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최근에 귀를 뚫은 후 귀걸이를 뺐다가 다시 착용하는 것이 어렵더라도 너무 당황하지 말자! 귀를 뚫은 곳이 완전히 막히지 않았을 수 있으니,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법에 따라 통증 없이 귀걸이를 다시 착용해보자.

파트 1
파트 1 의 2:

귓불 피어싱 자리에 귀걸이를 다시 넣어주기

PDF 다운로드
  1. 귀가 막힌 것 같은 느낌이 들 때 귀걸이 착용을 시도하기 전에 먼저 피부를 부드럽게 만들어보자. 이렇게 하면 피어싱을 더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며, 통증도 줄일 수 있다. 목욕, 샤워 혹은 수영을 한 후 귀걸이 착용을 시도해보자. [1]
  2. 귀걸이 착용을 시도하기 전에 염증 혹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손과 귀걸이를 깨끗하게 씻는다. 비누와 물을 사용해서 손을 깨끗하게 씻고, 살균 작용에 매우 좋은 소독용 알코올 혹은 과산화수소로 소독해보자. 화장솜에 선택한 살균제를 묻힌 후 귀걸이를 가볍게 닦아주면 된다. [2]
    • 작은 그릇에 과산화수소를 담고 10-20 분 동안 귀걸이를 담가보자.
    • 세척한 귀걸이의 물기를 키친타월로 닦은 후 귀걸이 착용을 시도해보자.
  3. 피어싱 자리가 완전히 막히지 않았다면, 귓불을 잡아당겼을 때 피어싱 자리의 크기가 넓어지고, 두께가 가늘어진다. 엄지와 검지로 피어싱 자리를 가볍게 당겨주면, 귀걸이가 통증 없이 쉽게 들어갈 수 있다. [3]
    • 귓불의 앞과 뒤를 확인해서 피어싱 자리가 커졌는지 살펴보자. 작은 손거울을 확인하면 귓불의 뒷면을 확인할 수 있다.
  4. 피어싱 자리가 막힌 것처럼 보이거나 귀걸이를 삽입할 때 통증이 느껴질까 봐 걱정된다면 얼음을 사용해서 마취 효과를 주어보자. 1-2 개의 얼음조각을 키친타월로 둘러싼 후 귓불 앞면에 15분 동안 동그란 원을 그리면서 문질러준다. 동일한 방법으로 차갑고 얼얼한 느낌이 들 때까지 귓불 뒷면도 얼음으로 문질러보자. [4]
    • 원한다면 마취 크림을 사용해보자.
  5. 이제 귀걸이 삽입을 시도해보자. 피어싱 자리 주변으로 가는 조직 막이 형성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더 힘을 가해서 귀걸이를 눌러주어야 할 수도 있다. [5]
    • 거울을 사용해서 귀 뒤로 귀걸이가 빠져나오는지 살펴보자. 이렇게 하면 귓불의 가장 가는 부분을 찾아서 더 쉽게 귀걸이를 착용할 수 있다.
  6. 귓불 앞면에서 귀걸이를 착용할 수 없었다면, 귓불을 살짝 돌려서 뒷면에서 착용을 시도해보자. 뒷면 부분의 피어싱 자리가 덜 막혀있을 수 있다. [6]
  7. 앞에서도 해보고 뒤에서도 해보았는데 귀걸이가 들어가지 않는다면 다른 각도에서 귀걸이를 넣어보자. 어떤 각도에서는 귀걸이가 귀로 들어갈 수도 있다. [7]
    • 연골 피어싱은 일반 귓불 피어싱 자리보다 더 쉽게 막히기 때문에 이런 피어싱을 다시 삽입하려고 할 때 매우 주의해야 통증을 피할 수 있다. 살짝 압력을 가해도 귀걸이가 들어가지 않는다면, 이미 피어싱 자리가 막혔을 수 있으니,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자.
  8. 귀걸이를 살짝 눌러주었을 때 통증이 느껴지거나, 귀걸이가 휘어지려고 한다면 과하게 귀걸이를 넣으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피어싱 자리가 완전히 막혔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런 경우 귀를 다시 뚫어야 한다. [8]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귀걸이 삽입 후 관리하기

PDF 다운로드
  1. 귀걸이를 다시 착용했다면, 피어싱 자리가 막히지 않도록 최소 6 주 동안 항상(밤 시간도 포함)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로 생활해보자. [9]
    • 6-8 주가 지난 후에는 피어싱 자리가 빨리 막힐 수 있기 때문에 귀걸이를 착용하지 않는 기간을 하루 혹은 이틀을 넘기지 않도록 하자. 1년 정도 귀걸이를 매일 착용하면 꽤 오랜 기간 동안 피어싱 자리가 막히지 않는다.
  2. 순한 비누, 식염수, 혹은 따뜻한 소금물을 화장솜에 적힌 후 피어싱 자리를 닦아준다. 귓불 뒷면도 잊지 말고 닦아주자. [10]
    • 6 주 동안 하루에 두 번 피어싱 자리를 닦아준다.
    • 강한 비누와 항균 제품은 피어싱 자리를 닦아주는데 사용하지 않는다.
  3. 하루에 최소 두 번, 피어싱을 세척할 때 젖은 상태로 귀걸이를 착용하고 돌려준다.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그리고 앞뒤로 돌려주면 피어싱 자리 부분의 피부가 서로 달라붙지 않는다. [11]
    • 귀걸이를 세척하고 젖은 상태에서만 돌려준다. 수분이 없을 때 귀걸이를 돌려주면 피어싱 자리에 자극이 가고 회복 기간이 더뎌질 수 있다.
    광고

경고

  • 피어싱 자리에서 노란색 빛깔의 액체가 나온다면 염증의 신호일 수 있으니, 즉시 피부과를 찾는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5,030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