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자급자족'하는 삶에 열정적이거나, 머지않아 전력 공급이 정지되는 상황에 대처해야 한다는 걸 알고있든 간에, 우리는 전기 없이 사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우리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모든 전자 기기 없이 살아야한다는 게 어색하게 들릴 수는 있지만, 애당초 인류는 처음부터 전기없이 살아왔다. 각오, 긍정적인 태도, 그리고 창의력만 가지고 있다면 당신도 하루 또는 평생 동안 전기 없이 살아갈 수 있다.

방법 1
방법 1 의 2:

자급자족하기

PDF 다운로드

1 단계: 조명과 난방

  1. 전기 없이 살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전기 회사의 도움 없이 집에 전력을 공급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럴 때 재생 가능 에너지는 아주 좋은 방법이 된다.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서 태양열을 동력으로 사용하거나, 풍력 터빈을 짓거나, 수력 발전 시스템을 통해 전력을 공급해보자. 전자 기기에 직접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발전기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보자. [1]
  2. 집안을 밝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실행 가능한 선택지가 몇 개 있다.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등유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다. 심지가 있는 등유 램프, 초, 그리고 배터리를 충전해서 사용하는 캠핑 랜턴을 사용해도 된다. 한밤중에 일어나야 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조명이 없을 때를 대비해 손전등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중요하다. [2]
  3. 집의 벽들, 특히 다락방과 출입구 근처에 단열재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따뜻한 공기는 문 아래와 창문 주위, 그리고 집의 바닥 부분으로 빠져나간다. 따뜻한 공기가 최대한 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단열 장치를 만들자. 문의 아래쪽을 막아놓기 위해 틈막이를 구매하자.
  4. 집에 벽난로나 장작 난로가 없다면 직접 하나 짓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해봐야 한다(추운 곳에 살고 있을 경우 특히 더 중요하다). 집안의 다른 방들을 따뜻하게 하려면, 벽난로에서 다른 방들로 이어지는 관을 짓는 것도 고려해보자. [3]
    광고

2 단계: 요리하기

  1. 전기 없이 요리를 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부뚜막을 설치하는 것이다. 부뚜막에서 요리를 하기에는 날씨가 너무 더워진다면 프로판 가스나 캠핑용 부탄 가스(가스레인지와 완전히 똑같은 역할을 한다)를 사용하자.
  2. 가게에서 과일이나 채소를 구매하기보다 직접 길러보는 건 어떨까? 씨앗 몇 개만 있으면 여러분의 뒷뜰은 농산물로 가득한 장소가 될 것이다. 자신의 땅에서 직접 농작물을 기른다는 것은 나의 식품이 어떤 오염균에 노출되어 있는지도 다 관리할 수 있다는 뜻이다.
  3. 충분한 공간이 있다면 가축을 기르는 것을 고려해보자. 소, 염소, 그리고 양은 훌륭한 유제품 공급원이 되고, 닭들을 달걀과 고기를 제공하며, 돼지는 퇴비에도 도움이 되는 동시에 고기도 제공한다. 가축들이 생산하는 것들을 팔고, 거래하거나, 보존할 수도 있다. [4]
  4. 전기 없이 생활하는 것의 중요한 부분은 식품을 보관할 냉장고가 없더라도 식품을 잘 보존하는 것에 있다. 거의 대부분의 것들을 통조림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과채류부터 고기나 달걀까지, 통조림으로 만드는 것은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다. 통조림으로 만들 것이 많다면 캔 제작 기계를 구매하는 것을 고려해보자. 캔 제작 기계는 통조림 가공 과정을 훨씬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광고

3단계: 자급자족 생활에 필요한 다른 필수 지식

  1. 퇴비는 믿기지 않을 만큼 유용한데, 특히나 도시 쓰레기 처리 서비스에 돈을 쓰고 싶지 않다면 더욱 그렇다. 퇴비 더미는 영양 많은 비료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만들기도 비교적 쉽다.
  2. 가축을 기른다면 특히나 쉽게 만들 수 있다. 집에서 직접 만든 유기농 비료를 사용하면 뜰에도 좋을 것이다.
  3. 당신이 가진 기술에 대해 생각해보자. 바느질, 요리, 조각, 건축 등 어떤 것을 잘 하는가? 대량으로 만들어야 하는 필수품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보유하고 있는 것들로 어떤 상품을 만들 수 있는지도 고려해보자. 양을 기르고 있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뜨개질 을 하는지 배우거나 양의 우유로 치즈를 만들어보자.
  4. 손빨래를 하자. 벅찬 일처럼 보일지는 몰라도 연습을 하면 수월해진다. 빨래판에 옷을 북북 문대고, 헹구고, 밖에 걸어서 건조시킨다.
    • 옷을 부드럽게 하려면 걸어서 말리기 전에 식초 한 컵 또는 두 컵으로 옷을 헹군다. 식초를 사용하면 건조 과정에서 옷이 너무 빳빳해지지 않도록 도와준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단전에 대처하기

PDF 다운로드

1단계: 단전을 대비해 준비하기

  1. 물과 잘 상하지 않는 음식을 제외하고, 모든 가정이 응급 키트 안에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기본 용품들이 있다. 이 용품들은 다음과 같다: 손전등, 여분의 배터리, 다용도 장비(스위스 군용 칼 같은 것), 수동 통조림 따개, 7일치 약, 위생 용품, 여분의 비상금, 휴대용 라디오, 그리고 비상용 담요. [5]
    • 개인 문서의 복사본도 만들어 둬야 한다. 이 문서에는 중요한 의료 정보, 여권, 거주 증명서, 그리고 출생 증명서가 포함된다. 지역 지도와 긴급 연락망도 필요하다.
  2. 단전이 되면 어떤 일이 생길지 아무도 모른다(혹은 누가 치료를 필요로 할지). 그렇기 때문에 집에 구급 상자를 두는 것을 강력히 권한다. 다 구비된 구급 상자를 사도 되고, 자신만의 구급 세트를 같이 둬도 된다. 당신의 구급 상자에 넣어둬야 하는 용품의 목록을 보려면 여기 를 클릭한다. [6]
  3. 적십자는 하루 한 사람당 약 3.8리터의 물을 비축해두는 것을 권한다. 가능할 경우 적어도 일주일은 충분히 버틸 수 있는 양의 물을 준비해둔다(만약 세 명이 함께 사는 집이라면 약 80리터의 물을 구매해야 한다는 뜻이다.).
  4. 이런 식품들은 조리하기 쉽거나, 더 나아가, 음식 준비를 할 필요가 아예 없어야 한다. (2단계에서 다뤘던)그릴이나 캠프 스토브 같은 열 연료에 접근할 수 없다면, 조리할 필요가 없는 보존 가능한 식품을 비축해 둬야 한다. [7]
  5. 전기가 나가거나 당신이 긴급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핸드폰 배터리가 떨어지기 전에 가족들에게 전화를 하자(배터리가 떨어지면 충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6. TV,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사용할 수 없을 테니 자신을 위한 오락거리가 필요할 것이다. 한편, 밤에 책을 비추며 손전등 배터리를 낭비하면 안 된다는 것을 기억하자. 랜턴이나 초가 있다면 테이블 위에 두어 모두가 모여서 책을 읽거나, 게임을 하거나, 대화를 할 수 있게 하자.
    광고

2단계: 조명과 난방

  1. 여기에는 손전등, 캠핑 랜턴, 그리고 초가 포함된다. 어둠에서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곳에 손전등을 보관한다. 이럴 때는 배터리가 닳을 일도 없고 오랜 시간 동안 켜둘 수 있는 양초가 좋다. 랜턴은 어둠 속에서 일상 생활을 할 때 특히 유용하다. 요리를 할 때 랜턴으로 부엌을 밝히자.
  2. 집에 벽난로가 있다면 장작을 비축해 두는 것이 좋다. 사용하고 있지 않은 방의 문을 닫아 두어 약간의 열이라도 집안 전체로 퍼져 나가버리지 않게 한다. 등유 난방기를 들여놓는 것도 고려해보자. 이런 히터들이 집을 데울 때는 환풍구 근처에 둬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일산화탄소가 축적될 수도 있다. [8]
  3. 바깥에 있는 차에 갈 수 있다면, 필수 전자기기(가족들과 연락할 핸드폰이나 충전식 손전등 같은 것들)를 충전할 수 있다. 차 내부의 시가 라이터(차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다)를 통해 충전할 수 있다.
    광고

3단계: 요리하기

  1. 가장 좋은 방법은 드라이 아이스 한 덩이를 사서 신문지에 감싸 냉장고 안에 넣어두는 것이다. 긴급상황에 사러 갈 수 있도록 드라이 아이스를 구매할 수 있는 가게를 알아보자. [9]
    • 정말 꼭 필요할 때만 냉장고나 냉동고를 열자. 냉장고나 냉동고의 내부 온도를 계속 낮게 유지하기 위해 담요로 감싸도 된다. 담요가 냉장고나 냉동고의 환풍구를 막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비축해놓은 보존이 잘 되는 식품에 손을 대기 전에, 냉장고 안에 넣어둔 잘 상하는 식품부터 요리하자. 이 방법은 정전이 된 첫 번째 날에만 해야 하는데, 거의 모든 냉장 식품은 4.4도 이상의 온도로 두 시간 이상 방치되었을 경우 섭취하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
    • 예외로는 딱딱한 치즈, 가공된 치즈, 신선한 과일과 채소, 버터/마가린, 그리고 빵이 있다. [10]
  3. 정전 중에도 가스 버너를 사용할 수 있는 행운이 따른다면, 본인이 먹을 음식도 무리 없이 조리할 수 있을 것이다. 직접 불을 붙여야 하긴 하지만, 그것만 제외하면 문제될 점은 없다. 한편, 집에 전기 스토브가 있을 경우, 대체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리법이 아래에 적혀있다. [11]
    • 가스 버너나 오븐을 사용해 집을 따뜻하게 하면 절대 안 된다. 이 기구들은 난방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도 아닐 뿐더러, 집안에 일산화탄소의 양을 늘려 위험성이 늘어날 것이다.
  4. 집에 휴대용 버너가 있고 전기 레인지에 요리를 할 수 없다면 프로판 또는 부탄 캔의 먼지를 불어 날려 버릴 때다. 이같은 휴대용 버너는 보통 가스 버너와 같이 효과적으로 역할을 해낸다. 정전이 됐을 때 그릴이나 석쇠도 사용 가능하다. 일산화탄소를 축적하면 매우 위험할 수 있으니 집안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5. 필요한 상황을 대비해불 피울 준비를 하자. 벽난로가 있다면 사용하자. 벽난로가 없다면 뒤뜰에 모닥불을 만들어야 할 수도 있다. 정전이 잘 되는 지역에 살고 있으며 벽난로도 없다면, 뒤뜰 한 쪽 구석을 모닥불을 피우는 공간으로 만드는 것을 고려해보자.
  6. 집 밖으로 나갈 수 있다면 밖에 나가서 먹는 것을 고려해보자. 계속 집에 있어야 한다면 조금 짜증이 날 수도 있으니 낮에 외식을 하자.
    광고

  • 갑작스럽고 뜻밖에 정전이 되어도 허둥대지 않는다. 천천히 차분하게 손전등을 보관해두는 곳까지 걸어간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4,095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