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토끼는 사랑스럽고 귀여운 동물이지만, 먹이 사슬의 가장 밑에 위치한 동물이기 때문에 쉽게 겁을 먹고 사람을 잘 신뢰하지 않는다. [1] 토끼의 바디 랭귀지를 읽고 토끼가 필요로 하는 부분을 충족시켜줄 수 있다면, 토끼가 나를 신뢰하는 방법을 배우고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수의사 피파 엘리엇(Pippa Elliott)의 팁: "토끼는 오랫동안 어린이들의 애완동물로 여겨져 왔지만, 토끼는 쉽게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대해주어야 하며, 신뢰를 얻기까지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그렇다고 아이들이 토끼를 기를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른들의 안내와 감독과 함께 토끼를 제대로 기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파트 1
파트 1 의 3:

토끼의 바디 랭귀지 읽기

PDF 다운로드
  1. 토끼는 놀랍게도 여러 영역에 걸친 소리를 통해 즐거움에서 외로움, 공포의 감정까지 의사소통한다. 토끼에게 다가갈 때 토끼가 내는 소리를 잘 들어보면 토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이빨을 딸깍하는 소리는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편안함과 만족감의 신호이다. 이는 고양이의 골골거리는 소리처럼 쓰다듬어주거나 케이지 혹은 집에서 안전함이나 만족감을 느낄 때 토끼가 내는 소리이다. 토끼가 이런 소리를 낸다면 나를 좋아하고 신뢰한다는 좋은 신호이다. [2]
    • 코를 힝힝 거리는 표현은 보통 관심이나 사랑을 받고 싶을 때, 혹은 불만족스러움을 표현할 때 나는 소리로 아려져 있다. 하지만 특히 토끼의 코에서 이물질이 배출된다면, 호흡기 감염의 신호일 수 있다. 감염이 의심된다면, 동물 병원에 가서 이런 가능성을 제거해보자. [3]
    • 킁킁거리거나 꽤액 소리를 내는 것은 일반적으로 통증이나 두려움의 신호이다. 토끼를 들어 올렸을 때 이런 반응을 보인다면, 토끼를 잘못 다루고 있거나 토끼가 나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표현일 수 있다. [4]
    • 이를 가는 것은 통증, 아픔, 불안감의 증상으로, 토끼가 이런 반응을 보인다면 토끼가 몹시 불편하거나 아픈 것일 수 있다. 이런 경우 동물 병원을 방문해보고, 앞으로 이런 증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조언을 얻어보자. [5]
    • 그렁거림은 공포나 불만의 신호이다. 토끼가 나에게 그렁거리고 있다면, 나에게 위협을 느끼거나 자신을 해하지 말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런 반응이 나타나면, 토끼의 먹이나 장난감, 화장실에 손을 대지 않는 것이 좋다. [6]
    • 고통이 매우 심하거나 죽음이 두려우면 토끼가 소리를 지른다. 토끼를 다룰 때 소리를 질렀다면, 부상을 입었거나 내가 토끼를 해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일 수 있다. 만일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토끼가 소리를 지르는 것을 목격했다면, 동물 병원을 찾아보자. [7]
  2. 토끼의 소리처럼 바디 랭귀지도 토끼의 감정에 대해 많은 것을 드러낼 수 있으니, 토끼의 자세와 바디 랭귀지를 잘 살펴보자. 토끼의 외로움의 신호와 방해받고 싶어 하지 않는 신호를 구분하면, 토끼의와 돈독한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토끼의 귀를 살펴보자. 토끼의 청각은 매우 좋으며, 바디 랭귀지의 신호를 줄 때 귀를 사용한다. 토끼의 귀가 몸 쪽으로 납작하게 접혀 있다면, 토끼가 안전함과 편안함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귀가 앞으로 접혀 있다면, 토끼가 위협의 여지가 있을 수 있는 무언가를 감지했음을 의미한다. 한 쪽 귀는 앞으로, 다른 쪽 귀는 뒤로 접혔다면, 특정한 활동의 불안한 정도를 파악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8]
    • 토끼가 몸 뒤쪽으로 뒷다리를 쭉 뻗었다면 편안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상태로는 뜀 뛰기를 하거나, 도주 호은 공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집에서 안전함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9]
    • 토끼의 몸이 긴장된 것처럼 보인다면, 겁을 먹었거나 불안해서일 수 있다. 내가 한 행동이 토끼에게 겁을 주었거나, 집안 환경 어딘가가 토끼의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10]
  3. 토끼는 소리와 바디 랭귀지에 더불어의 접촉을 통해 욕구와 불만족스러움을 표현하기도 한다.
    • 코로 사람을 쿡 찌르는 것은 토끼가 사람들의 관심을 얻고 싶을 때 나타내는 반응이다. [11]
    • 사람을 핥는 것은 애정의 표현이며, 소금기를 원하기 때문에 사람을 핥는 것이 아니다. 이는 사람들과 교류하고 싶음을 나타내고 사람을 매우 믿고 따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12]
    • 사람 앞에서 털썩 주저 않는 것도 신뢰와 만족의 표현이다. [13]
    • 토끼를 만져줄 때 토끼가 안쪽 눈꺼풀(눈의 가장자리)을 보인다면, 겁을 먹었거나 불안함을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 토끼가 나의 접촉에 이렇게 반응한다면, 토끼의 신뢰를 더 얻을 때까지 만져주지 않는 것이 좋다. [14]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집에서 토끼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기

PDF 다운로드
  1. 토끼가 집에서 안전함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나의 관심에 저항하는 것일 수 있다. 토끼가 조용하고 편한 공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집안에 거주하는 다른 반려동물로부터 안전한 공간을 마련해주자. 토끼와의 접촉이 많이 줄어들어서 집에 적응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지만, 토끼가 방해받지 않도록 다른 방에 케이지를 두는 방법도 고려해보자. [15]
    • 토끼와 매일 교류할 수 있으며, 토끼가 집안의 다른 사람들을 관찰할 수 있는 공간에 케이지를 두되, 토끼가 매일 일어나는 일상생활에 놀라지 않도록 어느 정도 고립감이 있는 장소여야 한다. [16]
    • 토끼가 거주하는 공간의 온도를 편안하게 맞춰준다. 토끼는 보통 15.5 – 21도 사이의 온도에서 편안함을 느끼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토끼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17]
    • 토끼의 케이지에 직사광선이 닿지 않도록 한다. 충분한 그림자가 지도록 해주면 케이지의 온도가 조절되고 과열 방지에 도움이 된다. [18]
  2. 운동은 토끼의 삶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놀이를 통해 좋은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토끼의 케이지가 뛰어다닐 수 있을 만큼 크지 않다면, 실내에서 토끼가 놀이하고 뛰어다닐 수 있는 둘러싸인 공간을 조성해보자. [19]
    • 놀이 공간은 토끼에게 안전한 공간이어야 한다. 전기 케이블이나 토끼가 씹을 수 있는 가구가 해당 공간 내에 없도록 하고, 실외라면 토끼가 넘어갈 수 없는 둘러싸인 공간인 것이 좋다. [20]
    • 토끼가 케이지 밖에 있을 때는 상시 토끼를 주시하는 것이 좋다. 토끼는 매우 호기심이 많은 동물이기 때문에 쉽게 다치거나 위험한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 [21]
  3. 토끼의 애정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가 토끼가 필요로 하는 먹이를 주는 것이다.
    • 위장 건강을 위해 토끼는 티머시그라스나 참새귀리 등의 목건초를 필요로 한다. [22]
    • 토끼에게 최소 15 – 19%의 단백질, 18%의 식이섬유가 들어간 사료를 주어보자. 6개월이 지난 토끼라면 토끼의 몸무게가 2.5 kg 늘어날 때마다 1/8 – 1/4컵을 더해준다(예를 들어 5 kg의 토끼라면 매일 1/4 – 1/2 컵의 알갱이 사료를 주는 것이 좋다). [23]
    • 토끼에게 신선한 초록 잎채소를 주어보자. 토끼는 짙은 잎의 상추, 순무 잎, 당근 꼭지를 좋아한다. 토끼의 몸무게가 3 kg 증가할 때마다 최소 2컵의 초록 잎채소를 주어보자(예를 들어 6kg의 토끼라면 적어도 하루에 4컵 정도의 초록 잎채소를 주는 것이 좋다). [24]
    • 쉽게 넘어지지 않는 물병이나 그릇 등에 담긴 깨끗하고 신선한 물을 토끼가 항상 마실 수 있도록 해준다. [25]
  4. 토끼는 놀이를 좋아한다. 특히 토끼만을 위해 제작된 장난감을 구매하거나, 스스로 만들어보자.
    • 토끼는 씹거나, 어딘가에 묻거나 숨길 수 있는 장난감을 좋아한다. 빈 박스를 활용해서 토끼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만들어보거나, 놀이 시간을 더 재미있게 만들 수 있는 장난감을 구매해보자. [26]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토끼와 유대감을 형성하기

PDF 다운로드
  1. 토끼가 케이지 밖을 뛰어다니고 탐험할 수 있도록 해보자. 토끼가 처음에는 침대나 소파, 옷장 밑처럼 어두운 곳에 숨을 수 있다. 하지만 토끼는 호기심이 많은 동물이기 때문에, 새로운 집을 탐험하고 싶은 유혹을 견디지 못하고 나올 때까지 토끼가 익숙해질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준다.
    • 토끼가 용감하게 밖으로 나왔다면, 조용히 앉아서(바닥에 앉는 것이 가장 좋다) 토끼가 나에게 다가오도록 해보자. 토끼가 매우 귀엽기 때문에 쓰다듬고 안아주고 싶은 마음이 크겠지만, 토끼가 집에 온 후 1-2일간은 토끼가 본능에 따라 우리가 위험한 존재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끼가 먼저 다가올 수 있도록 해보자. 토끼가 가까이 다가와서 코를 맞대고 냄새를 맡는다면, 토끼가 나를 신뢰하기 시작했다는 신호이니 움직이지 말자
  2. 간과하기 쉬운 부분이지만, 토끼를 제대로 다루는 법을 배우는 것이 토끼와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를 잘 배우지 못하면 토끼가 불편함을 느끼고 벗어나려고 꿈틀거릴 수 있다. 이런 모습은 나와 토끼에게 매우 고통스러운 경험이 될 수 있으며, 토끼가 몸부림을 치다가 목이나 척추 부상을 입을 수 있다.
    • 부드러우면서도 견고하게 행동한다. 토끼를 세게 안아주지 말되, 토끼가 넘어지거나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꼭 붙잡아준다. 토끼가 안전하게 팔 안에 머물 수 있을 만큼의 힘만 주도록 하자. [27]
    • 토끼의 등과 뒷다리를 받쳐준다. 토끼를 안아줄 때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간과하지 말도록 하자. [28]
  3. 토끼가 아직 나에게 익숙해지지 않았다면, 케이지 밖으로 꺼내는 나의 손길을 즐기지 않을 것이다. 토끼를 잡아서 밖으로 이동한 뒤 함께 시간을 보내기 보다, 케이지의 문을 열어두고 토끼가 스스로 나와서 탐험할 수 있도록 해보자.
  4. 토끼를 입양한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혼자 적응하고 사람들 속에서 편안해질 수 있는 시간을 주어보자. [29]
    • 조용한 고립된 방에 가서 다른 반려동물이나 토끼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물체가 없는 공간에서 둘만의 시간을 가져보자. [30]
    • 토끼에게 간식을 주면 불안한 마음을 편안하게 해줄 수 있다. 당근, 혹은 작은 사과나 바나나 조각, 귀리 한 줌 등의 건강한 간식을 마련해보자. 간식을 바닥에 두고 토끼가 먹을 수 있도록 해본 후, 손으로 먹이를 주어보자. [31]
    • 토끼가 나에게 편안함을 느낄 때까지 매일 연습해보자. 반복적인 일상은 토끼가 익숙함을 느끼는데 매우 중요하다. [32]
  5. 새로운 토끼가 쓰다듬기나 들어 올리기에 편안함을 느끼지 않는다면 이를 강요하지 말자. 토끼에게 무서운 경험으로 남으면, 그 이후에도 토끼가 이런 행동을 두려워할 수 있다. [33] 실제로 토끼의 습성으로 인해 들어 올리기에 전혀 익숙해지지 않는 토끼들도 있다. [34] 토끼가 쓰다듬기나 만지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다른 방법으로 토끼를 편안하게 해주고 유대감을 형성해보자.
    • 안정적인 목소리로 토끼를 편안하게 해주어 보자. 토끼와 자주 대화하고 나의 목소리에 토끼가 익숙해지도록 한다. [35] 토끼는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하루 종일 케이지에 앉아있으면 무료함을 느낀다. 가끔은 토끼에게 말을 걸기만 해도 토끼가 주저앉아서 이를 딸깍거리는 행동을 보이며 나에게 응할 수 있다!
    • 토끼에게 절대 소리를 지르지 않는다. 토끼는 다른 반려동물들처럼 훈련을 시킬 수 없다. 토끼는 내가 왜 소리를 지르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겁을 먹을 수 있다.
    • 손을 내밀어서 토끼가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해보자. 내 주변에 있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토끼라면, 토끼를 들어 올리기 전에 나의 모습과 냄새, 그리고 소리에 익숙해질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준다. [36]
    • 토끼 주변에서 절대로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다. 토끼가 놀라서 케이지 안으로 도망갈 수 있다.
  6. 특히 다른 사람 앞이라면 이른 행동이 불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일부 토끼 전문가들은 토끼가 하는 것처럼 얼굴과 머리를 닦아주는 행동을 보이면 놀란 토끼의 마음을 여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사람이 이런 행동을 보이면 토끼가 새로운 집에 더 빨리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37]
  7. 토끼는 매일 해가 뜨고 해가 지는 시각에 활동량이 제일 많으며, 낮에 휴식을 취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토끼와 놀이 시간을 갖고 유대감을 형성하고 싶다면, 토끼가 가장 활동적이고 놀이를 원하는 시간에 맞춰보자.
    광고

  • 토끼가 나와 놀도록 강요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토끼가 한 발자국 물러날 수 있으니, 바닥에 앉아서 토끼가 나에게 먼저 다가올 수 있도록 해보자.
  • 토끼를 집에 데리고 온 첫날 많은 사람들에게 토끼를 보여주지 않는다.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노출되면 토끼가 굉장히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 토끼의 신뢰를 얻기 위해 토끼가 좋아하는 당근, 셀러리, 사과와 같은 간식을 주어보자. 간식으로 길을 만들어서 나에게 다가올 수 있도록 해보자.
  • 토끼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자.
  • 토끼는 매우 사회적인 동물로 친구를 필요로 한다. 서로를 이해하고 대화할 수 있는 토끼 친구를 마련해주는 것이 가장 좋다.
  • 손님이나 외부인이 토끼를 괴롭히도록 두지 않는다.
  • 토끼에게 물려서 상처가 났다면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보자.
  • 손을 내밀어서 토끼가 나의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해보자.
  • 토끼의 귀를 문질러서 토끼를 편안하게 해주어 보자. 토끼의 귀를 만져줄 때 가끔 토끼가 눈을 감는 경우도 있다.
  • 너무 과하게 노력하면 토끼가 나를 위협적인 존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토끼가 나를 신뢰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주어 보자.
광고

경고

  • 토끼 등의 가죽을 잡고 토끼를 들어 올리지 않으며, 발을 꼭 받쳐준다.
  • 토끼의 나쁜 행동을 절대 처벌하지 않는다. 토끼는 처벌을 통해 배우는 동물이 아니다.
  • 토끼가 전기 케이블을 절대 씹을 수 없도록 하자. 토끼가 감전을 입고 목숨을 잃을 수 있다.
  • 토끼가 세게 물 수도 있다. 토끼가 툴툴거리는 소리를 내며 귀가 뒤로 젖혀져 있다면, 뒤로 물러서서 토끼가 안정을 찾을 때까지 그대로 두어보자.
  • 들어 올리는 것을 싫어하는 토끼라면 토끼를 들어 올리지 않는다. 이보다 쓰다듬어주는 것을 선호하는 토끼들이 있다.
  • 햄스터 스타일의 물병보다는, 토끼가 한 번에 물방울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고양이나 반려견 용 세라믹 물 그릇을 마련해보자.
광고

필요한 것

  • 큰 케이지
  • 장난감
  • 물병
  • 신선한 과일과 채소
  • 알갱이 사료
  • 티모디 건초
  • 소금 덩어리
  • 브러시
  • 신문이나 대팻밥
  1. http://rabbitresource.org/care-and-health/behavior/how-to-speak-rabbit/
  2. http://rabbitresource.org/care-and-health/behavior/how-to-speak-rabbit/
  3. http://rabbitresource.org/care-and-health/behavior/how-to-speak-rabbit/
  4. http://rabbitresource.org/care-and-health/behavior/how-to-speak-rabbit/
  5. http://rabbitresource.org/care-and-health/behavior/how-to-speak-rabbit/
  6. http://www.rabbit.org/journal/4-3/new-home.html
  7. http://www.rabbit.org/journal/4-3/new-home.html
  8. http://netvet.wustl.edu/species/rabbits/rabtcare.txt
  9. https://www.pdsa.org.uk/taking-care-of-your-pet/rabbits/environment
  10. https://www.aspca.org/pet-care/small-pet-care/general-rabbit-care
  11. https://www.aspca.org/pet-care/small-pet-care/general-rabbit-care
  12. https://www.aspca.org/pet-care/small-pet-care/general-rabbit-care
  13. https://www.aspca.org/pet-care/small-pet-care/general-rabbit-care
  14. https://www.aspca.org/pet-care/small-pet-care/general-rabbit-care
  15. https://www.aspca.org/pet-care/small-pet-care/general-rabbit-care
  16. https://www.aspca.org/pet-care/small-pet-care/general-rabbit-care
  17. http://www.rspca.org.uk/adviceandwelfare/pets/rabbits/behaviour/enrichment/toys
  18. http://www.rspca.org.uk/adviceandwelfare/pets/rabbits/company/handling
  19. http://www.rspca.org.uk/adviceandwelfare/pets/rabbits/company/handling
  20. http://www.bio.miami.edu/hare/shybun.html
  21. http://www.bio.miami.edu/hare/shybun.html
  22. http://www.bio.miami.edu/hare/shybun.html
  23. http://www.bio.miami.edu/hare/shybun.html
  24. http://www.rabbit.org/journal/4-3/new-home.html
  25. http://www.bio.miami.edu/hare/shybun.html
  26. http://www.rabbit.org/journal/4-3/new-home.html
  27. http://www.rabbit.org/journal/4-3/new-home.html
  28. http://www.rabbit.org/journal/4-3/new-home.html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2,29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