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사람들이 집을 볼 때, 공기질은 생각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지만,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해로운 화학물질, 독성 물질이 공기를 통해 집에 퍼져서, 시간이 지나면서 건강에 영향을 줄 것이다. 집에서 쓸 수 있는 키트가 있고 철물점에서 측정기를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집 안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은 항상 좋은 생각이다.

파트 1
파트 1 의 3:

혼자서 공기질 측정하기

PDF 다운로드
  1. 집 안의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측정해주는(경과도 기록해주는) 공기질 측정기가 시중에 꽤 나와 있다. 이 기기는 보통 PM2.5 정도, (숨을 마실 때 공기에 있는 미세먼지나 다른 알레르기 항원,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 화학 오염물 같은), 온도, 습도(곰팡이 때문에)를 측정한다. [1]
    • 시중에 나와 있는 믿을 수 있는 공기 측정기는 Foobot, Awair, Speck, Air Mentor 6 in 1이 있다.
    • 이 기기는 보통 15-25만원 선이다.
  2. 보통 눈과 코로 곰팡이가 퍼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어디선가 곰팡내가 나고, 청소해도 냄새가 안 없어진다면, 곰팡이를 확인해주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게 좋다. [2]
    • 눈에 보이는 곰팡이가 있는지 주위를 살펴봐야 한다. 검은색 점들이 있거나, 물 묻은 흔적이 있거나, 특히 집 안에 습기가 찬 곳을 봐야 한다.
  3. 일산화탄소는 집에 많은 기기(스토브, 화로, 난로, 뜨거운 물이 들어 있는 히터, 그릴)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무향, 무색이며 맛이 느껴지지 않는 가스다. 일산화탄소를 들이마신다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집에 층마다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항상 설치하여 집 안의 일산화탄소가 많아지면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3]
    •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침실에 가깝게 두면 잠잘 때 경고음을 듣기 쉬울 것이다.
    • 감지기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갈아줘야 한다. 모델에 따라 배터리 수명이 다르더라도 일반적으로 6개월 정도에 한 번씩 갈아줘야 한다.
  4. 라돈은 우라늄이 깨질 때 자연스럽게 나오는 방사능 가스다. 토양, 우물에 있는 물에서 검출될 수 있고, 어떤 경우 집까지 침투한다. 라돈 오염을 막을 유일한 방법은 검사하는 것이다. 시중에서 실내용 라돈 검사기를 구매할 수 있다. [4]
    • 대부분 검사는 집에 센서 물질을 놓고 목탄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서 분석을 위해 연구실로 보내지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 게다가, 캔자스 주립대의 라돈 프로그램 서비스는 온라인 http://sosradon.org/test-kits 에서 검사 키트를 할인하여 판매한다.
  5. 이 기기는 공기질을 개선하는 데 아주 유용하고, 특히 알레르기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 좋다. 전기로 쓰는 공기정화기는 대개 필터 정화 장치 보다 공기에 있는 먼지 입자와 다른 알레르기 항원을 없애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이다.
    • 최상의 결과를 보려면 침실에 공기 정화기를 둔다. 이렇게 하면 집에 다른 곳에 두는 것보다 기기의 효과를 극대화해서 볼 수 있다(자는 동안).
  6. 의심이 들면, 공기 필터를 바꿔주는 건 항상 좋다. 평균 가정집이라면 90일마다 공기 필터를 바꿔주어야 하지만, 집 안의 공기질이 나쁘다면, 더 자주 바꿔줘도 된다. [5]
    • 집에 개나 고양이가 있다면 60일마다 공기 필터를 바꾼다.
    • 당신이나(집 안의 다른 사람이) 알레르기가 있다면 20-45일마다 공기 필터를 바꿔야 한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전문가의 도움 받기

PDF 다운로드
  1. 집 안의 공기질이 나쁘다는 생각이 들면,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공기질을 측정해서 제대로 된 정보를 얻어야 한다. 친구, 부동산, 건설회사에 물어서 근방의 자격이 증명된 전문가를 추천받는다. 전문가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생긴 나쁜 공기질을 테스트할 수 있을 것이다. [6]
    • 실내 곰팡이
    • 납으로 만들어진 페인트
    • 먼지 입자 또는 다른 알레르기
    • 연기와 관련된 공기 오염
    • 방향제, 양초, 향
    • 실내 청소제품
    • 연소로 인한 입자나 가스
  2. 집 안에 라돈 수치가 높은 것 같다면, 전문가를 고용해서 문제를 해결한다. 구청, 시청의 복지부에 전화하면 라돈 전문가 목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7]
  3. 집을 사거나 판매하는 경우, 어떤 경우에는 공기질 검사를 하는 게 조건부 계약이기도 하다. 특히 공기 오염이 심한 산업단지나 자연재해 (흔하게 산불이 일어나는 지역)가 일어난 지역에서 특히 그렇다. 이러면 집에서 검사를 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8]
    • 공기질을 테스트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특히 부동산, 대금 업자, 집 관리인이 추천해주는 사람을 구한다.
    • 아무 추천도 받지 못한다면, 온라인으로 검색해서 근방의 실제 이용고객들의 후기를 읽어본다.
    • 실내 공기질 협회나 실내 공기질 고문 국제협회 같은 분야의 전문가를 찾아볼 수도 있다. [9]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나쁜 공기질의 징조가 있는지 찾아보기

PDF 다운로드
  1. 날씨나 계절의 변화로 인한 알레르기라고 생각하기가 쉽지만, 공기가 나빠서 생긴 걸 수도 있다. 알레르기 증상이 눈에 띄게 심해진다면, 집 안의 공기질을 측정해봐야 한다. 다음은 흔하게 나타나는 알레르기 증상이다. [10]
    • 기침
    • 재채기
    • 눈물이 남
    • 코막힘
    • 두통
    • 코피
  2. 아픈 것과 집의 공기질은 상관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대개 그렇지만, 어떤 오염물질 (석면, 독성이 있는 곰팡이, 다른 화학물질)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폐렴이나 기관지염으로 힘든 경우 특히 그렇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집 안의 공기질을 테스트한다: [11]
    • 어지러움
    • 매스꺼움
    • 발진
    • 고열
    • 오한
    • 피로
  3. 집 공사는 공기질에 정말 많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집수리나 새로운 공사가 있으면 공기는 먼지 입자, 화학물질, 해로운 다른 물질에 노출될 수 있고 집 전체를 순환하기 시작할 것이다. [12]
    • 심지어 이웃 동네에 공사가 있어도 당신의 집 안에 공기질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잘 살펴봐야 한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7,119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