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신장 결석이 생기면 견딜만한 통증 내지 심각한 고통이 느껴진다. 하지만 다행히도 신장 결석이 영구적인 손상이나 합병증을 유발하는 일은 매우 드물다. [1] 불편하겠지만 신장 결석은 대부분 의학적인 치료를 받지 않고 몸 밖으로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물을 많이 마시고, 약으로 통증을 다스린다. 의사가 권고하면 요로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약을 복용한다. [2] 앞으로 신장 결석이 생길 위험을 낮추기 위해 염분 섭취를 제한하고, 저지방 식단을 하고, 의사가 권고하는 대로 식습관을 바꾼다.

방법 1
방법 1 의 3:

작은 신장 결석 배출시키기

PDF 다운로드
  1. 신장 결석의 증상으로는 옆구리, 등, 사타구니, 하복부에 찌르는 듯한 통증, 소변 시 통증, 뿌연 소변, 소변 불가 등을 꼽을 수 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병원을 찾는다. [3]
    • 의사들은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초음파, X선 촬영을 통해서 신장 결석 여부를 판단한다. 검사와 영상 스캔으로 결석의 종류, 크기, 저절로 몸 밖으로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지 여부를 알 수 있다.
  2. 물은 신장을 씻어내리고 결석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물 섭취량을 파악하기 위해 소변을 확인해본다. 소변이 연노란색이면 물을 충분히 마시고 있는 것이다. 소변이 색이 진하면 물이 부족한 상태이다. [4]
    • 계속 수분을 공급해주면 앞으로 결석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매일 물을 충분히 마셔주는 것이 중요하다.
    • 물이 가장 좋지만 진저 에일이나 100% 과일 주스를 적당히 마셔도 괜찮다. 자몽 주스나 크랜베리 주스는 신장 결석이 생길 위험을 높이므로 피한다. [5]
    • 카페인은 탈수 증세를 유발하므로 섭취하지 않거나 섭취를 제한한다. 커피, 차, 콜라 등은 하루에 1잔 이상 마시지 않는다. [6]
  3. 신장 결석은 대부분 의학적인 치료 없이도 사라지지만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은 여전히 고통스럽다. 통증을 달래기 위해 이부프로펜이나 아스피린 등 의사 처방 없이 구입 가능한 진통제를 복용한다. 라벨을 확인하고 권장량 만큼 복용한다. [7]
    • 의사 처방 없이 구입 가능한 진통제가 효과가 없으면 의사에게 약을 처방해달라고 한다. 필요한 경우 의사가 진통제(이부프로핀 등)를 처방해주거나 어떤 경우에는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해줄 것이다. [8]
    • 의사의 지시에 따라 처방약을 복용한다.
  4. 알파차단제는 요로의 근육을 이완시켜 한결 쉽게 신장 결석을 배출시켜 준다. 알파차단제는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구입할 수 있으며 보통 매일 같은 시간에 식후 30분 뒤 복용해야 한다. [9]
    • 부작용으로는 어지럼증, 현기증, 기운 없음, 설사, 실신 등을 들 수 있다. 침대에서 일어날 때나 일어설 때 천천히 움직이면 현기증과 실신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부작용이 계속되거나 심각하면 의사에게 이야기한다. [10]
  5. 의사가 소변을 컵에 받아 걸러서 결석을 가져오라고 할 수도 있다. 요로 폐쇄를 진단받았거나 신장 결석의 종류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결석을 모아야 한다. [11]
    • 신장 결석을 장기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결석의 종류와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효과적인 치료법을 내놓기 위해서 의사는 환자가 모아온 결석 샘플을 검사해봐야 한다.
    • 필요한 경우 의사가 환자에게 소변을 걸러 결석 샘플을 모아오는 데 필요한 도구를 주고 방법을 알려줄 것이다.
  6. 신장 결석이 몸 밖으로 배출되려면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달이 걸릴 수 있다. 그동안 의사의 지시에 따라 계속 약을 복용한다. 수분을 계속 섭취하고, 최대한 통증을 다스리고, 의사가 제안한 식단에 따른다. [12]
    • 작은 신장 결석이 몸 밖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리다 보면 답답해진다. 하지만 인내심을 발휘하자. 결석은 보통 저절로 배출되지만 의학적인 처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결석이 배출되기를 기다리는 동안 극심한 통증, 소변 불가, 혈뇨 등 증상이 심각해진다면 의사와 상의한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신장 결석 치료 받기

PDF 다운로드
  1. 심각한 증상으로는 혈뇨, 발열, 오한, 피부 변색, 등이나 허리에 극심한 통증, 구토, 소변 시 작열감 등이 있다. 작은 결석이 몸 밖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이런 심각한 증상 중 어느 것이라도 하나 나타난다면 의사에게 연락한다. [13]
    • 병원에 간 적이 없거나 신장 결석을 진단받지 않은 경우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치료를 받는다.
    • 병원에 가면 신장 결석을 찾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하거나 X-레이를 찍는다. 결석이 너무 커서 저절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 의사가 결석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치료 방법을 제시해줄 것이다.
  2. 의사가 결석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을 처방해줄 것이다. 예를 들어 구연산 칼륨은 가장 흔한 칼슘 결석을 관리할 때 사용된다. 요산 결석은 알로퓨리놀이라는 약으로 체네 요산 수치를 낮춘다. [14]
    • 부작용은 다양하며 배탈, 설사, 구역질, 졸음 등이 포함된다. 부작용이 계속되거나 심각한 경우 의사에 알린다. [15]
  3. 소화불량, 통풍, 신장 질환, 비만 등은 신장 결석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다. 앞으로 결석이 생길 위험을 낮추기 위해 기저질환 치료, 식습관 변화, 약으로 바꾸는 문제에 대해 의사와 상의한다. [16]
    • 스투루바이트 결석은 감염으로 인해 생기며, 이에 대해 의사가 항생제를 처방해줄 것이다. 지시대로 항생제를 복용하고 의사와 상의 없이 복용을 중단하지 않는다.
  4.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신장과 상부 요로에 위치한 커다란 결석을 제거할 때 사용한다. 기계에서 나온 초음파가 신체를 통과하면서 커다란 결석을 작게 부순다. [17]
    • 시술 동안 긴장을 풀거나 잠이 들도록 약을 준다. 1시간 가량 걸리며 회복하는 데 2시간 정도 걸린다. 대부분 시술 당일 퇴원한다.
    • 일상적인 활동을 다시 시작하기 전에 1-2일 동안 휴식을 취한다. 결석 조각이 배출되는 데 4-8주가 걸린다. 이 기간 동안 등이나 옆구리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구역질이 나거나, 소변에 피가 약간 섞여 나올 수 있다. [18]
  5. 하부 요로는 방광과 요도(소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관)를 포함한다. 얇은 특수 장비를 이용해 하부 요로에 있는 커다란 결석을 찾아 제거한다. [19]
    • 의사가 신장과 방광을 잇는 관에 있는 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방광경 검사와 비슷한 요관경 검사를 권하기도 한다. 결석이 너무 커서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레이저로 작게 부순다.
    • 방광경 검사와 요관경 검사는 보통 전신 마취를 한다. 즉 시술 동안 잠이 들게 된다. 대부분 시술 당일 퇴원한다.
    • 시술 후 첫 24시간 동안 소변을 볼 때 작열감이 느껴지고 소변에 소량의 피가 섞여 나온다. 이런 증상이 하루 이상 지속되면 의사에게 알린다. [20]
  6. 신장 결석은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매우 드물다. 하지만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없거나 효과가 없으면 수술을 해야 한다. 등을 작게 절개하고 여기를 통해 신장에 관을 삽입한다 결석은 레이저로 제거하거나 작게 부순다. [21]
    • 어떤 사람들은 신절석술(신장 결석 제거 수술의 전문 용어)을 받은 후 2-3일 이상 입원한다. 의사가 드레싱을 교환하는 방법, 절개한 자리를 관리하는 방법, 수술 후 휴식을 취하는 방법을 설명해 줄 것이다. [22]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신장 결석 예방하기

PDF 다운로드
  1. 의사가 특정 유형의 결석에 맞게 식습관을 바꾸라고 권고할 것이다.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고, 저지방 식단을 하고, 계속 수분을 섭취하는 것은 모든 유형의 결석에 해당된다. 하지만 특정 식품은 특정 유형의 신장 결석의 원인이다. [23]
    • 예를 들어 요산 결석이 있다면 청어, 정어리, 멸치, 내장육(간 등), 버섯, 아스파라거스, 시금치를 피해야 한다.
    • 칼슘 결석이 있다면 칼슘 보충제와 비타민 D 보충제를 먹지 말고, 칼슘이 풍부한 식품의 섭취를 하루에 2-3회로 제한하고, 칼슘이 들어있는 제산제를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 한 번 신장 결석이 생긴 사람은 나중에 결석이 다시 생길 위험이 높다. 신장 결석 환자 중 약 50%가 5-10년 이내에 신장 결석이 다시 생긴다. 하지만 예방 조치를 취하면 재발 위험을 낮출 수 있다. [24]
  2. 성인의 하루 나트륨 권장량은 2,300mg이지만 의사는 하루 1,500mg 섭취를 고수하라고 권할 것이다. 음식에 소금을 더 넣는 것을 피하고 요리할 때 사용하는 소금의 양을 제한한다. [25]
    • 소금 대신 생허브, 건허브, 감귤류 즙, 제스트로 음식의 맛을 낸다.
    • 음식은 사먹지 말고 가급적이면 직접 만들어 먹는다. 외식을 하면 음식에 들어가는 염분의 양을 조절할 수 없다.
    • 조제 육류와 가공 육류, 미리 양념한 육류를 피한다. 그리고 감자칩 등 짭짤한 스낵을 피한다. 가공식품을 먹기 전에 나트륨 함량을 확인한다.
  3. 물에 레몬즙을 짜서 마시거나 달지 않은 레모네이드를 하루에 한 잔 마신다. 레몬은 칼슘 결석을 분해하고 결석이 형성되는 것을 예방한다. [26]
    • 레몬은 요산 결석이 생길 위험도 낮추어준다.
    • 레모네이드 등 당분이 많이 들어있는 레몬 식품은 먹지 않는다. [27]
  4. 흰색 육류인 가금류와 계란 등 기름기 없는 동물성 식품이라면 적당히 먹어도 된다. 신장 결석이 생길 위험을 낮추기 위해 붉은색 육류의 기름기 많은 부위는 먹지 않는다. 콩, 렌틸, 견과류 등 식물성 식품을 통해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다. [28]
    • 요산 결석이 잘 생기는 체질이라면 한끼 당 육류를 85 g 이상 섭취하지 않는다. 의사가 요산 결석을 관리하기 위해 계란, 가금류 등 동물성 단백질 섭취를 전반적으로 줄이라고 권할 것이다. [29]
  5. 칼슘 결석이 있으면 칼슘은 전부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뼈를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여전히 칼슘을 섭취해야 하므로 우유, 치즈, 요거트 등을 하루에 2-3인분 먹는다. [30]
    • 칼슘 보충제, 비타민 D 보충제, 비타민 C 보충제를 복용하지 않는다. 칼슘이 들어있는 제산제 역시 복용하지 않는다.
  6. 하루에 30분 가량 운동을 한다. 전반적인 건강을 위해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하다. 특히 운동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빠르게 걷기와 자전거 타기 같은 운동이 좋다. [31]
    • 운동도 중요하지만 땀을 얼마나 흘리는지 주의를 기울인다. 땀을 많이 흘릴수록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 탈수 증세를 피하기 위해 격렬한 운동을 할 때, 날이 더울 때, 땀을 많이 흘릴 때마다 20분간격으로 물을 1컵 정도 마신다.
    광고

  • 앞으로 신장 결석이 생기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신장 결석 환자 중 절반이 나중에 다시 결석이 생긴다. [32]
광고
  1. https://medlineplus.gov/druginfo/meds/a698012.html
  2. https://medlineplus.gov/ency/patientinstructions/000135.htm
  3. https://www.health.harvard.edu/blog/5-things-can-help-take-pass-kidney-stones-2018030813363
  4.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0458.htm
  5.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0458.htm
  6. https://medlineplus.gov/druginfo/meds/a682673.html
  7.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urologic-diseases/kidney-stones/definition-facts#more-likely
  8.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7113.htm
  9. https://medlineplus.gov/ency/patientinstructions/000136.htm
  10. http://kidney.niddk.nih.gov/KUDiseases/pubs/stonesadults/index.aspx#treated
  11.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diagnostic-tests/cystoscopy-ureteroscopy
  12.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urologic-diseases/kidney-stones/treatment
  13. https://medlineplus.gov/ency/patientinstructions/000137.htm
  14. https://medlineplus.gov/ency/patientinstructions/000135.htm
  1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817324/
  16.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urologic-diseases/kidney-stones/eating-diet-nutrition#sodium
  17. https://www.health.harvard.edu/blog/5-things-can-help-take-pass-kidney-stones-2018030813363
  18. https://www.kidney.org/atoz/content/kidneystones_prevent
  19. https://medlineplus.gov/ency/patientinstructions/000135.htm
  20.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urologic-diseases/kidney-stones/eating-diet-nutrition#uric
  21. https://www.kidney.org/atoz/content/kidneystones_prevent
  22. https://www.kidney.org/atoz/content/kidneystones_prevent
  23.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kidney-stones/symptoms-causes/syc-20355755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2,904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