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오늘 저녁으로 감자를 먹을 생각인가? 맛있겠다! 그런데 이게 무슨 냄새일까? 게다가 감자가 왜 이렇게... 쭈글쭈글할까? 상한 감자와 먹어도 되는 감자를 가려내는 것은 다소 까다롭다. 어떤 점을 살펴봐야 하는지 모를 때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이 글을 통해 생감자나 익힌 감자가 상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살펴봐야 할 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싹 난 감자나 녹색 감자를 먹는 유용한 팁과 감자를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기간도 알아볼 것이다.

이 글은 식물 및 가드닝 전문가, 올리비아 충(Olivia Choong) 더 텐더 가드너(The Tender Gardener) 사장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인터뷰 전문 여기서 확인하기.

방법 1
방법 1 의 7:

자르지 않은 생감자가 상했는지 알아보는 방법

PDF 다운로드
  1. 싱싱한 감자는 손으로 만져보았을 때 단단하고 물렁물렁하지 않다. 감자가 속이 물렁하거나 흐물거리는 느낌이라면 썩었을 가능성이 높다. [1]
    • 고구마도 똑같다. 고구마는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상하면 아주 빠르게 물컹물컹해진다. [2]
    • 감자의 작은 부분만 물렁거리고 나머지는 단단하다면 물렁물렁한 부분만 잘라낸 후 나머지는 먹는다.
  2. 감자를 살 때 껍질이 팽팽하고 많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껍질이 쭈글쭈글하면 감자가 상했다는 뜻이다. [3]
    • 검은 반점이나 늘어지는 것 또한 둘 다 감자가 상했음을 나타낸다.
  3. 신선한 감자는 흙, 견과류, 전분 냄새가 나지만 악취를 풍기지 않는다. 감자 냄새를 맡았을 때 썩은 냄새나 곰팡이 냄새가 나면 그 감자를 버려야 한다. [4]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7:

익힌 감자가 상했는지 알아보는 방법

PDF 다운로드
  1. 익힌 감자가 상했는지 알아보는 것은 다소 어렵지만 가장 확실한 지표는 냄새이다. 익힌 감자에서 시큼하거나 썩은 냄새가 나면 더 이상 먹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 [5]
  2. 곰팡이가 눈에 보이면 감자가 상했다는 뜻이다. 익힌 감자가 상했는지 알아보려면 갈색, 검정색 녹색 반점이 생겼는지 살펴본다. [6]
  3. 특히 매쉬드 포테이토는 물과 덩어리가 분리되기 시작하면 상한 것이다. 매쉬드 포테이토를 먹으려고 하는데 위에 물이 생겨 있으면 안타깝지만 상한 것이다. [7]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7:

싹이 난 감자를 먹을 수 있을까?

PDF 다운로드
  1. 싹난 감자는 상한 것은 아니지만 며칠 안에 상할 가능성이 높다. 싹난 감자를 먹고 싶다면 칼이나 필러로 싹을 도려낸다. [8] 그러나 싹이 매우 길다면 영양가가 매우 적으므로 감자를 버리는 것이 좋다.
    • 감자에 싹이 나면 감자의 영양분을 가져가버린다. 다시 말해서 싹 난 감자를 먹는 것은 신선한 감자를 먹는 것에 비해 영양가가 없다.
    • 먼저 싹을 도려내는 것이 중요하다. 감자싹은 약간 독성이 있어 먹으면 아플 수 있다.
방법 4
방법 4 의 7:

녹색 감자를 먹을 수 있을까?

PDF 다운로드
  1. 녹색으로 변한지 얼마 안 된 감자는 먹을 수 있다. 감자가 빛에 노출되면 색이 녹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감자의 한 부분만 살짝 녹색으로 변샜다면 그 부문 잘라내고 먹는다. [9]
    • 밝은 녹색을 띤 감자나 전체가 녹색인 감자는 먹지 않는다. 감자가 녹색을 띠게 만드는 솔라닌은 다량으로 섭취하면 독이 되며 맛도 그다지 좋지 않다. [10]
    • 녹색 감자를 어린 아이들에게 먹이면 안 된다. 아이는 어른에 비해 체구가 작기 때문에 감자의 솔라닌에 심각한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다. [11]
    광고
방법 5
방법 5 의 7:

상한 감자를 먹으면 어떻게 될까?

PDF 다운로드
  1. 익힌 감자는 며칠만 지나도 먹기에 위험한 박테리아가 생긴다. 너무 오래된 익힌 감자를 먹으면 발열,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에 시달릴 수 있다. 다행히 식중독은 보통 며칠 지나면 낫는다. [12]
    • 물을 넘길 수 없거나 3-4일이 지나도 계속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간다.
  2. 녹색 감자와 감자싹에는 약한 독소가 포함되어 있어 복통,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과 같은 증상에 시달릴 수 있다. 다행히 이런 증상은 보통 며칠 지나면 저절로 사라진다. [13]
    • 증상이 며칠 이상 지속되고 물을 넘길 수 없으면 병원에 연락한다.
    광고
방법 6
방법 6 의 7:

생감자를 보관하는 방법

PDF 다운로드
  1. 감자에 공기가 충분히 통하도록 바구니, 상자, 종이 봉지를 준비한다. 감자가 훨씬 빨리 상할 수 있으므로 밀폐 용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14]
    • 생감자를 잘라서 보관하려면 찬물이 담긴 그릇에 넣은 후 냉장 보관한다. 24시간 안에 감자를 사용한다. [15]
  2. 온도가 10도 정도로 유지되는 곳을 고른다. 펜트리, 지하실, 저장고 등 모두 생감자를 보관 하기 좋다. [16] 생감자를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는다. 온도가 낮아 감자의 맛이 변해 더 달아지기 때문이다.
    • 감자를 양파나 사과 가까이 두지 않는다. 양파와 사과는 에틸렌을 배출하기 때문에 감자에 싹이 빨리 튼다.
    • 보관 전 감자를 씻지 않는다. 과도한 수분 때문에 감자가 빨리 상한다.
  3. 대개 생감자는 약 8주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그 후에는 싹이 나거나 상할 조짐이 보인다. 감자를 잘 살펴보고 상하기 전에 먹을 계획을 세운다. [17]
    광고
방법 7
방법 7 의 7:

익힌 감자를 보관하는 방법

PDF 다운로드
  1. 지퍼백이나 뚜껑이 있는 용기를 준비해 익힌 감자를 담는다.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면 익힌 감자의 신선도를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18]
  2. 익힘 감자는 오래 보관할 수 없다. 이틀 안에 먹도록 하고 먹기 전에 곰팡이가 있거나 악취가 나는지 확인한다. [19]
  3. 감자를 더 오래 보관하고 싶은가? 냉동고에 넣고 오늘 날짜가 적힌 라벨을 붙여둔다. [20]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858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