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피부에 박힌 가시는 크기가 작아도 상당히 고통스럽고 제거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가시가 크거나 심각하다면, 제거하기 위해 의학적 치료를 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작은 가시로 인해서 통증과 불편함을 느낀다면, 이 글을 통해 박힌 가시를 제거하고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들을 알아보자.

방법 1
방법 1 의 5:

핀셋으로 제거하기

PDF 다운로드
  1. 가시를 제거하기 전에 따뜻한 물과 비누로 손과 가시가 박힌 피부 주변을 깨끗이 씻으면 박테리아에 감염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1]
    • 순한 비누와 따뜻한 물로 20초 동안 손을 씻는다. [2]
    • 순한 비누와 물, 또는 향균성 세정제를 사용하여 상처 부위를 세척한다.
    • 가시를 제거하기 전에 손과 가시가 박힌 부위의 물기를 잘 닦아낸다.
  2. Watermark wikiHow to 피부에 박힌 가시 제거하는 방법
    핀셋을 사용하기 전에 상처 내부에 박테리아가 퍼지거나 감염될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반드시 소독용 알코올로 살균해야 한다. 상처에 박테리아가 침투하면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3] .
    • 알코올로 핀셋을 소독하기 위해서 소독용 그릇이나 컵에 몇 분 동안 담가두거나, 솜을 사용하여 소독용 알코올로 핀셋을 닦는다.
    • 소독용 알코올은 약국이나 의료기기 판매점, 또는 편의점에서 구할 수 있다.
  3. Watermark wikiHow to 피부에 박힌 가시 제거하는 방법
    가시를 제거할 때 돋보기 사용을 고려해보자. 박힌 가시를 선명하게 볼 수 있고, 피부에 더 깊은 상처가 생길 위험이 줄어든다. [4]
  4. Watermark wikiHow to 피부에 박힌 가시 제거하는 방법
    만일 가시가 피부에 덮여있다면, 그 부위를 절개하고 피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소독한 바늘을 사용한다. 소독용 알코올에 담갔거나 소독용 알코올로 닦아낸 바늘을 사용하도록 하자. 소독한 바늘로 가시를 덮고 있는 피부를 절개해서 들어올리면, 박힌 가시를 잡아서 빼기가 더 쉬울 것이다. [6]
    • 피부를 절개하거나 박힌 가시를 보기 위해 바늘을 더 깊숙이 넣어야 하는 경우라면, 상처 입을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병원에 가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5. Watermark wikiHow to 피부에 박힌 가시 제거하는 방법
    가시 끝부분이 드러나면, 핀셋으로 피부 밖으로 나온 가시를 집는다. 피부에 박힌 방향을 따라 조심스럽게 뽑아낸다. [7]
    • 가시를 집기 위해서 핀셋을 더 깊이 넣어야 하는 경우라면, 병원에 가서 제거하는 것이 좋다.
    • 가시의 일부분이 부서진 경우에는 병원에 가거나 핀셋으로 다시 집어보도록 하자. [8]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5:

테이프로 제거하기

PDF 다운로드
  1. Watermark wikiHow to 피부에 박힌 가시 제거하는 방법
    식물이나 유리 섬유에서 나온 부서지기 쉬운 가시는 테이프로 잘 제거되는 편이다. 마스킹 테이프, 강력 접착테이프, 전기용 테이프 등 이 방법에 여러 가지 종류의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작은 테이프 한 조각만 있으면 된다.
    • 테이프를 붙이기 전에 반드시 가시가 박힌 부위에 물기가 없고 청결해야 한다.
    • 시작하기 전에 먼저 손을 씻고 물기를 닦아낸다.
  2. Watermark wikiHow to 피부에 박힌 가시 제거하는 방법
    테이프를 가시가 박힌 부위에 붙이고 가시가 고정되도록 누른다. 이때 가시가 피부 속으로 더 깊숙이 박힐 정도로 누르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가시가 박힌 곳의 가장자리에 힘을 가한다. [9]
  3. Watermark wikiHow to 피부에 박힌 가시 제거하는 방법
    테이프가 가시에 붙은 것을 확인한 다음, 테이프를 벗겨낸다. 가시가 피부 속에 박힌 것과 같은 방향으로 천천히 떼어내도록 하자. [10] 테이프를 잡아당길 때 반드시 가시가 테이프에 붙은 상태로 빠져 나와야 한다.
  4. Watermark wikiHow to 피부에 박힌 가시 제거하는 방법
    테이프를 떼어낸 후에 가시가 붙어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가시 일부가 피부 속에 박혀있는지도 확인하도록 하자. 여전히 가시 전체 또는 일부가 박혀있다면, 이 과정을 반복하거나 다른 방법을 시도한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5:

접착제로 제거하기

PDF 다운로드
  1. 문구용 풀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시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간단히 가시와 그 주위에 접착제를 한 번 바르도록 한다. [11] 반드시 접착제가 가시를 완전히 덮을 만큼의 두께로 발라야 한다.
    • 순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순간 접착제는 피부에 붙으면 벗겨지지 않고, 가시를 제거하기 보다는 오히려 피부 속에 더 깊이 박히게 할 가능성이 있다. [12]
    •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모제 또는 왁스 스트립 제품을 사용해도 된다. [13]
    • 시작하기 전에 우선 손과 가시가 박힌 곳 주위를 깨끗이 씻고 물기를 제거한다.
  2. 접착제를 제거하기 전에 반드시 완전히 건조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박힌 가시가 붙지 않을 수도 있다. 피부에 접착제를 바른 채로 30분에서 한 시간 정도 그대로 둔다. 확인하고 건조되었는지 살펴본다. 접착제가 건조되면 끈적거리거나 축축하지 않아야 한다.
  3.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된 것을 확인하면, 가장자리를 붙잡고 가시가 피부 속으로 박힌 방향을 따라 천천히 그리고 고르게 잡아당긴다. 박힌 가시에 붙은 접착제를 벗겨내면서 가시가 함께 빠져 나오도록 잡아당기자.
  4. 벗겨낸 접착제에 가시가 붙어있는지 살펴본다. 여전히 가시의 일부가 피부 속에 박혀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만일 그렇다면, 이 과정을 반복하거나 다른 방법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5:

가시 박힌 부위의 상처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가시를 성공적으로 제거했다면, 피가 나올 때까지 그 부위를 조심스럽게 짜내도록 하자. 상처 부위에서 가시로 인한 세균이 빠져 나올 수 있다. [14]
    • 너무 세게 짜내지 않도록 한다. 힘을 조심스럽게 가했는데 상처에서 피가 나지 않는다면, 그대로 둬야 한다. 향균연고와 같은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세균과 박테리아를 제거할 수 있다.
    • 적어도 1분 동안 따뜻한 물로 헹궈서 상처 부위를 세척한다.
  2. 상처 부위를 짜낸 후에 계속해서 피가 나거나 출혈이 멈추지 않는다면, 그 부위를 눌러서 지혈해야 한다. [15] 이 방법으로 심각한 혈액손실과 쇼크를 예방할 수 있다. [16] 가벼운 상처로 인한 출혈은 몇 분 이내로 멈춘다. 피가 너무 많이 나거나 출혈이 멈추지 않는다면, 곧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 출혈이 멈출 때까지 상처 부위에 거즈나 탈지면으로 누른다.
    • 상처로 인해 피부가 찢어졌다면, 두 겹의 무균 거즈 또는 깨끗한 천으로 눌러서 피부의 갈라진 부분을 붙이도록 하자. [17]
    • 출혈이 있는 부위를 심장보다 높이 두면 지혈하는데 도움이 된다. [18] 예를 들어, 가시가 손가락에 박혔다면 피가 멈출 때까지 손을 머리 위로 들고 있는다.
  3. 피부에 박힌 가시를 제거한 후에는, 비누와 따뜻한 물로 상처 부위를 씻어낸다. 상처 부위에 남아있는 박테리아나 세균을 세척하는데 도움이 된다. 세척을 마치고 나서 향균연고도 바르도록 하자. [19]
    • 상처 부위에 하루에 2회 향균연고를 바르면 감염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20]
    • 바시트라신, 네오마이신, 폴리믹신 B와 같은 향균연고를 구입한다. 여러 회사의 제품들에 이 세가지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른바 ‘트리플연고(triple antibiotic ointment)’라고 한다. [21]
  4. 출혈이 멈추고 나서 상처 부위가 깨끗하면, 박테리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 부위를 감싸야 한다. 의료용 반창고를 거즈에 붙여서 보호하거나, 붕대를 감도록 하자. 붕대는 지압효과도 있을 것이다. [22]
    광고
방법 5
방법 5 의 5:

의학적 도움 구하기

PDF 다운로드
  1. 피부 표면 바로 아래에 박힌 작은 가시는 안전하게 집에서 제거할 수 있다. [23] 하지만, 반드시 병원에 가서 가시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어떤 종류의 가시가 박혔는지 모르거나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에는, 즉시 병원에 가도록 하자. [24]
    • 가시가 근육 또는 신경을 관통하고 0.5센티미터 이상 깊이 박혔다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2. 가시가 매우 깊이 박혔거나 심한 통증을 유발하며, 빠져 나오지 않고, 혹은 직접 제거하기 꺼려지는 경우에도 곧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심각한 감염이나 상처 입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25]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의사에게 진료를 받도록 하자. [26]
    • 눈 부위에 가시가 박힘.
    • 가시가 쉽게 빠져 나오지 않음.
    • 상처 부위가 깊고 오염됨.
    • 파상풍 예방주사를 접종한지 5년이 지남.
  3. 가시를 제거한 부위에 어떠한 감염의 징후가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의사가 치료방법을 처방하고 보이지 않았던 가시 조각을 제거할 것이다. [27] 감염의 징후는 다음과 같다. [28]
    • 상처 부위의 배농
    • 상처 부위가 욱신거림
    • 상처 부위에 발적 또는 붉은색 줄이 나타남
    • 발열
  4. 가시가 매우 작거나 어떠한 통증도 유발하지 않는다면, 피부에 그대로 두도록 한다. 피부가 저절로 박힌 가시를 밀어낼 것이다. 가시가 박힌 피부 주변에 작은 뾰루지가 생기고 이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올 가능성도 있다. [29]
    • 가시가 박힌 부위를 청결하게 하고 감염 징후를 관찰한다. 발적이 나타나거나 열이 나고, 또는 통증이 유발된다면, 병원에 가도록 하자. [30]
    광고

  • 가시를 빼기 전에 통증이 없게 하려면, 그 부위를 얼음으로 문지르되 집적 얼음을 대지 않아야 한다. 가시를 빼기 전에 그 부위의 물기를 제거하도록 하자.
  • 핀셋, 큐티클 커터 등을 이용하여 박힌 가시 주변의 피부를 밀어내면 피부가 박힌 가시를 밀어서 빠져 나올 것이다.
  • 가시가 박힌 부위를 뜨거운 물에 담갔다가 가시를 제거한다.
  • 상처 부위에 소량의 푸레파레숀에치 연고를 바르면, 부기와 발적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 상처 부위에 소금을 묻힌 다음 그 위에 얼음을 올려 놓는다.
광고

경고

  •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가시가 박힌 부위를 반드시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광고
  1.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splinter/
  2. http://www.whattoexpect.com/toddler/childhood-injuries/splinters-in-children.aspx
  3. http://www.peoplespharmacy.com/2014/06/30/household-glue-offers-remedy-for-easy-splinter-removal/
  4.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splinter/
  5.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6.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7.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8.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9.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10.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11.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12.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13.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14.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15.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16.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splinter/
  17.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18.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basics/art-20056604
  19.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splinter/
  20.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splinter/
  21. http://www.seattlechildrens.org/medical-conditions/symptom-index/splinter/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91,58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