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제왕절개는 수술을 통한 출산 방법으로, 대수술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질식분만(자연분만)보다 회복 기간이 길다. 복합적인 문제없이 제왕절개 수술을 마쳤다면, 병원에서 3일 동안 머물면서 치료를 받고, 이후에 출혈과 분비물 기타 상처 치료를 마치기까지 4-6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1] [2] 의료진과 가족, 친구들의 도움을 받고 집에서도 잘 관리하면 별다른 지체 없이 회복할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2:

병원에서 회복하기

PDF 다운로드
  1. 수술 후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2-3일 정도 머물면서 관리를 받는 것이 좋다. 24시간 이내에는 일어서고 걷는 것이 권장된다. 신체를 움직이면 위험한 복합 증상인 혈액 응고뿐 아니라 변비나 복부 가스 팽만감과 같은 전형적인 제왕절개의 부작용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간호사가 운동에 함께 참여해서 건강 상태를 모니터 한다. [3]
    • 처음 걸을 때 매우 불편할 수 있지만, 점차적으로 통증이 경감된다.
  2. 컨디션이 좋아지면, 곧바로 모유나 분유 수유를 시작할 수 있다. 간호사나 수유 상담사에게 회복되고 있는 복부에 크게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아이에게 모유 수유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해보자. [4] 베개가 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3. 백신 접종과 같은 본인과 태아 모두의 건강을 위한 예방치료에 대해 의료진에게 물어보자. 당신의 예방 접종 기록이 업데이트된 상태가 아니라면, 이참에 갱신하는 것이 좋다. [5]
  4. 병원에 머물 때 항상 손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의료진이 아이를 만지기 전에 꼭 손 위생에 신경 써 달라고 요청하는 것을 주저하지 말자. 병원에서 쉽게 감염되는 MRSA(항상제 내성 세균)와 같은 세균은 단순히 손을 씻는 행동을 통해서도 예방할 수 있다. [6]
  5. 퇴원 후에 4-6주 내 혹은 그보다 더 이른 시간 안으로 내원 진료 예약을 잡아보자. [7]
    • 퇴원 후 며칠 안으로 병원을 방문해서 실을 제거하거나 절개 부분을 확인하는 환자들도 있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집에서 회복하기

PDF 다운로드
  1. 가능하면 7-8시간의 수면 시간을 갖는다. 수면은 조직 성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상처가 더 빨리 회복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수면은 스트레스 수치에도 도움을 주어서 감염 위험률도 줄일 수 있고 전반적인 건강도 증진시킬 수 있다. [8]
    • 태아가 있을 때 충분한 수면 시간을 갖는 것이 매우 어렵다! 배우자나 집에 있는 다른 어른들이 밤에 당신을 대신해서 아이를 봐줄 수 있도록 부탁해보자. 모유 수유를 하는 중이라면 누군가 아이를 당신에게 데려다 줄 수 있도록 한다. 아이가 밤에 울면서 소란을 피울 수도 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울음을 멈출 수 있으니 자리에서 일어나기 전에 몇 초간 아이의 상태를 잘 살펴보자. [9]
    • 할 수 있을 때 낮잠 자기. 아이가 낮잠을 잘 때 함께 낮잠을 잔다. 아이를 보러 온 손님이 있다면, 당신이 낮잠을 잘 수 있도록 잠시 아이를 봐줄 수 있을지 물어보자. 수술 회복 중이라면 이런 부탁은 전혀 무례한 부탁이 아니다. [10]
  2. 출산 중 손실된 수분을 보충하기 위해 물이나 음료를 마셔주자. 수분 보충은 변비를 예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병원에 입원 중일 때는 병원에서 섭취하는 수분량을 관리해주지만, 집에서는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 모유 수유할 때는 옆에 꼭 물 한 잔을 준비해둔다. [11]
    • 매일 마셔야 하는 물의 양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목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마시거나, 갈증이 느껴지면 바로 물을 마셔준다. 소변 색깔이 짙은 노란색이라면 탈수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이니, 섭취하는 물의 양을 늘려준다. [12]
    • 경우에 따라 의사가 섭취하는 물의 양을 늘리거나 줄이라고 권고할 수도 있다.
  3. 수술 후 회복할 때 영양가가 풍부한 식사와 간식을 잘 챙겨 먹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 후 소화 기관도 회복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평상시 식사와는 조금 다른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배가 불편하다면 쌀이나 끓인 닭고기, 요구르트, 토스트처럼 지방 함유량이 적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섭취한다.
    • 변비가 있다면 식이섬유 섭취량을 늘려준다. 의사에게 식이섬유량을 크게 늘리는 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거나 식이섬유 보충제를 복용한다. [13]
    • 임산부 비타민은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복용한다.
    • 조리를 하면 위험하게 물건을 들고 허리를 구부려야 할 수 있다. 가능하면 당신을 돌봐주는 배우자나 가족, 친구들에게 식사를 준비해줄 것을 부탁해보자.
  4. 병원에 있었을 때처럼 계속 움직여준다. 매일 어제보다 몇 분 더 걸을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 움직임이 운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왕절개 후 최소 6주 혹은 의사의 동의가 있기 전까지 자전거 타기, 조깅, 혹은 무리가 가는 운동은 삼간다. [14]
    • 가능하면 계단도 피한다. 침실이 계단 위에 있는 구조라면, 수술 후 첫 몇 주간은 아래층에서 잠을 잔다. 침실 구조를 바꿀 수 없다면, 계단은 사용하는 횟수를 제한한다. [15]
    • 아이보다 무거운 물체는 절대 들지 않는다. 그리고 쪼그리고 앉지 않는다. [16]
    • 상처가 난 배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움직임은 피한다.
  5. 의사가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을 권할 수 있다. 대부분의 진통제는 모유 수유를 했을 때 복용해도 안전한 편이지만, 수술 후 첫 10-14일 정도는 혈액 응고를 감소시키는 아스피린이나 아스피린이 들어있는 의약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통증은 모유 공급에 도움이 되는 호르몬 방출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유 수유를 하는 엄마에게 통증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17]
  6. 상처가 난 부분을 잘 지탱해주면 통증도 감소되고, 상처가 열리는 위험률도 줄일 수 있다. 기침을 하거나 호흡을 깊게 해야 할 때 절개 된 복부 부분에 베개를 대어준다. [18]
    • 복부 압박 의류는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꼭 의사와 상담해보자.
  7. 매일 따뜻한 비눗물로 닦아주고 수건으로 톡톡 쳐주면서 물기를 말려준다. 절개 부분에 테이프가 붙어 있다면, 스스로 떨어지도록 두거나 1주일 후에 제거한다. 복부를 감싸주는 것이 편한 경우 혹은 진물이 나는 경우라면 거즈 붕대로 상처 부분을 감싸주어도 좋다. 하지만 매일 붕대를 교체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절개 부분에 로션이나 파우더는 사용하지 않는다. 문지르거나 적시는 행위, 일광욕 등은 절개 부분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고, 상처가 아물지 않고 터질 수도 있다. [19]
    • 과산화수소처럼 회복을 지연시키는 청소용품은 사용하지 않는다. [20]
    • 평소처럼 샤워를 하되, 샤워를 마친 후 절개 부분에는 수건을 두드려주며 물기를 제거한다. 목욕, 수영 등 절개 부분이 완전히 물에 잠기는 행위는 금한다. [21] [22]
  8. 절개 부분을 자극하지 않는 헐렁하고 부드러운 옷을 입는다. [23]
  9. 제왕절개나 질식분만 후 4-6주간 충분히 회복한 후 성생활을 시작한다. 제왕절개를 했다면 절개 부분이 완전하게 회복되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의사와 꼭 안전 여부를 확인한 후 성생활을 시작하자. [24]
  10. 질식분만이 아니었더라도 출산 후 첫 달에는 오로라는 붉은색의 질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의사와 안전 여부를 확인하기 전까지 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니 탐폰은 사용하지 말고, 질세척도 하지 않는다. [25]
    • 질 출혈량이 많거나 독한 냄새가 나는 경우, 38°C를 넘어가는 열이 있는 경우라면 바로 병원을 방문한다. [26]
    광고

  • 천연 국물, 특히 뼈를 고아 삶은 국물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
  • 수술 후 새로운 피부가 자라나는데, 새로운 피부에는 상처가 쉽게 날 수 있다. 수술 후 6-9개월 혹은 그 이상 동안 햇빛 노출은 피하도록 하자. [27]
광고

경고

  • 실이 터졌다면 바로 의사에게 연락한다.
  • 절개 부위가 감염된 것 같다면 바로 병원에 연락한다. 열, 심해진 통증, 부기, 뜨거움, 붉은 기, 절개 부분에 나타나는 빨간 줄, 진물, 목이나 겨드랑이, 사타구니에 부어오른 임파절이 이상 증상에 해당된다. [28]
  • 배가 따갑거나, 차오른 것 같거나 딱딱하게 느껴지는 경우, 소변을 볼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절개 부위가 감염되었을 수 있다. [29]
  • 기절, 심한 복부 통증, 기침 후 보이는 혈, 혹은 호흡할 때 나타나는 심한 통증 등의 심각한 증상들이 나타난다면 바로 응급실에 연락한다. [30]
  • 가슴이 아프거나 감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에 연락한다. [31]
  • 출산 후 슬프거나, 눈물이 나거나, 절망적이거나 복잡한 생각들이 든다면 산후 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일 수 있다. 매우 정상적인 반응으로, 여러 산모들이 이런 감정들을 경험한다.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보자. [32]
광고
  1.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infant-and-toddler-health/in-depth/healthy-baby/art-20046556?pg=1
  2. http://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c-section/basics/what-you-can-expect/prc-20014571
  3. http://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c-section/basics/what-you-can-expect/prc-20014571
  4.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nutrition-and-healthy-eating/in-depth/fiber/art-20043983
  5. http://americanpregnancy.org/labor-and-birth/cesarean-aftercare/
  6. http://americanpregnancy.org/labor-and-birth/cesarean-aftercare/
  7. http://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c-section/basics/what-you-can-expect/prc-20014571
  8. http://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c-section/basics/what-you-can-expect/prc-20014571
  9.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labor-and-delivery/in-depth/c-section-recovery/art-20047310?pg=2
  10. https://www.nlm.nih.gov/medlineplus/ency/patientinstructions/000624.htm
  11. https://www.nlm.nih.gov/medlineplus/ency/patientinstructions/000624.htm
  12. http://americanpregnancy.org/labor-and-birth/cesarean-aftercare/
  13. https://www.nlm.nih.gov/medlineplus/ency/patientinstructions/000624.htm
  14. https://www.nlm.nih.gov/medlineplus/ency/patientinstructions/000040.htm
  15.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labor-and-delivery/in-depth/sex-after-pregnancy/art-20045669?pg=1
  16.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labor-and-delivery/in-depth/c-section-recovery/art-20047310?pg=2
  17. http://americanpregnancy.org/labor-and-birth/cesarean-aftercare/
  18. https://healthonline.washington.edu/document/health_online/pdf/Scars_Healing_5_11.pdf
  19. http://americanpregnancy.org/labor-and-birth/cesarean-aftercare/
  20.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labor-and-delivery/in-depth/c-section-recovery/art-20047310?pg=2
  21. http://americanpregnancy.org/labor-and-birth/cesarean-aftercare/
  22. http://americanpregnancy.org/labor-and-birth/cesarean-aftercare/
  23.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labor-and-delivery/in-depth/c-section-recovery/art-20047310?pg=2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47,17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