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살면서 해야 할 일 때문에 압박감을 느끼기 쉽다. 많은 사람들이 우선순위를 매기기 어려운 작은 의무들 때문에 인생을 피곤하게 살고 있다. 인생에서 해야 할 일을 정리하는 것은 내가 무엇을 진심으로 원하는지 깊게 생각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고 나면, 자신의 일상을 행복과 즐거움을 느끼도록 바꿀 수 있는 자유를 얻게 될 것이다.

파트 1
파트 1 의 3:

자신의 인생을 한 번 살펴보자

PDF 다운로드
  1. [1] 자신에게 제일 중요한 모습은? 자신이 세상에 내 놓을 수 있는 독특한 재능에 대해 알아야 인생에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알 수 있다. 몇 시간 정도 투자해서 자신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 나를 나답게 만드는 장소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무엇을 나를 이루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가장 좋아하는 자연 속의 장소에서 또는 나를 좋아해 주는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내 보자. 내가 온전한 내가 될 때 어떤 장점이 나타나는가?
    • 믿을만한 사람들에게 내 장점이 무엇인지 물어 보는 것도 좋다. 자기 자신의 장점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2. [2] 시간을 들여서 자신이 지금 해야 할 의무 중에 우선 순위에 있지 않은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자.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을 기록해보자. 그리고 이런 경험들을 가져다 줄 일들로 우선순위를 매기자. 기억해야 할 것은, 무엇이 가능하고 가능하지 않고를 생각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사는 것을 즐겁게 하는 것들을 기록해보자. 그렇게 해야 어떻게 소중한 것을 얻을지 전략을 떠올리기에 앞서 진정 소중한 것들이 무엇인지 알게 될 것이다. 목록을 짧고 보기 좋게 유지하자. 5개를 넘어 가지 말자.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을 해 보자.
    • 어떻게 인생을 살고 싶은가?
    • 건강하고 활기차고 싶은가?
    • 인생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더 깊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은가?
    • 10년 후에 자신에 대해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 [3] 평범한 하루를 보냈다면, 그 하루는 어떤 모습일까? 자신이 원하는 하루가 아니라 자신이 실제로 지키고 있는 하루 일정을 적어 봄으로써 자신의 우선 순위대로 살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 이제 일정을 가지고 있으니, 이 일정이 자신의 우선 순위와 잘 맞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자신이 무엇을 소중하게 여기는 지와 매일 하고 있는 것들을 연관 지을 수 있는가? 예를 들면, 아침에 건강에 좋은 식사를 하고 있다면, 건강한 몸과 마음을 유지한다는 우선 순위와 연관 지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시간을 보내는 것과 우선 순위가 맞지 않는다면, 일상 생활의 모습들을 많이 점검한 후 고칠 부분을 고쳐가야 할 것이다.
  4. 하루 일정을 다시 보도록 하자. 하고 있는 일들을 긴급한 것과 소중한 것으로 분류해 보자. 우리가 하는 모든 일에는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 그렇지 않았다면 아예 시작하지 않았을 것이다. [4] 긴급한 것이란 당장 압박을 받고 있고 "하지 않았을 때" 생길 결과를 피하기 위한 일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소중한 일들을 살펴 보자. 소중한 일이란, 그 일이 재미가 있거나, (작게라도) 자신의 우선 순위와 맞는 일일 것이다.
    • 예를 들어, 어머니께 전화드리는 종류의 일은 어디에 위치시켜야 할지 애매할 수 있다. 전화하지 않았을 때 어머니께 상처를 드릴까 봐 매일 전화 드리는가? 또는 가족이 우선 순위이고, 어머니와 이야기하는 것이 힘을 주기 때문인가? 전자라면 "긴급한 일"이고, 후자라면 "소중한 일"이다.
  5. 여기서 말하는 해야 할 일은 집세 내기, 식료품 구입 같은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일들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해주어야 할 것 같은 일들도 의미한다. 혼나거나 창피를 당할까봐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그런 일들이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뭔가 두려운 것이 있어서 하는 일이 무엇인지 알아 차리면, 우선 순위에 따라 하는 일들과 두려움, 긴급성, 의무감 때문에 하는 일이 무엇인지 구분할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 천천히, 언제 어떤 일을 해야 할지 결정하는 방법을 배우게 될 것이다. 지금은 우선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우선 순위에 따라 일을 할 시간이다.
    • 우선 순위와 가치를 지키기 위해, 해야 할 일들 중 변경하거나 나누어 보거나 다른이에게 위임할 수 있는 일이 있는지 알아 보자. 이모, 친구, 동료에게 해야할 일을 대신 해달라고 할 수 있는가? 또는 그 일이라는 것이 다른 사람의 몫일 수도 있다. 그 사람이 그 일에 책임을 지고 하게 만들자.
  6. 압박을 받지 않고 살고 싶거나 우선 순위가 무엇인지 헷갈린다면, 자신감과 창의력을 주는 사람들과 함께 지내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에 사람을 만날 때에는 누가 내게 힘을 주고 누구와 이야기하는 것이 잡일을 하는 것처럼 느껴지는지 살펴 보자. 이렇게 하면 누가 내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고 누구와 함께 보낼 때 힘이 나는지 또는 누구와 의무감 때문에 보내는지 판단하는 능력을 키우게 될 것이다.
    • "누구와 있으면 위축되는 것 같은가? 누구와 있을 때 내가 한 일들이 사소하다고 느껴지는가?"라고 스스로에게 물어 보자. 아마도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진정한 감정을 짓누르고 있거나 그것들을 소멸시키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어 놀라게 될 것이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관점을 바꾸자

PDF 다운로드
  1. 우리 삶은 함께 일하지만 다른 스타일과 우선 순위를 가진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하고 싶었던 대화를 다른 사람의 반응이 두려워서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는가? 다른 사람을 판단하거나 비난하지 말고 자신의 다른 점을 말해 보자. [5] 그리고 이런 차이점을 어떻게 염두에 두고 어떻게 계속 이야기할지 여러 가지로 생각해 보자. 가끔은 이런 차이점 덕택에 일상의 답답함이나 불만족스러운 감정에 대한 빠른 치료법을 발견할 수도 있다.
    • 예를 들면, 동료 중에 자신이 제일 싫어하는 서류 정리 업무를 떠 넘기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그 동료에게 서류 정리 때문에 힘들다고 이야기하고 그 부담을 함께 나눌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동료가 서류 정리하는 것을 잊어 버렸거나 그 일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를 몰랐을 수 있다. 어떤 경우든, 함께 일을 해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시간을 벌 수 있다.
  2. [6] 정기적으로 자신의 상황을 검토하고 자신의 우선 순위를 확인하는 시간을 갖자. 자신의 불안감과 인생의 방향에 대한 의문을 털어 놓을 수 있는 친구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고 상상을 해보자. 자신이 스스로에게 그런 친구가 될 수 있다. 자신을 그렇게 친절히, 이해심을 가지고 대한다면, 다른 사람보다 훨씬 더 자신에 대해 많이 이해하고 자신과 더 가깝게 지낼 수 있을 것이다.
    • 밖에서 홀로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좋다. 가능하다면, 가까운 공원이나 집에 뒤뜰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 보자. 그렇게 하면, 주위에 해야 할 일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자연을 느긋하게 감상할 수 있다.
  3. [7] 인식하지 못하는 새, 많은 사람들이 "나는 이건 못해", "나는 충분히 잘하지 못하고 있어" 같은 생각을 자주 한다. 자신이 스스로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쓸모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면, 힘을 주는 문장을 이용해 반론을 제기해 보자.
    • 수업 시간에 길고 어려운 문제 앞에 놓여있다고 생각하자. 마음속에서 "이미 많이 뒤쳐졌기 때문에 넌 할 수 없어"라는 목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다. 이 목소리에게 "나는 압박 속에서도 제대로 일할 수 있다.", "주제에 상관없이 나는 적절한 답을 쓸 줄 안다" 같은 반박을 해주자.
  4. [8] 과거의 후회와 과거에 대한 분노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인생의 문제를 정리할 수 없다. 가능하다면, 사이가 좋지 않았던 사람들과 화해를 하도록 하자. 이들은 몇 년 동안 보지 않았던 부모나, 싸우고 헤어진 친구일 수 있다. 승진하지 못해서 자신에게 실망하고 화가 난 상태라면, 변화하는데 필요한 힘이 부족할 수 있다.
    • 화해를 할 때, 그 당시의 일 때문에 시간을 끌며 대립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화해의 당사자와의 해결되지 않았던 문제가 있었다는 사실과 그들을 존중하면서 자신의 인생에서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점을 그들이 알게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경험을 통해 얻게 된 교훈들에 대한 감사를 표하면 된다. 가볍게 이메일을 작성해 과거의 상황을 어떻게 자신의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지 보여 주도록 하자. 이 일들이 정리되고 나면 마음의 평화가 올 것이다.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변화를 위한 준비

PDF 다운로드
  1. [9] 할 일 목록을 만들면 혼란과 압박의 감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얼마나 일을 해야 하는지 시각적으로 보여 주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하루의 할 일 목록을 보면서 시작하면, 오늘 해야 할 일 중에 재조정해야 하는 일이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다. 해야 할 일 목록을 볼 때, 중요하거나 자신의 행복과 관련된 일을 우선적으로 하고, 긴급하다고 생각하는 일을 그 다음에 처리하도록 하자.
    • 예를 들어, 4일 내로 내야 할 세금이 있다고 하자. 그런데 마을 산책하기가 할 일 목록에 있다고 하자. 세금을 내는 것이 스트레스를 해소해 줄 것은 자명하다. 끝내야 할 의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이 마감일이 아니기 때문에 그 일을 끝내야할 기간 안에만 하면 된다. 몸을 움직이고 원기 회복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2. [10] 집, 회사 등에서 깔끔하고 열린 공간을 만들면 일을 마치는데 필요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기분을 줄 수 있다. 위에서 아래로 청소를 하자. 망가진 물건을 치워 버리는데 주저하지 말고 불필요한 것들은 기부하자. 서랍에 넣어 둔 못 쓰는 종이, 영수증은 재활용하고, 컴퓨터 파일들도 정리하자. 옛날 이메일, 메모, 연락 내용처럼 무의미한 것들은 지우자. 이렇게 하면 다시 힘이 나고 새로운 가능성에 눈을 뜨게 될 것이다.
  3. 연구에 따르면 며칠 동안 잠을 잘 못 자면, 많은 사람들이 기분이 나쁘다고 느끼고 나쁜 감정을 통제할 능력이 감소한다고 한다. [11] 다시 말하면, 잠을 덜 잤을 때 자신의 우선 순위를 먼저 처리해 나가면서 자신이 가진 최고의 모습에 도달하는 것에 소극적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 하루에 7-8시간씩 잘 수 없다면, 잠을 잘 못 잤을 때 짧게 낮잠을 자는 것을 추천한다. 수면 습관에 대해 검색해 보고 공부해 보자.
  4. 인생의 문제들을 정리한다는 것은 먹는 것과 먹는 습관을 바꾸는 것도 포함한다. 자신의 요리 능력을 키우고 요리하는 것을 즐기지 않는다면, 음식을 준비하거나 구매할 때 필요한 습관을 기르도록 하자. 언제 무엇을 먹고 싶은 지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없도록 하자.
    • 언제나 빨리 한 끼를 마치거나 건강에 좋은 간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필요한 항목을 정리해 놓자. 신뢰할만한 목록을 가지고 있으면, 적게 먹거나 많이 먹어서 오는 스트레스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5. 운동을 하면 엔도르핀, 아드레날린 등의 화학 물질을 발산해 긴장을 풀어 주고, 나른한 기분을 몰아낸다. [12] 어떻게 몸을 움직이든지에 상관없이 운동을 하면 몸의 기능이 활성화되며 감정적으로 좋아진다. 체조, 웨이트 트레이닝, 심혈관 운동 등을 해보자. [13]
    • 자신의 우선 순위를 지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정도로 운동을 하지는 말자. 목표는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을 정도의 운동을 하는 것이지 자신이 원하지 않는 또 하나의 의무를 지는 것이 아니다. 근력이 인생의 우선 순위가 아니라면 웨이트 트레이닝보다는 가볍게 걷는 것이 좋다.
  6.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거나 TV를 너무 많이 보는가? 이런 습관이 문제가 아니라, 이 습관들을 어떻게 활용하는가가 자신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를 보여 준다. 이런 습관이 자신의 일상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면, 그것들을 끊지 않고도 좀 더 책임감 있게 일을 할 수 있다. 술을 마시러 갈 때 "이 일이 내 우선 순위를 이루는데 도움이 되는가?"라는 질문을 던져 보자.
    • 답이 꼭 "아니요"는 아닐 것이다. 함께 할만한 가치가 있는 친구나 가족과 와인 한 잔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술 마시는 것은 해야 할 일 목록을 마치는데 또는 무엇이 중요한지 판단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광고
  1.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the-new-you/201504/the-psychology-spring-cleaning
  2. Baum, K. T., Desai, A., Field, J., Miller, L. E., Rausch, J. and Beebe, D. W. (2014), Sleep restriction worsens mood and emotion regul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5: 180–190.
  3. http://www.nhs.uk/conditions/stress-anxiety-depression/pages/run-to-boost-mood.aspx
  4. http://www.dartmouth.edu/~eap/Healthy%20Exchange%20PDFSummer%2008.pdf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7,696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