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이 글을 통해 심장비대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방법 1
방법 1 의 4:

심장비대증 감지하기

PDF 다운로드
  1. 심장비대증의 원인이 되는 여러 가지 질병이 있다. 심장판막증, 심근질환, 부정맥, 심장 근육 약화, 심장 주변의 체액, 고혈압, 폐고혈압 등이 심장비대증의 원인이다. 갑상선 질환이나 만성 빈혈을 앓은 후에도 심장비대증이 생길 수 있다. 여분의 철분이나 이상 단백질이 심장에 쌓였을 때도 심장비대증이 생긴다.
    • 심장비대증이 생기는 다른 원인도 있다. 임신, 비만, 영양실조, 스트레스, 특정 감염, 약물, 알코올 등 특정 독성 물질 섭취, 복용하는 약이 심장비대증을 야기할 수 있다. [1] [2]
  2. 고혈압, 막힌 동맥, 선천성 심장병, 심장판막증이 있거나 심장마비를 겪은 적이 있다면 심장비대증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심장비대증은 유전되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다면 심장비대증에 걸릴 위험이 높다.
  3. 병은 아니지만 심장비대증이 있을 때 보이는 증상이 있다. 심장비대증이 있으면 부정맥, 숨가쁨, 어지럼증, 기침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심장비대증의 근본적인 원인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4. 심장비대증은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킨다. 혈전과 심장마비에 더 민감해진다. 그리고 혈액이 흐르는 동안 마찰이 생기면서 심장 박동을 흐트러뜨리면서 심장에서 잡음이 계속 들린다.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심장비대증이 돌연사로 이어질 수 있다.
  5. 심장비대증 진단 방법은 여러 가지이다. 보통 심장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서 먼저 X선 촬영을 한다. X선 사진으로 잘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심초음파 검사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심장 스트레스 검사, CT 촬영, MRI 촬영을 할 수도 있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4:

생활방식 바꾸기

PDF 다운로드
  1. 주로 식단을 통해 심장비대증의 영향을 줄이고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한다. 포화지방, 나트륨,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을 먹어야 한다. 과일, 채소, 살코기, 건강에 좋은 단백질를 식단에 더 포함시킨다.
    • 매일 240ml 컵으로 6~8 잔 정도의 물을 마신다. [7] [8]
    • 콜레스테롤 수치, 나트륨 수치, 혈압을 낮추기 위해 생선, 잎채소, 과일, 콩을 더 먹는다.
    • 의사와 상의해서 자신의 상황에 가장 잘 맞는 식단을 짠다.
  2. 매일 운동을 한다. 기저질환에 따라 의사가 여러 가지 운동을 추천해줄 것이다. 심장이 너무 약해서 너무 부담을 받으면 안 될 경우에는 의사가 걷기, 수영 등 가벼운 유산소 운동과 심장 강화 운동을 권한다.
    • 체력이 붙거나 체중을 알맞게 감량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자전거 타기, 달리기 등 약간 더 강도가 높은 심장 강화 운동을 한다.
    • 특히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 올바른 식습관과 운동을 병행하면 체중을 감량할 수 있고 심장비대증의 근본적인 원인 중 대다수를 해결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된다. [9] [10]
  3. 심장비대증이라는 진단을 받으면 모두 고치거나 버려야 하는 나쁜 버릇이 있다. 특히 담배는 즉시 끊는다. 담배는 심장과 혈관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술과 카페인을 지나치게 섭취하는 것도 피해야 한다. 알코올과 카페인은 심장 박동을 불규칙하게 만들고 근육에 부담을 준다.
  4. 회복되는 동안 자주 병원에 가야 한다. 그렇게 하면 의사가 심장의 상태를 계속 면밀히 살펴볼 수 있고 환자에게 병세가 호전되었는지, 악화되었는지 알려줄 수 있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4:

시술과 수술 고려하기

PDF 다운로드
  1. 심장비대증이 심각한 심부전이나 부정맥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의사가 삽입형 심장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CD)을 권한다. 삽입형 심장 제세동기는 전기 충격을 통해 정상적인 심박동을 유지하는 성냥곽 크기의 의료기기이다.
  2. 판막이 제 기능을 못 해 심장비대증이 생긴 경우, 의사가 판막 대체 수술을 권한다. 좁아지거나 손상된 판막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수술이다.
    • 수술에 사용되는 판막은 장기 기증자, 소, 돼지로부터 얻는다. 인공 판막을 사용하기도 한다.
    • 판막 역류증, 즉 구멍 난 판막을 고치거나 교체하기 위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판막 역류증은 피가 판막으로 새어나가 역류하기 때문에 심장 비대증의 원인이 된다. [15]
  3. 심장비대증이 생긴 경우에는 치료를 위해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이나 관상동맥 우회술 필요하다. 심장비대증 때문에 심부전이 오는 경우에는 의사가 좌심실보조장치(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를 이식할 것을 권한다. 좌심실보조장치는 약한 심장이 제대로 뛸 수 있게 도와준다.
    • 좌심실보조장치는 장기적인 심부전 치료방법이자 심장 이식을 기다리는 동안 생명을 유지시킨다.
    • 심장비대증을 치료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은 심장이식이다. 다른 치료방법이 모두 효과가 없을 때 심장이식을 고려해본다. 심장을 이식 받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대기 기간이 몇 년이 걸릴 수도 있다. [16]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4:

약으로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심장비대증을 야기하는 병이 있을 경우에 의사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를 처방한다. 심장의 약한 근육이 약해서 병이 생겼다면 심장이 다시 정상적으로 뛰게 하는 데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가 도움이 된다.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는 혈압도 낮춰준다.
    •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에 거부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에게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를 처방한다. [17]
  2. 특히 심근증 때문에 심장비대증이 생긴 경우에는 의사가 이뇨제를 처방한다. 이뇨체는 체내의 수분과 나트륨 수치를 낮추고 심장 근육이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한다.
  3. 심장비대증의 주요 증상이 고혈압인 경우에는 의사가 베타 차단제를 처방한다. 이는 전반적인 컨디션에 달려있다. 베타 차단제는 혈압을 개선하고 부정맥을 완화하고 심박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 디곡신 등 다른 약도 심장의 펌핑 기능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된다. 이런 약은 심부전 때문에 병원에 입원하는 것을 막아준다. [19] [20]
  4. 심장비대증의 원인에 따라 의사가 병에 도움이 되는 다른 약을 처방해주기도 한다. 의사가 혈전이 생길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면 항응고제를 처방한다. 항응고제는 뇌졸중이나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혈전이 생길 위험을 낮추어준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85,07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