍼징(vote fuzzing)에 대해 알아보자. 가끔 그림자 추방(포스트, 코멘트, 업보트나 다운보트는 가능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이런 활동들이 노출되지 않음)되는 경우도 있다. 레딧은 유저들이 자신이 그림자 추방이 되었는지 알지 못하도록 업보트나 다운보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그림자 추방이 되어도 총 카르마 포인트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영화나 책, 줄거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미디어 정보를 게시할 때 “스포일러” 태그를 제목에 달아보자.
광고

경고

  • 업보트를 절대로 요청하지 않는다.
  • 부적절한 콘텐츠라면, NSFW (직장에서 보기 적합하지 않음) 태그를 달아야 한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4,41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