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모든 사람에게는 꿈이 있다. 그것이 크든 작든,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행복과 삶의 질에 관련이 있다. [1] 그리고 이것은 자신감을 키우는 방법이기도 하다. 꿈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더 좋은 사람이 된다. 10억을 버는 것이든, 예술가가 되는 것이든, 세계 최고의 운동 선수가 되는 것이든 꿈을 더 미루지 말자. 목표를 향해 오늘부터 달려 나가자.

방법 1
방법 1 의 3:

목표 설정

PDF 다운로드
  1. 먼저 해야 할 것은 무엇을 이룰지 결정하는 것이다. 큰 목표든 작은 목표든 시간을 내서 무엇을 이루고 싶은지 적어 보자. 이것의 성공의 첫 단계이다.
    • 예를 들어, 행복한 사람이 되고 싶나? 악기를 배우고 싶나? 운동을 잘 하고 싶나? 건강해지고 싶나? 이런 것들이 다 괜찮은 목표이다.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결정하는 것은 자신에게 달렸다.
  2. 목표를 정했다면 그 목표가 자신의 인생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한 사람의 목표는 다른 사람의 목표와 무척 다른 수 있다. [2]
    • 예를 들어, 행복해지는 것이 목표라면, 행복해지는 것이 무엇인지 우선 정의를 내려야 한다. 행복한 삶은 어떤 삶일까? 어떤 것들이 자신을 행복하게 하는가?
    •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는 목표라고 할지라도 의미를 생각해 보는 과정은 중요하다. 기타를 배우는 것이 목표라면 도대체 기타를 배운다는 것이 자신의 인생에게 무슨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 보자. 그냥 코드 몇 개 칠 줄 안다면 그것으로 만족하는가? 콘서트에서 공연할 정도의 수준을 원하는가? 기타를 칠 줄 안다는 것 자체의 정의도 무척 다양하다.
  3. 시간을 들여서 자신이 왜 그런 목표를 세웠는지 이유를 생각해 보자. 동기를 생각해 보면, 목표를 수정해야겠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3]
    • 예를 들어, 기타를 치는 것이 목표라고 하자. 그리고 이유를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생각난 것은 기타를 치는 사람들이 학교에서 사람들 사이에 유명하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기타를 배워야 할 목적이 아니다. 오히려 한 번은 사람들에게 유명해질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는지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이다.
  4.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실현 가능한 목표인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슬프게도, 모든 꿈이 다 현실이 되지는 않는다. 실현 불가능하다고 느껴진다면, 다른 목표를 세워 보자. [4]
    • 세계 최고의 농구 선수가 되겠다는 꿈을 세웠다고 하자. 무척 어려운 목표이다. 하지만 누군가는 가능한 목표이다. 하지만 키가 160cm 정도라면, 불가능에 가깝다. 실패하고 좌절할 일만 기다리고 있을 수 있다. [5]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친구들과 함께 농구를 즐겁게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운동 선수가 되고 싶다면, 키가 문제가 안 되는 운동을 찾아 보는 것이 중요하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계획 세우기

PDF 다운로드
  1. 목표를 설정했다면, 어떻게 그 목표를 달성할지 계획을 세울 단계이다. 첫 단계로 가장 좋은 것은 막 적어 보는 것이다. 종이 한 장을 꺼내서, 다음 주제들에 대해 막 적어 보자. [6]
    • 자신의 이상적인 미래
    • 다른 사람들의 부러운 장점
    • 더 잘 할 수 있는 것들
    • 더 배우고 싶은 것들
    • 발전시키고 싶은 습관
    • 여러 가지 가능성들을 탐구하는 시간이다. 여러 가지 가능성들을 적고 나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보일 것이다.
  2. 목표에 대해 적고, 그것들에 대해 브레인스토밍도 해 보았다면, 이제는 좀 더 자세히 적어 볼 때이다. 마구 적어 놓은 것을 보면서 이루고 싶은 것들, 하고 싶은 것들을 좀 더 자세히 적어 보자. [7]
    • "좀 더 잘 치고 싶기 때문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같은 목표는 "내가 좋아하는 곡을 6달 내로 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에 비해 불명확하다.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목표나 불명확한 "최선을 다하기" 같은 목표는 좋은 목표가 아니다.
    • "부자 되기"같은 일반적인 목표에서 더 나아가 보자. 명확한 달성 과제를 결정하자. "부자 되기"보다는 "주식 투자에 대해 마스터하기"라든지, "기타 치기"보다는 "록 밴드의 리드 기타리스트가 되겠어"같은 목표가 좋다.
    • 여기서도 목표를 적어 보는 것이 좋다. 자신의 목표를 최대한 명확하게 묘사해 보자.
  3. 자신의 목표를 명확하게 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SMART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조건은 만족하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8]
    • 명확하고(Specific)
    • 측정 가능하며(Measurable)
    • 달성 가능하고(Achievable)
    • 자신의 목표와 관련이 있으며(Relevant)
    • 시간 제한이 있는(Time-bounded) 계획
  4. 많은 사람들이 여러 목표를 가지고 있다. 마구 적어 보는 단계에서 자신이 원하는 목표가 한 가지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중요한지 정할 차례이다.
    • 우선순위를 매기면, 자신에게 더욱 의미 있는 목표에 집중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천체 물리학 박사 학위를 따고 싶고, 기타 치는 법도 배우고 싶고, 톨스토이 전집도 읽고 싶고, 마라톤도 도전해 보고 싶다고 하자. 한 번에 이 모든 것을 다 하려고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결정하면,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
    • 이렇게 하면 각각의 목표에 얼마나 투자해야 할 지 알게 된다. 어렵고 긴 시간이 걸리는 목표에 투자하지 않으면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 [9] 천체 물리학 박사 학위를 따는 것을 심각하게 원하지 않는다면, 그 목표가 우선순위가 되지 않을 것이다.
  5. 잠깐 시간을 들여서 이 목표가 달성되었을 때를 생각해 보자. 그러면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지 보일 것이다. [10]
    • 이런 과정을 거치면 이 목표를 달성했을 때를 시각적으로 상상해 보게 되며, 동기 부여도 된다.
  6. 작은 목표 여러 개로 나누면 목표 달성이 쉬워 진다. 큰 목표를 이루기 위한 작은 목표들을 만들어 보자. [11]
    • 예를 들어, 기타를 배우는 것이 목표라면, 하위 목표 중 하나는 기타를 구하는 것이 될 것이다. 다음 하위 목표는 기타 강의 수강이 될 것이다. 다음 목표는 기초 코드와 연주법 등을 배우는 것일 것이다.
    • 이런 작은 목표들을 달성할 일정을 세우자. [12] 기타 공부의 예를 들면, 석 달 안에 기타를 살 수 있는 돈을 모은다. 그리고 기타 강의를 그 다음 주에 수강한다. 기초 코드를 다음 두 달 간 연습한다. 이런 식으로 계획을 세우면 된다.
  7. 계획에서 중요한 것은 목표를 달성하는데 만나게 될 장애물들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다. 미리 이런 것들을 생각해 놓으면, 이런 장애물을 어떻게 극복할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3]
    • 예를 들어, 기타 강의 수강 비용이 없다고 하자. 그러면 기타 강의를 듣기 위해 돈을 어떻게 벌어야 할 지 고민을 해 보게 될 것이다. 또는 좀 더 저렴한 책이나 동영상들을 이용해서 배우는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목표를 이루는 그날까지

PDF 다운로드
  1.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을 더욱 쉽게, 그리고 더욱 집중해서 하는 방법이 있다. 하루를 마칠 때가 되면, 대다수의 목표를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달성해야 한다. [14]
    • 목표를 달성하는데 얼마나 긴 시간이 걸릴지 생각해 보자. 그리고 언제까지 달성하고 싶은지 생각해 보자. 예를 들어, 기타 연주의 기본을 배우는데 40시간 정도 걸릴 것이라 예상하고, 한 달 내로 기타를 배우고 싶다고 하자. 그러면 매일 한 시간 이상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 시간을 들이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목표는 없다. 진정 원한다면, 시간을 들여야 한다.
  2. 매일 하는 습관으로 만들면 좀 더 목표 달성이 쉬워진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을 매일 할당해 놓자. [15]
    • 예를 들어, 매일 6:30부터 한 시간 반씩 연습을 하자. 이 시간 동안 6:30부터 7:00까지는 기본적인 코드 연습을 하자. 7:15부터 15분 동안에는 특정 곡을 연습하자. 매일(혹은 이틀에 한 번) 이렇게 연습하면 기본적인 것을 금방 익힐 것이다.
  3. 목표를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면 그 과정을 기록하자. 일기를 쓰든, 앱을 사용하든, 달력을 쓰든, 들인 시간, 달성한 하위 목표 등을 기록하자.
    • 과정을 기록하면, 목표에 집중하도록 도와 준다. 그리고 습관에 좀 더 집중하게 된다. [16]
    • 과정을 매일 기록하면 목표 달성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를 많이 줄여 준다. [17]
  4. 장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지속적으로 해야 할 일은 꾸준히 동기 부여를 해 주는 것이다. 달성 가능한 하위 목표를 만들고, 공부 과정을 기록하는 것은 도움이 많이 된다. 하지만 자신에게 몇 가지 보상을 해 주는 것도 좋다. [18]
    • 보상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추가하는 보상은 뭔가를 자신에게 더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위 목표를 달성하면 맛있는 음식을 하나 사 먹는 것이다.
    • 제거하는 보상은 자신이 싫어하는 것을 빼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뭔가를 잘 했다면, 자신이 싫어하는 일을 한 번 안 하는 것이다.
    • 이런 보상 시스템이 벌을 주는 것보다 더 효과가 있다. 잘못했을 때 벌을 주는 것도 어느 정도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보상 쪽에 최대한 집중하도록 하자. [19]
    전문가 팁

    Tracey Rogers, MA

    공인 라이프 코치
    트레이시 로저스는 워싱턴 D.C.에 거주하는 10년 이상 경력의 공인 라이프 코치 겸 점성술사다. 다수의 라디오 프로그램 및 Oprah.com과 같은 온라잇 플랫폼에서 그녀의 업적을 소개한 바 있다.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Tracey Rogers, MA
    공인 라이프 코치

    목표를 세울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하루만에 이룰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이다. 변화하기는 어렵지만 우리 모두는 빠르게 변화하기를 원한다. 생각했던것만큼 빨리 변화하지 않는다면 실망할 것이다. 하지만 의욕을 잃지 말아야한다. 진도가 어느정도 나갔다면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기다려야한다.

    광고

  • 자신을 믿자.
  • 자신에게 솔직해지자. 자신이 자랑스러워할 수 없는 목표를 달성하려 하는 것은 즐겁지 않은 일이다.
  •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속담을 잊지 말자.
  • 글로 적어 놓자. 글로 적어 놓으면 생각을 하게 된다. 자기가 적어 놓은 것을 볼 사람이 자기 자신 혼자라고 하더라도, 적어 놓으면 목표를 향해 더욱 달려가게 된다.
  •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가자. 꼭 같은 목표일 필요는 없다. 함께 매일 이야기하자. 직접 만나지 못하더라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함께 목표를 설정하고 이야기해 나가는 것도 도움이 된다.
  • 부정적인 생각에 사로잡히지 말자.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가자. 계속 도전하자.
광고

경고

  • 일이라는 것이 항상 계획한대로 풀리지 않는다. 목표를 따르지만, 유연하게 하자. 생각했던 것과 다르게 풀리는 일이 많을 것이다. 그게 꼭 나쁜 것이 아니다. 열린 마음을 갖자.
  • 억지로 안 맞는 것을 끼워 넣으려고 하지 말자. 잘 안 되고, 기분도 별로라면, 다른 방법을 시도해 보자.
  • 속도를 조절하자.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세웠을 때에는 열심히 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목표를 제대로 가지 않는다. 초기에 열심히 하는 것은 좋다. 하지만, 꾸준히 해 나가는 것 역시 중요하다.
광고

출처

  1. McGregor, I., & Little, B. R. (1998). Personal projects, happiness, and meaning: on doing well and being your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2), 494.
  2. McGregor, I., & Little, B. R. (1998). Personal projects, happiness, and meaning: on doing well and being your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2), 494.
  3. Brunstein, J. C. (1993). Personal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1061–1070.
  4. Brunstein, J. C. (1993). Personal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1061–1070.
  5.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coaching-and-parenting-young-athletes/201311/keys-effective-goal-setting
  6. Morisano, D., Hirsh, J. B., Peterson, J. B., Pihl, R. O., & Shore, B. M. (2010). Setting, elaborating, and reflecting on personal goals improves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2), 255.)
  7. Austin, J. T., & Vancouver, J. B. (1996). Goal constructs in psychology: Structure, process, and content. Psychological Bulletin, 120, 338 –375.
  8. Lawlor, B. & Hornyak, M. (2012). SMART Goals: How the Application of Smart Goals can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Student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Development of Busines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Learning, 39, 259-267. https://journals.tdl.org/absel/index.php/absel/article/viewFile/90/86
  9. Koestner, R., Lekes, N., Powers, T. A., & Chicoine, E. (2002). Attaining personal goals: Self-concordance plus implementation intentions equals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 231–244.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1,872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