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일반적인 혈액은 엉기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특정 의학적 문제로 인해 혈액이 혈관 내에서 응고해 혈전이 생긴다면 뇌졸중, 심계항진, 혈전증, 심잘 마비, 고혈압 등의 심각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혈액 희석제로 불리는 항응혈제를 대항책으로 떠올릴 수도 있겠지만 이 약은 실제로 혈액을 묽게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응고하는 것만을 막아주며 의사에게 처방전까지 받아야 한다. 대표적으로는 와파린이 있는데, 이 약은 비타민 K(혈액 응고에 필수적이다) 길항제에 속한다. 만약 의사가 와파린의 처방이 필요치 않다고 판단했다면 이 글의 자연 요법을 사용해 혈액을 희석해볼 수 있을 것이다.

방법 1
방법 1 의 2:

혈전이 생기는 것 방지하기

PDF 다운로드
  1. 혈액을 실제로 희석하기 전에 먼저 의사와 상의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혈액의 희석 또는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것이 대량의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혈액을 묽게 만들어주는 제품과 식품들이 다른 약들과 부정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저 질환이 있다면 그 질환을 고려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 확실한 혈액 희석제만 복용해야 안전할 것이다.
  2. 나토키나아제는 혈액 응고 과정에 작용하는 단백질인 피브린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나토키나아제는 삶은 대두를 발효 숙성시켜 만든 일본의 발효 식품 낫토에서 생기는 것으로 뛰어난 혈액 희석제로 쓰일 수 있다. 나토키나아제는 혈액 응고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체내 물질인 피브리노겐의 수치를 줄여준다. [1]
    • 출혈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피브리노겐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 피브리노겐이 혈액을 "끈적거리게" 만들 수 있다.
    • 끈적거리는 혈액은 엉겨서 뭉치기가 더 쉽다.
    • 나토키나아제는 빈속에만 복용해야 한다.
    • 복용을 한다면 매일 100~300mg를 복용하도록 한다. [2]
    • 출혈이 아주 쉽게 발생하는 체질이거나 최근에 출혈성 궤양, 뇌졸중, 심장 마비, 수술 등을 겪었다면 나토키나아제를 복용해선 안 된다. [3]
    • 나토키나아제는 수술을 받기 2주 전부터 복용을 멈춰야 한다.
  3. 브로멜라인은 혈소판 응집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브로멜라인은 파인애플에서 발견되는 효소로 피브리노겐 합성을 억제하는데 이외에도 직접적으로 피브린과 피브리노겐 수치를 낮추고, 과도한 혈소판 응집력을 줄여 혈액 희석제로 작용하기도 한다. [4]
    • 일일 복용량은 500~600mg이다. [5]
    • 절대 다른 혈액 희석제와 브로멜라인 보조제를 같이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과다 출혈의 위험이 있다. [6]
    • 브로멜라인은 파인애플의 모든 부분에서 발견되지만 과일을 먹는 것이 혈액 건강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7]
  4. 마늘은 잘 알려진 천연 혈액 희석제이다. 마늘은 혈관의 플라크 침착을 줄여 고혈압과 심장 마비의 위험을 낮춰준다. 또한 마늘에는 알리신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감소시켜준다. [8]
    • 마늘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은 활성화 산소의 해로운 작용을 막아준다. [9]
    • 마늘을 하루에 한 쪽만 복용하도록 하자.
  5. 혈소판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일 충분한 양의 비타민 E와 마그네슘을 복용하도록 하자. 비타민 E는 강력한 혈액 희석제로 혈소판 응집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혈전 형성에 필수적인 단백질 생성을 억제한다. [10]
    • 혈액 희석 효과를 보려면 매일 15mg의 비타민 E를 복용하도록 하자.
    • 비타민 E는 간, 밀 배아, 계란, 암녹색 잎채소, 땅콩, 아몬드, 헤이즐넛, 아보카도, 시금치 등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11]
    • 마그네슘은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의 산소 포화도를 증가시킨다. [12]
  6. 식단에 양파를 더 넣어 혈소판 응집을 방지하도록 하자. 양파에는 아데노신이라는 항응혈 성분이 들어 있다. 항응혈제는 혈액이 뭉쳐 응고되는 것을 방지한다. [13]
    • 양파의 효과를 가장 잘 보려면 생으로 먹는 것이 좋다. [14]
  7. 생강에 들어 있는 진저롤이라는 성분은 혈액 응고, 그리고 적혈구와 혈소판이 뭉치는 것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혈액을 희석한다. 또한 진저롤은 신체로 흡수되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최소화시킨다. [15]
    • 생강은 혈관 주변 근육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춰주기도 한다.
    • 생강을 생으로 씹어먹거나, 분말, 캡슐 형태로 섭취해보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생강 뿌리를 생으로 끓여서 먹는 것이다. [16]
    • 일부 연구에서는 생강의 섭취와 혈액 희석 효과 사이의 상관 관계가 드러났으나 아직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7]
  8. 먹는 음식에 강황만 넣어도 혈전을 방지할 수 있다. 강황은 요리할 때 쓰는 향신료이면서도 동시에 다양한 질환을 막아주는 자연 치료제이다. 특히 강황에 함유된 커큐민이라는 항응혈 성분은 혈소판끼리 응집하는 것을 막아 혈전이 생기지 않게 도와준다. [18]
    • 강황은 하루에 500mg에서 11g까지만 사용해야 한다. 커큐민은 항응혈제인 와파린과 비슷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강황을 다른 항응혈제와 같이 복용하지 않도록 하자.
    • 강황은 아무래도 서양식보다는 인도와 중동 음식에 많이 쓰인다.
  9. 규칙적인 운동은 체내의 비타민 K 수치를 낮춰준다. 특히 고강도 운동은 혈중 비타민 K 농도를 줄여주며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인자를 자극하는데 이 물질은 매우 강력한 항응혈 성분으로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한다. [19] [20]
    • 그래서 대부분의 운동 선수들은 비타민 K 결핍 증세를 보인다.
    • 수영, 에어로빅, 고강도 근력 운동 등을 통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보도록 하자.
    • 일주일에 3~4일은 운동을 하도록 하자.
    • 운동을 시작할 때는 5~10분의 준비 운동을 하고 30~45분의 유산소 운동으로 넘어가는 것이 좋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기타 방법으로 혈액 희석하기

PDF 다운로드
  1. 요리를 할 때 생선 제품을 넣으면 혈액 희석에 도움이 된다. 특히 기름진 생선에는 오메가-3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혈액 희석에 큰 도움이 되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낮춰준다. [21] 고등어, 멸치, 연어, 흰날개 다랑어, 송어, 청어 등을 먹어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해보자. [22]
    • 혈소판은 혈관벽에 달라붙어 혈전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은 혈소판의 이런 달라붙는 성질을 줄여준다. [23]
    • 오메가-3 지방산은 혈액 응고에 걸리는 시간을 증가시켜 갑작스러운 뇌졸중과 심장 마비를 방지한다. [24]
    • 출혈 또는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합병증 방지를 위해 저용량만 복용하는 것이 좋다.
    • 하루에 3g(3000mg) 이상의 생선 기름을 복용하는 것은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25]
  2. 혈액을 묽게 만들기 위해 콤부차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콤부차는 달콤한 녹차 또는 홍차를 박테리아와 이스트 덩어리로 약하게 발효시킨 것이다. [26] [27]
    • 콤부차는 의학적으로 그 효과가 증명되지는 않았다. [28] 하지만 많은 허브 학자들과 가정 요법 전문가들은 콤부차의 건강상 혜택을 강조하고 있다. [29]
    • 콤부차는 보통 가정에서 발효시키며 해가 될만한 일이 별로 없다. 사람들이 콤부차를 마셔 몸 상태가 안 좋아지는 것은 오염 물질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30]
    • 수술 한 주 전부터는 콤부차를 마시지 않거나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좋다.
    • 비슷하게 생리가 심한 편이라면 한 주 전부터 콤부차를 마시지 않도록 하자.
    • 콤부차의 부작용으로는 복부가스, 복통, 메스꺼움, 피로감, 여드름, 발진, 설사, 두통 등이 있다. [31]
  3. 올리브유는 올리브를 으깨거나 압착해서 얻는다. 올리브유에 함유된 폴리페놀이라는 성분은 항염증, 항산화, 항응혈제로 쓰이며 혈액 농도가 짙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32]
    •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은 첫 번째 압착을 통해서만 만들어진 미가공 오일이며 가장 맛도 좋고 식물 영양소와 항산화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4. 레드 와인은 프로안토시아니딘과 폴리페놀 등의 강한 혈액 희석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 성분들은 포도(보라색)의 검은색 색소에 들어 있으며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33]
    • 하루에 작은 포도 송이 하나를 먹거나 작은 와인잔에 와인 한 잔을 마셔보도록 하자.
    • 레드 와인의 효과에 대해 아직 논란이 일고 있긴 하다. 일부 과학자들은 레드 와인이 포도로 인해 건강에 도움이 되긴 하지만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적당히 마셔야만 효과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34]
    • 여성은 혈액 희석을 위해 하루에 한 잔, 남성은 두 잔까지를 마시도록 하자. 다만 모유 수유 중이거나 임신을 한 여성은 절대 알코올을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 하루에 위에서 언급한 것 이상의 알코올을 섭취하면 건강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5. 석류 주스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많이 들어 있으며, 석류는 혈류에도 좋다. [35] 또한 석류 주스는 최대 혈압을 낮춰주기도 한다.
    • 다만 석류가 자몽처럼 여러 약(와파린, ACE 억제제, 스타틴, 혈압 조절제)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니 먼저 의사와 상의해서 석류가 상호작용을 일으킬 위험이 없는 것을 확인하도록 하자.
    • 매일 석류 주스를 반 잔만 마셔보도록 하자.
  6.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탈수 증상을 겪게 된다. 탈수가 발생하면 혈액 농도가 진해져 혈전이 생기기 쉬워진다. 매일 최소 8잔의 물을 마셔 탈수를 방지하자. [36]
    광고

  • 이외에 혈액 희석 용도로 쓰일 수 있는 식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룸브로키나제, 빌베리, 셀러리, 크랜베리, 은행, 인삼, 녹차, 칠엽수, 감소, 니아신, 파파야, 붉은토끼풀, 대두, 세인트존스워트, 밀싹, 윌로우 껍질(아스피린의 원료).
  • 단삼과 피버퓨와 같은 허브 보조제도 혈액 희석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광고

경고

  • 아보카도, 코엔자임 Q10, 시금치와 같은 암녹색 잎채소, 알팔파, 캣츠클러(cat's claw) 등 혈액 응고를 방지해주는 보조제와 식품을 피하도록 하자.
광고
  1. https://umm.edu/health/medical/altmed/supplement/vitamin-e
  2. https://umm.edu/health/medical/altmed/supplement/vitamin-e
  3. http://www.magnesiumeducation.com/how-magnesium-works-why-it-is-important
  4. http://www.botanical-online.com/english/anticoagulants.htm
  5. http://www.botanical-online.com/english/anticoagulants.htm
  6. https://umm.edu/health/medical/altmed/herb/ginger
  7. https://umm.edu/health/medical/altmed/herb/ginger
  8. https://umm.edu/health/medical/altmed/herb/ginger
  9. http://www.ncbi.nlm.nih.gov/pubmed/22531131
  10. http://www.hsph.harvard.edu/nutritionsource/vitamin-k/
  11. http://www.integrativeoncology-essentials.com/2013/03/reduce-your-risk-of-blood-clots-without-a-prescription/
  12.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supplement/omega3-fatty-acids
  13.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supplement/omega3-fatty-acids
  14.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supplement/omega3-fatty-acids
  15.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supplement/omega3-fatty-acids
  16.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supplement/omega3-fatty-acids
  17.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consumer-health/expert-answers/kombucha-tea/faq-20058126
  18. http://www.greenmedinfo.com/blog/18-healthy-reasons-sip-kombucha
  19.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consumer-health/expert-answers/kombucha-tea/faq-20058126
  20. http://www.greenmedinfo.com/blog/18-healthy-reasons-sip-kombucha
  21.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consumer-health/expert-answers/kombucha-tea/faq-20058126
  22.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consumer-health/expert-answers/kombucha-tea/faq-20058126
  23. http://www.ncbi.nlm.nih.gov/pubmed/17879993
  24.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art-disease/in-depth/red-wine/art-20048281?pg=2
  25.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art-disease/in-depth/red-wine/art-20048281?pg=2
  26.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herb/pomegranate
  27. http://www.heart.org/HEARTORG/GettingHealthy/PhysicalActivity/FitnessBasics/Staying-Hydrated---Staying-Healthy_UCM_441180_Article.jsp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6,459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