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태양계는 태양과 그 주위를 공전하는 여덟 개의 행성들(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행성들의 크기와 위치 순서를 알면 누구나 쉽게 태양계를 그릴 수 있습니다.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을 보면서 지구와 함께 태양계를 구성하고 있는 천체들의 다양한 특성에 대해서 배워보세요. 태양에서 각 행성들까지의 거리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해서 태양계를 그리면 됩니다.

방법 1
방법 1 의 2:

태양과 행성들을 그리기

PDF 다운로드
  1. 태양은 태양계를 이루는 천체들 중에서 가장 큽니다. 커다란 동그라미를 그린 후 주황색, 노란색, 빨간색으로 색칠해서 뜨거운 가스로 이뤄진 태양을 그리세요. 다른 행성들을 전부 그릴 수 있게끔 여백을 충분히 남겨둬야 한다는 걸 잊지 마세요. [1]
    • 태양은 대부분이 헬륨과 수소 가스로 이뤄져 있으며 핵융합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끊임없이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하고 있습니다.
    • 둥근 물체를 이용하거나 제도용 컴퍼스를 사용해서 그리세요. 도구를 사용하지 않은 채 손으로 그려도 됩니다.
  2. 수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이며 태양과 가장 가깝습니다. 수성을 그리기 위해서 우선 작은 동그라미를 그리세요.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 가장 작게 그려야 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그 다음, 짙은 회색으로 색칠하세요.
    • 지구와 비슷하게 수성도 핵이 액체 상태이며 겉은 고체로 된 딱딱한 층으로 덮여 있습니다. [2]
  3. 금성은 태양에서 2번째로 가까운 행성이며 수성보다 큽니다. 여러 가지 색조의 노란색과 갈색으로 금성을 색칠하세요.
    • 금성이 황갈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이산화황과 황산 물방울로 구성된 구름층이 표면을 덮고 있기 때문입니다. 구름층 밑으로 내려가서 금성의 지표면을 확인해보면 적갈색으로 보입니다. [3]
  4. 지구와 금성의 크기는 매우 비슷합니다. 지구에 비해서 금성의 지름은 불과 5% 짧습니다. 앞서 그렸던 금성보다 약간 큰 동그라미를 그리세요. [4] 그 다음, 초록색으로 대륙을 색칠하고 파란색으로 바다를 색칠하세요. 지구의 대기 중에 있는 구름을 표현하기 위해서 몇몇 부분은 색칠하지 말고 그대로 하얗게 놔두세요.
    • 과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 오직 지구에만 생명체가 존재하는 이유 중 하나는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입니다. 너무 뜨거울 만큼 가깝지 않고 너무 차가울 만큼 멀지도 않습니다. [5]
  5. 화성은 태양계에서 2번째 작은 행성입니다. 수성보다는 약간 크게, 금성과 지구보다는 작게 그리세요. 화성의 하늘은 녹슨 주황색입니다. 빨간색과 갈색으로 색칠하세요. [6]
    • 화성의 표면은 산화철로 덮여 있기 때문에 녹슨 것처럼 붉게 보입니다. 그래서 흔히 화성을 붉은 행성이라고 부릅니다. [7]
  6.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이므로 가장 크게 그려야 합니다. 물론 태양보다는 작게 그려야 합니다. 실제로 태양은 목성보다 10배 정도 큽니다. 목성의 대기 중에 있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표현할 수 있게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갈색으로 색칠하세요. [8]

    혹시 알고 있었나요? 기후에 따라 목성의 색깔은 변합니다.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거대한 폭풍으로 인해서 아래에 묻혀있던 화학물질과 다른 물체들이 표면으로 떠오릅니다. 그래서 색깔이 변하게 됩니다.

  7. 토성은 목성보다 작지만 나머지 행성들보다는 크기 때문에 목성을 제외한 나머지 행성들보다 크게 그려야 합니다. 토성과 고리는 노란색, 회색, 갈색, 주황색으로 색칠하세요.
    • 다른 행성들과는 다르게 토성은 독특한 고리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토성 주위에서 부서진 물체들이 토성의 중력 때문에 여러 겹의 고리들을 이루고 있는 것입니다. [9]
  8. 천왕성은 태양계에서 3번째로 큰 행성입니다. 목성과 토성에 비해서 작게 그리고 나머지 행성보다는 크게 그리세요. 천왕성은 대부분이 얼음으로 되어있으니 옅은 파란색으로 색칠하세요. [10]
    •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과는 다르게 천왕성은 바위처럼 거친 융핵이 없습니다. 대신에 천왕성의 핵은 대부분 얼음, 물, 메탄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9. 해왕성은 태양계의 8번째이자 마지막 행성입니다. 한때 명왕성을 9번째 행성으로 간주했지만 현재는 왜소행성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해왕성은 태양계에서 4번째로 큰 행성입니다. 목성, 토성, 천왕성에 비해서 작게 그리고 나머지 행성보다는 크게 그리세요. 그 다음, 짙은 파란색으로 색칠하세요. [11]
    • 해왕성의 대기는 메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왕성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메탄이 태양으로부터 붉은빛을 흡수한 후 파란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10. 태양계를 이루는 행성들은 모두 태양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공전궤도를 그림에 그릴 때는 우선 행성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서부터 이어지는 두 곡선을 그리세요. 그 다음, 두 곡선이 태양 쪽으로 벌어지도록 종이 끝까지 그으면 행성이 태양을 공전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12]
    • 각 행성들의 공전궤도가 서로 겹치지 않게끔 그리세요.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태양계를 축소하기

PDF 다운로드
  1.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를 그림에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우선 천문단위(AU)로 변환해야 합니다. 참고로 태양에서 각 행성들까지의 거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13]
    • 수성: 0.39AU
    • 금성: 0.72AU
    • 지구: 1AU
    • 화성: 1.53AU
    • 목성: 5.2AU
    • 토성: 9.5AU
    • 천왕성: 19.2AU
    • 해왕성: 30.1AU
  2. 예를 들어서 1cm = 1AU 또는 2.5cm = 1AU 비율로 축소하면 됩니다. 본인이 원하는 비율대로 축소하세요. 축소비율이 적을 수록 더 큰 종이에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14]

    팁: A2 또는 A3 용지를 사용할 경우, 1cm = 1AU 비율로 축소하면 됩니다. 이보다 더 적은 비율로 축소할 경우 더 큰 종이를 사용하세요.

  3. 천문단위로 표기된 거리와 본인이 정한 축소단위를 곱하세요. 두 숫자를 곱한 값이 새로운 단위로 표기된 거리입니다. [15]
    • 예를 들어서 1cm = 1AU 비율로 축소했다면 태양에서 각 행성들까지의 거리와 1cm를 곱해서 단위를 센티미터로 변환하세요. 해왕성의 경우, 태양으로부터 30.1AU 떨어져 있으므로 그림에는 30.1cm라고 적으면 됩니다.
  4. 먼저 종이에 태양을 그린 후 자를 사용해서 각 행성들의 거리를 측정하고 표시하세요. 표시한 곳에 각각의 행성들을 그리세요. [16]
    • 행성들이 실제로 태양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 지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그림의 오른쪽 상단 또는 왼쪽 하단에 축소비율을 작은 글씨로 적으세요.
    광고

필요한 것

  • 종이
  • 연필
  • 색연필
  • 제도용 컴퍼스 (선택사항)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8,484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