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누군가와 대화를 하는 도중 혹은 대화를 시작하려고 할 때, 상대방이 나와 이야기하고 싶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들이 있다. 상대방이 피곤하거나, 나를 좋아하지 않거나, 혹은 개인적인 대화에 내가 참여했기 때문 등등, 여러 가지 원인에 따라 나와 이야기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상대방의 보디랭귀지를 읽고 상대방이 이야기를 전달하는 패턴에 주의를 기울인 결과 나와의 대화를 원하지 않는 것 같다고 판단했다면, 정중하게 자리를 떠나야 하는 이유를 이야기하고 대화를 종료하도록 하자.

파트 1
파트 1 의 3:

보디랭귀지와 대화 패턴을 살피기

PDF 다운로드
  1. 문자를 주고받거나 SNS에서 소통할 때는 영상 통화를 하지 않는 이상 상대방의 보디랭귀지를 읽거나 목소리 톤을 들을 수 없다. 상대방의 반응을 살펴보고, 답장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통해 상대방이 나와 대화를 하고 싶은 여부를 판단해보자.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혹은 왓츠앱에서 “읽음” 표시를 살펴보자. 상대방이 답변을 하기까지 오래 걸리거나, 답변을 하지 않으면 나와 대화하고 싶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상대방이 바쁘거나 답변하길 잊어버릴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이를 단정 지을 수 없다.
    • 메시지를 보냈을 때 상대의 상태가 오프라인으로 변경되는지 살펴보자. 상대방이 나와 이야기하고 싶지 않음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단순히 그녀가 바쁘기 때문일 수도 있다.
    • 상대방의 답변을 살펴보기. 상대방이 “응,” “그래” 등으로 짧은 답변만 한다면, 더 이상 대화에 흥미가 없거나 나와 대화하고 싶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2. 대화를 나눌 때 상대방의 어조를 통해 상대방의 기분을 읽을 수 있다. 대화의 톤에 따라 상대방이 대화에 흥미가 없음을 감지했다면, 품격을 갖춘 상태로 대화를 종료한다. [1] 어조와 관련한 다음 질문에 답을 해보자:
    • 내가 무슨 말을 하면 상대방이 짜증을 느끼는가?
    • 상대방이 답변을 할 때 피곤함 혹은 지루함의 기색이 느껴지는가?
    • 상대방이 대화를 나눌 때 즐거움 혹은 흥미를 느끼는가?
    • 내가 하는 모든 말에 상대방이 꼬투리를 잡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가? [2]
  3. 상대방이 나와 대화하고 싶지 않은 느낌이 들 때, 누가 대화를 이끌고 있는지 살펴보자. 대화를 이끄는 사람을 확인하면, 상대방이 대화를 이어가고 싶은 여부를 확인하고 대화를 종료할 수 있다.
    • 대화 상대보다 내가 말을 더 많이 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상대방이 더 이상 대화에 관심이 없다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
    • 상대방의 대화 참여도가 높아지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잠시 나의 말 하는 빈도를 줄여보자. 상대방이 이야기를 시작했다면, 대화할 의사가 있으나 내가 너무 많은 말을 하기 때문에 대화하기 어려웠기 때문일 수 있다.
    • 그룹에 두 명 이상의 사람들이 있을 때 내가 대화에 참여된 상태인지 살펴보자. 그렇지 않다면, 말을 던져보고 상대방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한다.
  4. 상대방이 나의 질문과 말에 답하는 방법을 통해 대화 의사가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답변이 돌아오는 경우, 상대방이 나와 대화하고 싶지 않거나 대화가 지루하게 느껴짐을 의미한다:
    • “아 정말,” “맞아,” 혹은 “그러네” 등의 성의 없는 답변이 돌아오는 경우.
    • “오늘 정말 춥네”라고 말했을 때 나의 표현을 그대로 가져다가 “응, 추워”라고 말하는 경우. [3]
    • 나의 질문과 답변을 무시하는 경우.
    • “아니” 혹은 “응”처럼 간단하게 한 마디 혹은 닫힌 답변을 하는 경우. 고개만 끄덕이는 행동도 대화하고 싶지 않음을 의미한다.
  5. 눈은 사람의 영혼을 들여다 보는 창이라는 표현이 있다.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의 눈을 살펴보면 상대방의 대화 의사 구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신호가 보이면 상대방의 대화 의사가 없음을 의미한다:
    • 바닥을 바라보는 행동
    • 주변 공간을 여기저기 바라보는 행동
    • 시계를 바라보는 행동. [4]
    • 눈을 게슴츠레하게 뜨는 행동. [5]
  6. 상대방의 눈이 대화의 참여도를 나타내는 것처럼, 몸도 이런 신호를 줄 수 있다. 상대방의 서 있는 자세를 통해 대화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보자. [6]
    • 상대방이 나의 자세를 따라 하거나, 상대방의 몸이 나의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지 살펴보자. 이런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상대방이 대화에 관심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7]
    • 상대방이 내가 있는 곳을 바라보는지 살펴보자. 그렇지 않다면, 대화에 관심이 없음을 의미한다. [8]
    • 상대방의 발이 나를 바라보고 있다면, 대화에 흥미를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 나와 상대방 사이의 거리를 살펴보자. 상대방이 나와 근접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지 않는다면, 대화하길 원치 않기 때문일 수 있다. [9]
  7. 보디랭귀지에 상대방의 대화에 대한 생각이 묻어 나올 수 있다. 나와 대화하고 싶지 않음을 알리는 몇 가지 보디랭귀지 예시를 살펴보자:
    • 경직되고 움직이지 않는 자세
    • 경직된 어깨 [10]
    • 가슴 위로 팔짱을 낀 자세
    • 목을 만지거나 셔츠의 깃을 만지는 행동
    • 꼼지락거리거나 낙서를 하는 행동.
    • 하품. [11]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정중하게 자리에서 일어나기

PDF 다운로드
  1. 상대방이 아무하고도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거나, 바쁘거나, 개인 일상에 많은 일들이 일어나는 시기일 수 있다. 당황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화를 내지 않으며, 이해하는 자세로 정중하게 자리에서 일어나면 나와 상대방이 모두 어색한 대화의 주고받음을 모면할 수 있다. [12]
    • 상대방에게 나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도록 최선을 다한다.
  2. 화장실을 가거나 전화를 받는 등, 대화를 종료할 수 있는 여러 이유들을 활용해보자. [13]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면, 긍정적인 분위기로 “쉽게” 대화를 종료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자. [14]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참조해보자:
    • 술 한 잔을 더 가지고 오기 위해 자리를 뜨기.
    • 중요한 통화를 해야 한다고 하기.
    • 화장실에 가기.
    • 컨디션이 좋지 않아서 바깥바람을 쐬고 싶다고 하기. [15]
  3. 자연스럽게 대화가 중단되면, 이를 계기로 대화를 종료한다. [16] 이렇게 하면 긍정적인 분위기에서 대화를 마칠 수 있다.
    • 공간에서 무언가를 “상기시키는” 사물을 찾아보자. 예를 들어, 공간에 있는 시계 혹은 손목시계를 바라보면서 “시간이 이렇게 늦었는지 몰랐네요. 아이가 일찍 자야하니 저도 서둘러서 가봐야겠어요,” 등으로 얘기해보자.
    • 내가 대화 자리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대화에 대신 참여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이 있는지 살펴보자. [17]
    • 대화가 잠잠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대화를 종료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보자. 예를 들어, “오늘 이야기를 나눠서 즐거웠지만, 내일 오전에 이른 회의가 있어서 이만 가봐야겠어요” 등으로 마무리해보자. [18]
  4. 상대방을 위하는 것처럼 대화를 종료하는 것 같은 느낌을 주면, 진전이 없는 대화를 쉽게 마무리할 수 있다. “제가 시간을 많이 빼앗는 것 같네요” 등의 전략적인 언급을 통해 대화를 마무리한다. [19]
    • “다른 사람들이랑도 대화를 나누실 수 있도록 이만 일어나 볼게요” 등의 표현도 좋다. [20]
    • 나의 어조와 보디랭귀지를 최대한 진심처럼 보이도록 유지하자. [21]
    • 이런 방법을 너무 많이 활용하면 거짓된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한다. [22]
  5. 상대방의 연락처를 물어보면 자연스럽게 대화가 종료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즐거운 대화를 나누었으며 더 많은 정보를 위해 추후에 연락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을 찾아보자. [23]
    • 상대방의 사업, 학업, 혹은 관심사에 대한 세세한 질문을 한다. “그 분야에 대해 더 알고 싶은데,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연락처나 명함을 받을 수 있을까요?” 등으로 물어보자.
    • 상대방이 주는 정보를 다시 한번 살펴보는 예의를 갖추도록 하자. [24]
    • 상대방에게 도움을 권해보자. “오늘 대화가 정말 즐거웠고, 하시는 일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것도 좋았어요. 혹시 제가 해드릴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라고 이야기해보자. [25]
    • 아직 잘 모르는 사람과 이야기를 나눌 때 이런 방법을 사용한다.
  6. 상대방이 나와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는 사실을 파악했다면, 처음 대화를 시작하게 되었던 주제로 다시 돌아가서 대화를 종료할 방법을 찾아보자. 상대방을 통해 알게 된 사항을 반복하고,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하다는 의사를 표한다. [26]
    • 최대한 자연스럽게 대화가 넘어갈 수 있도록 해보자. 대화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관련된 주제에 대한 질문을 하며 대화를 마무리할 방법을 찾아보자. [27]
  7. 상대방이 대화를 하고 싶지 않으며 무례하게 행동하더라도, 예의를 갖추고 긍정적으로 대화를 마무리하자. [28] 대화가 흥미롭지 않았더라도 대화를 즐겁게 했음을 상대방이 알 수 있도록 하고, 시간을 내주어서 고맙다고 표현한다. [29]
    • “미안하지만 이만 일어나 보아야겠어요. 오늘 대화는 정말 즐거웠어요. 철수씨, 도움 되는 조언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등으로 마무리한다.
    • 마지막 인사를 할 때 상대방의 이름을 추가하면, 예의 갖춘 모습을 보이고 그들을 기억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30]
    • “식초보다 꿀로 더 많은 벌을 유인할 수 있다”라는 표현처럼 긍정적인 어조를 유지하자.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다시 대화를 이어가기

PDF 다운로드
  1. 상대방이 나와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확실하지 않다면, 상대방이 휴일을 보내고 있을 지 기억해보자. 그러면 상대방이 휴일을 보내고 있는 것인지, 나와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은 것인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대화를 마무리한 후 며칠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연락을 해보자. 상대방이 당시 해결해야 했던 문제를 마무리했을 수 있고, 나에게 느꼈던 분노의 감정이 사그라들었을 수 있다.
  2. 문자, 이메일, SNS, 전화 등으로 연락을 해보자. 혹은 상대방의 사무실이나 학교를 찾아도 좋다. 새로운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 문을 열 수 있으며, 상대방이 나와 정말 대화를 하고 싶은지 확인할 수도 있다.
    • 메시지는 짧고 친근하게 마무리하자. 지난번의 대화가 즐거웠음을 강조한다. [31] 예를 들어, “지난번에 정말 즐거웠어요. 별일 없죠? 언제 커피 한 잔 마시면서 이야기 나눌까요?” 등으로 문자를 보내보자.
    • 너무 길게 문자를 하거나, 문자를 많이 보내지 않는다. 간단한 메시지에 따른 상대방의 답변으로 상대방의 의사에 대한 단서를 확인할 수 있다.
  3. 상대방의 답변, 그리고 나의 메시지를 읽고 답변이 전달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확인해보자. 이런 단서들로 대화를 이어나가고 싶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상대방이 언제, 그리고 어떻게 답변하는지 알아보자. 상대방이 재빨리 “미안한데, 안될 것 같아요”라고 했다면 그녀가 나와 이야기하고 싶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친근하고 열의 있는 답변이 돌아왔다면 지난번에 대화를 나눌 때 상대방의 태도의 원인이 매우 힘겨운 하루였을 수 있다.
    • 답변의 횟수가 적다면, 상대방이 나와 이야기하고 싶지 않은 신호라고 볼 수 있다.
    • 상대방의 짜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화를 이어가는 문자는 보내지 않는다.
  4. 상대방의 반응이 미지근하거나 나와의 연락 빈도가 낮다면, 나와 이야기하고 싶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를 무시하고 연락을 지속하면 나와 상대방이 언짢음을 느낄 수 있으며, 나의 평판에 영향이 갈 가능성도 있다.
    • 메시지를 더 많이 보내거나, SNS에서 상대방을 언팔로우 혹은 친구 삭제를 하지 않는다. 상대방이 나와 이야기하고 싶지 않음을 내가 감지했다는 사실을 상대방이 알게 될 수 있다.
    • 상대방이 나에게 연락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대방에게 어떻게 답변할 것인지 결정하자. 상대방에게 또 한 번의 기회를 주어보자. 상대방이 나에게 친근하게 행동하지 않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친절을 베푸는 것은 언제나 기분 좋은 일이다.
    광고
  1. http://www.helpguide.org/articles/relationships/nonverbal-communication.htm
  2. http://changingminds.org/techniques/body/bored_body.htm
  3.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4. http://www.entrepreneur.com/article/238978
  5. http://www.entrepreneur.com/article/238978
  6. http://www.entrepreneur.com/article/238978
  7. http://www.entrepreneur.com/article/238978
  8. http://www.entrepreneur.com/article/238978
  9.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10.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11.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12.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13.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14.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15.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16. http://www.entrepreneur.com/article/238978
  17.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18.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19.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20.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21.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22. http://www.businessinsider.com/how-to-gracefully-exit-a-conversation-2014-7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1,379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