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기절이란 갑자기 잠깐 동안 정신을 잃었다가 보통 그 다음에 완전히 의식을 회복하는 것을 말한다. [1] 기절은 의학용어로 실신이라고도 하며 혈압이 떨어져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일시적으로 원활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대개 기절한지 1-2분 내에 의식을 회복한다. [2] 기절의 원인은 탈수증부터 장시간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서기, 심각한 심장질환에 이르기가지 다양하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나 내가 기절했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

방법 1
방법 1 의 2:

다른 사람이 기절할 때

PDF 다운로드
  1. 누군가 기절하려고 하면 그 사람을 부축해서 천천히 바닥에 눕힌다. 기절해서 쓰러지는 사람은 손을 뻗어 자신을 다치지 않게 보호할 수가 없다. 기절하면서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경우는 드물지만 바닥에 부딪치지 않게 잡아준다. 물론 내가 다칠 염려가 없을 때만 기절하는 사람을 잡아준다. 기절하는 사람이 나보다 덩치가 크면 나까지 위험에 처할 수 있다.
  2. 기절한 사람을 툭툭 치거나 흔들어서 정신을 차리는지 지켜본다. 대개 기절한 사람은 빨리 정신을 차린다(보통 20초-2분 사이). [3]
    • 기절해서 넘어지면서 머리와 심장의 위치가 동일해진다. 이런 자세로 있으면 심장이 뇌로 피를 보내기가 보다 수월해진다. 따라서 기절만큼이나 의식 회복도 순식간이다. [4]
    • 기절한 사람이 의식을 되찾으면 가지고 있는 병이나 기절의 원인을 물어본다. 두통, 발작, 아린감, 가슴 통증, 호흡곤란 등은 모두 심각한 증상이다. 이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구급대를 불러야 한다. [5]
  3. 넥타이, 칼라 등 몸을 조이는 의복을 느슨하게 풀어 편안하게 해준다.
    • 바닥에 눕히고 15-20분 이상 휴식을 취하게 한다. 피가 뇌로 가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6]
    • 기절한 사람 주위에 공간을 확보하고 신선한 공기를 부채질 해준다. 공공장소에서 기절하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보기 위해 사람들이 몰려든다. 도와주는 사람만 빼고 모두 뒤로 물러나라고 한다.
    • 기절한 사람이 의식을 되찾고 안정되면 물과 음식을 준다. 물과 음식을 주면 생기를 되찾게 될 것이다. 보통 기절의 원인은 탈수증과 저혈당증(혈당이 정상 수치 이하로 감소)이다.
    • 기절했던 사람이 너무 빨리 일어서지 못 하게 한다. 몇 분 동안 계속 누워있으라고 한다. 이렇게 해야 뇌로 가는 혈류량이 완전히 회복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갑작스럽게 일어서면 다시 기절할 수도 있다. 사람들은 일단 기절했다가 깨어나면 너무 빨리 툴툴 털고 일어서서 걸으려고 한다.
    • 기절한 사람이 머리 부상을 입거나 호흡곤란, 가슴 통증, 심한 두통과 같은 증상을 동반하거나 임신, 심장병 등 지병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4. [7] 구조대를 부르거나 다른 사람에게 불러달라고 부탁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자동 제세동기를 찾아보라고 한다. 목 부분에서 맥박이 가장 강하게 뛰므로 기절한 사람의 목을 짚어본다. 목의 기관 옆에 검지와 중지를 대고 맥박을 잰다. [8]
    • 한 번에 목의 한쪽 옆만 짚고 맥박을 잰다. 목의 양 옆을 짚고 맥박을 재면 피가 뇌로 가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 맥박이 잡히면 기절한 사람의 두 발을 잡고 다리를 바닥에서 들어올린다. 이렇게 하면 혈류가 다시 뇌로 가게 할 수 있다.
  5. 심폐소생술을 할 줄 모른다면 주변에 의료인이 있는지 찾아본다. [9]
    • 기절한 사람 옆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 기절한 사람의 가슴에 한 쪽 손꿈치를 올려놓는다.
    • 다른 손을 그 위에 포갠다.
    • 팔꿈치가 굽혀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상체의 체중을 실어 기절한 사람의 가슴을 압박한다.
    • 가슴이 적어도 5cm 눌릴 정도로 압박한다.
    • 가슴 압박 속도는 1분당 약 100회이다.
    • 구조대가 도착해서 인계받을 때까지 계속 기절한 사람의 가슴을 압박한다.
  6. 침착함을 유지하고 상황을 통제하는 것이 큰 차이를 만든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내가 기절할 때

PDF 다운로드
  1. 기절을 잘 하는 사람이라면 기절하려는 조짐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기절을 잘 하는 사람이라면 공책이나 일지에 기절 증상을 기록한다. 기절하려는 조짐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적절히 안전 조치를 취해 심각한 부상을 입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기절 직전에 다음과 같은 조짐이 나타난다. [10]
    • 구역질, 어지럼증, 현기증
    • 희거나 검은 점이 보인다. 또는 시야가 흐려지거나 좁아진다.
    • 아주 덥거나 땀이 난다.
    • 속이 좋지 않다.
  2. 혈류가 뇌로 가도록 다리를 들어 올린다.
    • 바닥에 누울 수 없다면 자리에 앉아 무릎 사이에 머리를 넣는다.
    • 10-15분 가량 누워 있는다.
  3. 코로 숨을 들이쉬고 입으로 숨을 내뱉으면서 심호흡을 한다. 이렇게 하면 진정 효과도 있다.
  4. 도움을 청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나의 상황을 알리는 것이 좋다. 그러면 내가 쓰러질 때 다른 사람이 나를 붙잡아 눕혀주고 필요하면 병원에 연락해줄 것이다.
  5. 곧 기절할 것 같다면 주변에 위험한 것들을 치우고 기절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 예를 들면 날카로운 물건을 피해 쓰러지도록 자세를 잡는다.
  6.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기절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피하면 기절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기절 예방 조치는 다음과 같다.
    •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규칙적으로 먹기: 특히 날씨가 더울 때는 물과 다른 음료를 많이 마셔 계속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규칙적으로 건강에 좋은 식사를 하면 공복일 때 느끼는 어지럼증과 허약함을 개선할 수 있다.
    • 스트레스 상황 피하기: 스트레스 받거나 속상하거나 불안한 상황에 처하면 기절하는 사람들도 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이런 상황을 피해서 침착함을 유지해야 한다.
    • 약물, 술, 담배 안 하기: 약물, 술, 담배에는 일반적으로 건강에 좋지 않은 독성 물질이 가득해서 기절하는 사람도 있다.
    • 갑자기 자세 바꾸지 않기: 앉아 있거나 누워 있다가 벌떡 일어서는 등 갑작스러운 움직임 때문에 기절하기도 한다. 가급적이면 천천히 일어서고 고정된 물건을 잡고 몸의 균형을 잡는다.
  7. 자주, 빈번하게 기절을 하는 경우에는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기절이 심장질환, 기립성 저혈압 등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더욱 심각한 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 기절하면서 머리를 부딪쳤거나 임산부이거나 당뇨, 심장병,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나 가슴 통증, 착란, 호흡 곤란 같은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에도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11]
    • 의사가 기절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환자의 병력을 살펴볼 것이다. 심전도 검사, 혈액 검사 등 더 자세한 검사도 실시된다.
    광고

경고

  •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 때문에 기절하는 일이 흔하다. 임신 말기에는 커진 자궁이 혈관을 압박하고 피가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데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임신하면 기절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 남성보다는 여성 그리고 75살 이상 노인들이 더 잘 기절하는 편이다. [12]
광고

  • 기절의 원인을 찾아본다. 스트레스 때문인가, 아니면 장시간 가만히 서 있었기 때문인가?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37,449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